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개요 말레이시아
일반개요 탭컨텐츠
구분 | 내용/수치 | ||
---|---|---|---|
일반 | 국명 | 말레이시아 연방 (Federation of Malaysia) | |
면적 | 330,000㎢ (한반도의 1.5배) | ||
접경국가 |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태국 | ||
기후 | 고온다습한 열대 | ||
수도 | 쿠알라룸푸르 (Kuala Lumpur) 행정수도:푸트라자야 (Putrajaya) |
||
언어 | 말레이어 (공용어), 영어, 중국어 | ||
민족 (%) | 말레이계 62, 중국계 21, 인도계 6 | ||
종교 (%) | 이슬람교 61, 불교 20, 기독교 9, 힌두교 6 | ||
정치 체제 | 입헌군주제 (연방형 의원내각제) | ||
수교일 | 1960.2.23 / 2020년 수교 60주년 | ||
교민 수 (명) | 20,861 | ||
관광 | 방한 말레이시아인 수 | 409 | |
인구/사회 | 인구 수 (천 명) | 32,652 | |
남성인구를 여성인구로 나눈 비율 | 1.1 | ||
인구 성장률 (%) | 1.3 (세계 83위) | ||
연령대별 비중 (%) | 0 - 14세 | 26.8 | |
15 - 24세 | 16.6 | ||
25 - 54세 | 40.9 | ||
55 - 64세 | 8.8 | ||
65세 이상 | 6.9 | ||
중위 연령 (세) | 29.2 (세계 134위) | ||
기대 수명 (세) | 75.9 (세계 108위) | ||
합계출산율 (명) | 2.4 (세계 78위) | ||
경제 | 명목 GDP (십억US$) | 365 | |
1인당 명목 GDP (US$) | 11,136 | ||
경제성장률 (%) | 4.5 | ||
소비자 물가상승률 (%) | 1.0 | ||
실업률 (%) | 3.4 | ||
환율 (1링깃당 원, 연중) | 281.3 |
경제/정치/사회 동향 탭컨텐츠
1-1. 경제 동향
원유 및 천연가스, 팜유, 고무, 주석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갖추면서도 1980년대부터 전기 전자, 자동차, 철강, 석유 화학 등 제조업 분야 육성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말레이시아는 싱가포르, 부루나이 다음으로 1인당 국민소득이 높은(11,000US$ 상회) 동남아 경제 부국이다. 경제성장률 또한 베트남, 필리핀 등 주변 동남아 국가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지만, 전체 신흥시장 평균인 4~5% 대의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말레이시아는 2024년 까지 고소득 국가(1인당 국민 총소득 12,056US$) 달성을 목표로 ①공공서비스 투명성 제고 등 지배구조 개혁, ②포용적 경제 발전 및 복지 확충, ③지역 균형 발전, ④인적자원 역량 강화, ⑤친환경 지속 가능 성장, ⑥경제성장 강화 등 경제정책의 6대 축을 설정하였다.
미․중 무역전쟁 등 세계 경제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무역 투자 부진, 유가 불안정성 증대로 대외의존도가 높은 말레이시아의 경제의 위협요인으로 작용하는 와중에 2020년에 들어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글로벌 공급망 붕괴, 이동제한 장기화 등이 예상되면서 경제성장률은 –6.0%로 전망되었다.
(출처 : IMF, 2020년 10월 정기 세계경제전망, 2020.10.13).
1-2. 정치·사회 동향
입헌군주제이지만 국왕은 9개 주의 통치자인 술탄(Sultan) 중에서 5년 임기로 선출되며, 내각은 실질적인 행정권을 가지고 의회를 책임지고 있으며, 내각의 수장인 총리는 하원 다수당의 당수가 맡고 있다.
