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관광통계/발간보고서

국가개요 대만

일반개요 탭컨텐츠

정보수정일 : 2020년 8월 30일
대만 일반개요 표 | 구분, 내용/수치로 구성
구분 내용/수치
일반 국명 중화민국 (中華民國 / The Republic of China)
(올림픽 등 중국이 참여하는 국제행사 참가 시 Chinese Taipei 사용)
면적 36,000㎢ (한반도의 1/6)
기후 아열대성 해양 기후
수도 타이베이 (台北, Taipei) * 공식 수도는 아님
언어 중국어 (공용어), 대만어
민족 (%) 한족 95
종교 (%) 불교 35, 도교 33, 기독교 4
정치 체제 이원집정부제
수교일 1949.1 (수교), 1992.8 (단교), 1993.7 (비공식 관계 수립 합의 후 상호대표부 설치·운영)
교민 수 (명) 824,977 (귀화자 포함)
관광 대만인 출국자 수 (천 명) 17,101
대만인 출국율 (전체인구/출국자수, %) 72.5
방한 대만인 수 (천 명) 1,260
대만인 출국자 수 대비
방한 대만인 비중 (%)
7.4
인구/사회 인구 수 (천 명) 23,603
남성인구를 여성인구로 나눈 비율 1.0
인구 성장률 (%) 0.1 (세계 187위)
연령대별 비중 (%) 0 - 14세 12.4
15 - 24세 11.6
25 - 54세 45.5
55 - 64세 14.7
65세 이상 15.7
중위 연령 (세) 42.3 (세계 36위)
기대 수명 (세) 80.6 (세계 43위)
합계출산율 (명) 1.1 (세계 226위)
경제 명목 GDP (십억US$) 586
1인당 명목 GDP (US$) 24,827
경제성장률 (%) 2.0
소비자 물가상승률 (%) 0.8
실업률 (%) 3.8
환율 (100엔당 원, 연중) 37.7

경제/정치/사회 동향 탭컨텐츠

정보수정일 : 2020년 8월 30일

1-1. 경제 동향

부품 생산 및 조립 등 후방산업(하청)을 기반으로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룬 대만의 수출 의존도는 57.0%(2018년 기준)로 매우 높은 편이다. 특히 중국으로 부품 및 반제품을 수출해 완성품을 생산 한 후 미국으로 재수출하는 구조가 발달하면서, 최근 불거진 미중 무역 전쟁에 따른 영향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대만 정부는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아세안 10개국과의 인적교류 및 경제협력 확대에 초점을 둔 ‘신남향 정책’ 추진과 ‘외국인투자조례’ 개정을 통한 외국인 직접투자 촉진 그리고 ‘리쇼어링 투자’‘미래건설프로젝트’ 등을 통한 민간투자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다.
(출처: KOTRA, 2020권역별 진출전략_대만).

내수 기반 부양 효과에 따라 2020년 대만 경제 성장률이 2% 초-중반 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코로나 19 영향으로 민간 소비가 침체되면서 성장률 0%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출처 : IMF, 2020년 10월 정기 세계경제성장 전망, 2020.10.13).

  • 신남향정책 :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라오스, 베트남, 태국, 미얀마, 캄보디아, 필리핀 등 아세안 10개국을 중심으로 인적교류 및 경제협력 확대에 초점, 5대 중점 프로젝트(농업, 보건의료, 산업인재양성, 산업혁신, 청년교류플랫폼), 3대 유망분야(전자상거래, 관광, 공공 인프라)에 주력
  • 리쇼어링 투자 :중국 진출 업력 2년 이상, 미·중 무역분쟁 피해업종(추가관세 부과품목 취급)에 대해 중국 사업 철수 여부와 무관하게 대만 내 투자를 확대 할 시 세제·보조금·입지 인센티브 부여
  • 미래건설프로젝트 : 인프라 개선 정책으로 2020년 말까지 2년 동안 2,229억 대만달러(원화 8조 5,415억 원)를 집행. 사업별로 지역 격차 해소(인도·공공 건물 개보수 등)에 32%를 집중 투입

출처 : KOTRA, 2020권역별 진출전략_대만

1-2. 정치·사회 동향

대만은 집권여당 민주진보당(민진당)과 제 1야당 중국국민당(국민당)을 중심으로 양당 체재를 형성하고 있다. 대만 및 외국 기업들은 정권 교체에 따른 양안관계 변동성을 비즈니스 리스크로 지적하고 있으며, 대만전국공업총회(제조업 단체)는 매년 발표하는 대정부 건의서를 통해 양안관계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20년 1월에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연임하면서, 하나의 중국 원칙(92공식)을 인정하지 않는 집권여당인 민주진보당(민진당)의 정책기조가 유지될 예정이다.

