웨이플러스 강*조, 강*보, 양*상, 최*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우도의 관광 패턴을 이해하고, 폐 시설을 지역의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시켰습니다.
특히 20~30대와 가족 단위 방문객의 니즈를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지역 관광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했습니다."
웨이플러스는 제주 지역의 스마트 관광 생태계 조성을 위해 8년 동안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온 기업입니다. 날씨 기반 관광 상품 추천 서비스, 관광객 맞춤형 여행 플랫폼, 빅데이터 분석 기반 관광 정책 지원 등을 통해 제주 관광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우도의 담수화 시설은 14년 동안 방치되어 관광지 이미지를 훼손하고 있었습니다. 낮은 효율성과 도시 미관을 해치는 시설물로 지속 가능한 관광 발전의 걸림돌이 되었으며, 시설의 위치가 관광객들의 주요 동선과 겹쳐 개선이 시급했습니다.
데이터 기반 접근으로 시작된 혁신이에 폐허가 된 담수화 시설을 지역의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효과적인 공간 활용과 운영을 위해서는 방문객들의 구체적인 특성과 니즈를 파악해야 했고, 이를 위해 데이터 기반의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했습니다.
먼저, 우도 방문객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한국관광 데이터랩의 이동 동선과 인구 통계 데이터를 중점적으로 활용했습니다. 여기에 TourAPI 4.0에서 제공하는 전국 2,679개 문화시설 데이터를 추가로 분석하여 성공적인 문화시설 전환 사례들의 레퍼런스를 확보했습니다. 이렇게 분석한 방문객들의 시간대별 이동 패턴, 주요 동선, 선호 관광지 등의 데이터는 새로운 문화 공간의 운영 전략 수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MZ세대와 가족 관광객의 선호도 분석우도 관광객들의 이동 동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방문객들의 주요 특징과 선호 동선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사이에 관광객 활동이 집중되었으며, 오름과 해변, 등대 등이 주요 방문지로 확인됐습니다. 도보와 렌터카가 주요 이동 수단이었으며, 해변 인근과 오름 입구 부근이 공간 활용도와 가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추가로 인구 통계 및 선호도 분석 결과, 20~30대가 주요 방문층이었고, 가족 단위 관광객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우도의 자연환경과 문화유산 체험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동시에 휴식과 힐링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도 확인되었습니다.
<한국관광 데이터랩>을 활용한 우도 주요 관광지 방문자 특성 분석
담수화 시설의 문화 공간 전환 사업은 올해 안에 하드웨어 구축이 완료될 예정입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30대를 위한 체험형 콘텐츠와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교육적 체험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기획했습니다. 이는 지역 상권 활성화와 비즈니스 매출 증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로 실현하는 지역 관광의 새로운 가치데이터 기반 마케팅 도입을 통해 기존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던 의사 결정에서 벗어나, 근거 중심의 의사 결정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특히 지역 주민들의 문화 공간 운영 참여를 통해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었고, 이는 지역 사회의 유대감 강화로 이어졌습니다.
디지털 전환으로 실현하는 맞춤형 관광 서비스한국관광 데이터랩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데이터와 분석 서비스는 경제적 효율성과 높은 접근성을 제공합니다. 이를 활용해 당사는 개인 맞춤형 관광 경험을 제공하고, 향후 날씨 데이터와 SNS 빅데이터를 결합한 융합 분석으로 관광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할 계획입니다.
혁신적 실험으로 여는 관광의 새로운 지평데이터 기반의 다양한 시도와 실험은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서비스 혁신을 이끌어내는 창의적 접근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관광 분야의 신규 서비스 개발과 기존 서비스 고도화에 있어 차별화된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