1974년 이후 다양한 민족의 정당 연합체인 국민전선(BN)이 장기집권하고 있었으나, 나집 총리의 부정부패 스캔들이 터지고, 과거 국민전선을 이끌었던 마하티르 전 총리가 이끈 야권연합이 2018년 5월 총선에서 승리하면서 독립 이후 최초로 정권교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전 정권의 부패, 민생경제 어려움 등이 정권 교체의 동력이 되었다는 점에서, 새로 출범한 정권은 투명성․공정성 제고에 방점을 두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말레이계(62%), 중국계(21%), 인도계(6%) 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라는 점에서 민족․종교간 조화가 우선 해결문제라 볼 수 있다. 최근 들어 말레이계에 대한 우대 정책인 ‘부미푸트라 정책’을 말레이계의 근본적인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보완 중이나, 해당 정책이 말레이시아의 생산성을 전반적으로 떨어뜨려 경제발전에 방해가 된다는 인식도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으론, 쿠알라룸푸르, 슬랑고르 주 등 수도권이라 할 수 있는 Klang Valley 지역으로 경제발전이 집중 되는 것을 완화하기 위해 지역 균형 발전 정책을 추진 중이다.
- 정의 : 말레이시아 원주민 후예라는 뜻으로 정부가 말레이계 및 사바·사라왁 원주민에게 펼치는 특별 우대 정책
- 주요 내용 : 1969년 인종폭동이 발생하자 집권 연정 내 핵심 정파 UMNO당(말레이계)과 MCA당(중국계)은 폭동 수습 및 재발방지 대책으로 중국계 신변 안전과 상공업 활동은 보장하되 부미푸트라에게 특혜 부여라는 정치적 절충안에 타협함. 연방 헌법에 의거 부미푸트라에게 교육(대입 전형, 장학금), 정부·공공기관 취업, 상업 비즈니스(세금, 입찰, 인허가 등) 특혜 부여, 선동행위처벌법에 의거 상기 헌법 규정에 이의를 제기하는 자에게는 1,700 미 달러 이하 벌금 또는 3년 이하 징역 부과
출처 : KOTRA, 2020권역별 진출전략_말레이시아
휴일 및 휴가 현황 탭컨텐츠
말레이시아는 근무기간에 따라 유급 연간 휴가가 주어지는데, 근속 기간 2년 미만 시 최소 연간 8일, 2년 이상~5년 미만은 최소 연간 12일, 5년 이상은 최소 연간 16일임
말레이시아의 최대 연휴는 라마단임. 전국적인 연휴 기간은 2일이나 일부 주에서는 3일인 경우가 있고, 무슬림은 휴가를 사용하여 보통 1주일 간의 휴일을 보냄
기업의 휴가 시즌은 별도로 정해진 바가 없으며, 자녀가 있는 직장인들은 대부분 초·중·고 방학 기간 중에 장기 휴가를 신청함
초·중·고의 방학은 3월, 6월, 9월에 각 1주와 11월말과 12월 말 사이에 5주간 방학을 함
대학교는 여름방학(7-8월)과 겨울방학(1월)이 있음
2021년 말레이시아 공휴일 현황
기간 | 공휴일명 | 비고 |
---|---|---|
1.1 | 신정 (New Year’s Day) | |
1.28 | 힌두교 축제일 (Thaipusam) | |
2.1 | 중앙연방일 (Federal Territory Day) | |
2.12~13 | 설날 (Chinese New Year) | |
4.29 | 코란낭독일 (Nuzul Al-Quran) | |
5.1 | 노동절 (Labor Day) | |
5.13 ~ 14 | 라마단 금식 후 휴일 (Hari Raya Puasa) | 매년 10∼12일 빨라짐 |
5.26 | 부처 탄생 및 열반 기념일 (Wesak Day) | |
6.7 | 국왕 탄생일 (Agong’s Birthday) | |
6.20 | 성지순례종료일 (Hari Raya Haji) | |
8.10 | 이슬람 신년 (Awal Muharam) | |
8.31 | 독립기념일 (Merdeka Day) | |
9.16 | 말레이시아 연방 설립일 (Malaysia Day) | |
10.19 | 무하마드 탄생일 (Prophet Muhammad’s Birthday) | |
11.4 | 힌두교 빛의 축제 (Deepavali) | |
12.25 | 성탄절 (Christma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