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관광통계/발간보고서

국가개요 싱가포르

일반개요 탭컨텐츠

정보수정일 : 2020년 8월 30일
싱가포르 일반개요 표 | 구분, 내용/수치로 구성
구분 내용/수치
일반 국명 싱가포르 (Republic of Singapore)
면적 719㎢ (한반도의 1/307)
접경국가 말레이시아
기후 고온다습한 열대성
수도 싱가포르 (Singapore)
언어 중국어 (공용어), 영어 (공용어), 말레이어 (공용어), 타밀어 (공용어)
민족 (%) 중국계 74, 말레이계 13, 인도계 9
종교 (%) 불교 33, 기독교 19, 이슬람교 14, 도교 10, 힌두교 5
정치 체제 의원내각제
수교일 1975.8.8 / 2020년 수교 45주년
교민 수 (명) 21,406
관광 싱가포르인 출국자 수 (천 명) 10,711
싱가포르인 출국율 (전체인구/출국자수, %) 172.5
방한 싱가포르인 수 (천 명) 246
싱가포르인 출국자 수 대비
방한 싱가포르인 비중 (%)
2.3
인구/사회 인구 수 (천 명) 6,210
남성인구를 여성인구로 나눈 비율 1.1
인구 성장률 (%) 1.7 (세계 59위)
연령대별 비중 (%) 0 - 14세 12.8
15 - 24세 15.0
25 - 54세 50.7
55 - 64세 10.6
65세 이상 10.9
중위 연령 (세) 35.6 (세계 82위)
기대 수명 (세) 86 (세계 3위)
합계출산율 (명) 0.9 (세계 228위)
경제 명목 GDP (십억US$) 365
1인당 명목 GDP (US$) 65,627
경제성장률 (%) 0.7
소비자 물가상승률 (%) 1.5
실업률 (%) 2.3
환율 (1싱가포르 달러당 원, 연중) 854.4

경제/정치/사회 동향 탭컨텐츠

정보수정일 : 2020년 8월 30일

1-1. 경제 동향

좁은 국토와 전무한 지하자원 등 환경적 열세로 인해 싱가포르는 일찍이 정부 주도로 대외개방형 경제를 추구하면서 중계무역과 금융업이 발전된 동남아 최고의 고소득 국가로 성장하였다. 무엇보다 ‘아시아 비즈니스 중심지’를 목표로 친(親) 기업 (자유로운 해고, 최저임금 규정 부재, 노조활동 제한 등) 국가를 지향하면서 7,000여개의 다국적 글로벌 기업의 60% 이상이 싱가포르를 동남아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본부로 활용하고 있다.
(출처: KOTRA, 2020권역별 진출전략_싱가포르).

하지만 지속되는 미․중 무역전쟁과 중국의 더딘 경제성장, 브랙시트의 연기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의 증대가 대외의존도가 높은 싱가포르 경제의 위협요인으로 작용하면서 2019년 경제성장률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0.7%를 기록하였다.

2020년에 들어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싱가포르의 광범위한 산업분야의 공급망 제한이 예상되면서 경제성장률은 –6.0%로 전망되었다.
(출처 : IMF, 2020년 10월 정기 세계경제전망, 2020.10.13).

1-2. 정치·사회 동향

싱가포르는 리콴유 일가의 일당독재 체재라 볼 수 있는데, 초대 총리인 리콴유는 1990년에 총리직에서 물러났으나, 두 번째 총리인 고촉통 내각에서도 수석 총리로서 정치에 계속적으로 관여하였고, 세 번째 총리가 된 그의 아들인 리센룽을 조언하는 특별직을 맡기도 했다. 무엇보다 리콴유가 창당한 인민행동당이 50년 넘게 집권하면서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투명하고 효율적인 정부체재를 구축하면서 여당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 및 지지도가 높은 편이다.

한편, 대통령직은 2016년 11월에 개정된 법에 따라 3대 민족(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이 20년 동안 최소 한 번은 맡도록 되어있는데, 2017년 9월에 말레이계인 할리마 야콥이 단독 후보로 투표 없이 최초 여성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하지만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의 역할만을 수행 할 뿐, 실질적인 내정은 총리에게 권력이 집중되어 있다.

싱가포르 또한 다른 아시아 국가와 마찬가지로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2020년 기준 중위 연령이 35.6세로 아직까지는 비교적 젊은 국가에 해당된다. 하지만 65세 이상 노령인구가 전체의 10.9% 가량을 차지하면서 싱가포르 정부는 2019년에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노인 복지 정책을 발표하였다. 한편으론, 출산율 저하에 따른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 및 자국 산업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싱가포르 정부가 외국인 노동자를 적극 유치하면서 2014년 기준 싱가포르 전체 인구의 약 30%를 외국인이 차지하게 되었다. 하지만 외국인 유입에 대한 내국인들의 불만이 고조되면서 2015년부터 외국인 인력에 대한 비자발급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노인복지 정책(2019년 싱가포르 정부예산안 발표 기반)
  • 2019년부터 2023년 까지 1950년대 생을 일컫는 메르데카 세대(Merdeka Generation) 약 50만 명에게 매년 200싱가포르 달러의 의료비 지원
  • 2020년부터 중증장애인과 노인을 위해 지원금액과 보험대상을 더욱 확대한 케어쉴드 라이프(CareShield Life)를 도입할 예정. 더불어 2021년부터 일상생활이 어려운 40세 이상 중증장애인 및 노인을 위한 장기보험인 엘더쉴드(ElderShield)를 비영리로 운영 예정.

출처 : KOTRA, 2020권역별 진출전략_싱가포르

휴일 및 휴가 현황 탭컨텐츠

정보수정일 : 2020년 8월 30일

싱가포르 노동법에 따르면 근무기간에 따라 유급 연간 휴가가 주어지는데, 첫 해에는 최소 7일, 그 후 매년 1일씩 추가돼 8년차부터는 최소 14일의 유급 연간 휴가를 쓸 수 있음

싱가포르는 도시 국가 특성 상 해외여행이 일상적인 편이나, 연중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는 열대지방이면서 겨울방학 및 크리스마스가 겹치는 12월에 해외 및 방한수요가 집중되는 편임

공휴일이 일요일인 경우에는 다음날 월요일이 대체휴일로 지정됨

기업의 휴가 시즌은 별도로 정해진 바가 없음

초·중·고의 여름방학(5월 말~6월 말), 겨울방학(11월 말~12월 말)임

초·중·고는 4학기제로 운영되면서 3월(봄)과 9월(가을)에 1주일 내외의 짧은 방학이 있음

2021년 싱가포르 공휴일 현황

싱가포르 공휴일 현황 표 | 기간, 공휴일명, 비고로 구성
기간 공휴일명 비고
1.1 신정 (New Year’s Day) 날짜 지정
2.12 ~ 13 구정 (Chinese New Year) 음력 (1.1)
4.2 부활절 (Good Friday)
5.1 노동절 (Labour Day) 날짜 지정
5.13 라마단 마지막날 (Hari Raya Puasa) 날짜변동 가능
5.26 부처님오신날 (Vesak Day)
7.20 이슬람 성지인 메카 순례 후 돌아오는 날 (Hari Raya Haji) 날짜변동 가능
8.9 국경일 (National Day) 날짜 지정
11.4 힌두교 명절 (Deepavali)
12.25 성탄절 (Christmas Day) 날짜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