대만 행정원 발전위원회에 따르면, 대만 인구는 2012년 2,361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22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2018년 3월에 고령사회에 진입(65세 이상 인구 비율 14% 이상)한 데 이어, 2026년에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비율 20% 이상)에 진입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처럼 노령화에 따른 생산가능 인구 부족이 예상되면서 ‘외국인 전문인력 유치·고용법’, ‘최저 임금법’, ‘중고령자·고령자 취업촉진법’, ‘신경제이민법’ 등의 제정이 추진되었다.
(출처: KOTRA, 2020권역별 진출전략_대만).

총통을 비롯하여 정치, 경제계 고위간부급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전체 해외여행객에서도 2017년에 역대 최초로 여성이 남성의 비중을 앞서는 등 여성의 사회적 지위 및 활동력이 큰 편이다.

  • 외국인 전문인력 유치 고용법 : 2018년 2월부터 시행, 과학기술, 경제, 교육, 문화예술, 체육, 금융, 법률, 건축 설계 등 8개 분야와 관련해 외국인 고급인력에게 취업카드를 발급해 대만 구직·이직 활동에 편의성 제고
  • 최저 임급법 : 최저임금 심의에 대한 법령 체계를 높여 노동자 권익을 향상하고 노동환경 개선에 기여
  • 중고령자·고령자 취업촉진법 : 사용자가 65세 이상 고령자와 계약직 근로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구직자·노동자에 대한 연령 차별을 엄격히 규제
  • 신경제이민법 : 외국인 전문직 인재를 비롯해 기술직 외국인 노동자에게도 영주권 부여 및 투자이민 요건 완화

출처 : KOTRA, 2020권역별 진출전략_대만

휴일 및 휴가 현황 탭컨텐츠

정보수정일 : 2020년 8월 30일

대만은 근로기준법 38조에 따라 계속적 근로계약을 맺은 근로자에게 유급휴가에 대한 법적 권리가 있음. 일반적으로 유급 휴가는 근무 근속에 따른 누진 방식이 적용되는데, 법적으로 지정된 최소 연차는 7일이며 최대 30일 까지 가산이 가능함

일반적으로 대만인의 해외여행은 가장 긴 연휴인 춘절(1월 또는 2월, 최대 9일)과 방학기간에 집중되는 편임

학교 방학기간은 초·중·고의 경우 7월 초~8월 말(여름방학), 1월 중~춘절(겨울방학)이며, 대학교는 6월 중~9월 초(여름방학), 1월 중순 ~ 2월 초(겨울방학) 임

2021년 대만 공휴일 현황

대만 공휴일 현황 표 | 기간, 공휴일명, 비고로 구성
기간 공휴일명 비고
1.1 (금) 원단 (元旦)
중화민국개국기념일
3일 연휴 가능
2.12 (금) 춘절 (春節) 2.10 (수) 임시휴일, 2.11 (목) 공휴일,
2.15 (월) ~ 2.16 (화) 대체휴일로 7일 연휴 가능
2.20 (토) 대체근무
2.28 (일) 평화기념일 (和平紀念日) 3.1 (월) 대체휴일로 3일 연휴 가능
4.3 (토) 어린이날 (兒童節) 4.2 (금), 4.5 (월) 대체휴일로 4일 연휴 가능
4.4 (일) 청명절 (清明節)
5.1 (토) 노동절 (勞動節)
6.14 (월) 단오절 (端午節) 3일 연휴 가능
9.21 (화) 중추절(中秋節) 9.20 (월) 임시휴일로 4일 연휴 가능
9.11 (토) 대체근무
10.10 (일) 국경일 (國慶日) 10.11 (월) 대체휴일로 3일 연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