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관광통계/발간보고서

국가개요 홍콩

일반개요 탭컨텐츠

정보수정일 : 2020년 8월 30일
홍콩 일반개요 표 | 구분, 내용/수치로 구성
구분 내용/수치
일반 국명 중화인민공화국홍콩특별행정구
(中和人民共和國香港特別行政區政府)
The Government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면적 1,108㎢ (서울의 1.8배)
기후 아열대성 몬순 기후
언어 광둥어 (공용어), 영어 (공용어), 북경어 (공용어)
민족 (%) 중국인 92, 필리핀인 3, 인도네시아인 2
종교 (%) 불교 또는 도교 28, 개신교 7, 카톨릭 5, 이슬람교 4
정치 체제 중국의 특별행정구 (SAR)
수교일 1949.11.29 (총영사관 개설)
교민 수 (명) 18,969 (중국 교민에 포함)
관광 홍콩인 출국자 수 (천 명) 92,214
홍콩인 출국율 (전체인구/출국자수, %) 1271.9
방한 홍콩인 수 (천 명) 684
홍콩인 출국자 수 대비
방한 홍콩인 비중 (%)
0.7
인구/사회 인구 수 (천 명) 7,250
남성인구를 여성인구로 나눈 비율 0.9
인구 성장률 (%) 0.2 (세계 178위)
연령대별 비중 (%) 0 - 14세 12.8
15 - 24세 8.8
25 - 54세 42.7
55 - 64세 17.2
65세 이상 18.5
중위 연령 (세) 45.6 (세계 7위)
기대 수명 (세) 83.2 (세계 8위)
합계출산율 (명) 1.2 (세계 225위)
경제 명목 GDP (십억US$) 367
1인당 명목 GDP (US$) 49.334
경제성장률 (%) -1.2
소비자 물가상승률 (%) 2.9
실업률 (%) 3.3
환율(1홍콩달러당 원, 연중) 148.8

경제/정치/사회 동향 탭컨텐츠

정보수정일 : 2020년 8월 30일

1-1. 경제 동향

홍콩은 2010년 중반까지 2% 대의 저성장 기조를 이어오다 2016년 하반기부터 회복 국면으로 전환되면서, 2017년에 경제성장률 3.5%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2018년 7월에 발발한 중국-미국 간 무역 분쟁은 두 국가의 중계무역항이자 수출 의존도가 높았던 홍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관련해 홍콩을 거점으로 하고 있는 세계적인 금융회사 BMI(BM Intelligence)는 무역 분쟁이 홍콩의 금리 인상, 물가상승률 증가, 소비자 구매력 감소 등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홍콩 경제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였고, 결과적으로 2018년 경제성장률은 전년 대비 0.5% 감소한 3.0%를 기록하였다.

2019년에는 중국의 범죄인 인도법(송환법)에 반대하는 반정부 시위가 6월부터 장기화되면서 관광객은 급감하고, 소비심리는 위축되면서 전체 홍콩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2019년 10월 소매 매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23.4%p 감소한 301억 홍콩달러로,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악의 소매 매출 감소율을 기록하였다.

2020년에 들어서도 홍콩 시위가 계속되는 와중에 코로나 19가 발발하면서 홍콩의 경제성장률은 –7.5%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출처 : IMF, 2020년 10월 정기 세계경제성장 전망, 2020.10.13).

1-2. 정치·사회 동향

홍콩은 1997년 중국 반환 이후, ‘일국양제’, ‘홍콩인에 의한 홍콩 통치’ 원칙 등에 따라 사실상 중국의 보호국 정도의 자치권을 누리고 있다. 이에 중국 헌법의 적용을 받지 않고 반환 이전의 영·중 협상에 따라 2047년까지 50년간 현 체제 유지가 보장된 상황이다. 그러나 홍콩 행정부의 최고 수반인 ‘홍콩특별행정구 행정장관’ 선거 절차와 관련하여 논란이 일면서 중국에 대한 반발 움직임이 생겨났고, 중국 정부가 허울뿐인 직접 선거를 도입하자 2014년 9월부터 ‘우산혁명’이라 불린 반중시위가 시작되었다. 시위가 2014년 12월에 종료되면서 중국 정부는 새로운 선거 방식을 지켜냈으나, 홍콩 민주주의에 대한 탄압 이외 최근 중국의 범죄인 인도법에 반대하는 시위가 장기화 되는 등 홍콩시민들의 반중 감정은 점차 커져가고 있는 상황이다.

홍콩 또한 고령화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데, 2020년 기준 65세 노인 인구 비중은 전체 인구의 18.5%를 차지하나 2034년에 3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홍콩의 인구변화는 중국 이주민의 유입으로 인해 변동이 큰 편인데, 매년 약 4∼5만 명의 중국인이 홍콩으로 이주하는 상황에서 2018년에 주강삼각주 통합경제권 건설이 가속화될 시 보다 더 많은 중국인이 홍콩으로 이주할 것으로 예상되었었다.
(출처:한국문화관광연구원, 대만 및 홍콩 방한객 동향 분석 및 유치 활성화 방안, 2017).
실제로 2018년 하반기 홍콩과 중국 본토를 잇는 강주아오(港珠澳) 대교 및 광선강(廣深港) 고속철이 개통되면서 중국인들의 홍콩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면서 당해 연도에 홍콩을 방문한 중국인은 전년 대비 14.8%p 증가한 5,104만 명을 기록하였다.
(출처:홍콩관광청, 2019).

홍콩의 성비(여자 100명당 남성 인구 비율)는 2020년 기준 0.9로 중국과 대조적으로 여초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중국 본토 여성과 결혼하는 홍콩 남성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휴일 및 휴가 현황 탭컨텐츠

정보수정일 : 2020년 8월 30일

홍콩에서는 계속적 근로계약을 맺은 근로자만이 유급휴가에 대한 법적 권리가 있음. 일반적으로 유급 휴가는 근무 근속에 따른 누진 방식이 적용되는데, 법적으로 지정된 최소 연차는 7일임

일반적으로 홍콩인의 해외여행 성수기는 춘절(2월), 부활절(4월), 중추절(9월), 성탄절(12월) 기간이며, 기업 휴가는 방학기간인 7~8월에 집중됨. 다만, 홍콩인은 휴가를 짧게, 자주 활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비교적 휴가 시기가 연중 고루 분포되는 편임

학교 방학기간은 초․중․고의 경우 6월 중순~8월 말(여름방학), 12월 말~1월 초(겨울방학)이며, 대학교는 6월 초~8월 말(여름방학), 12월 중순 ~ 1월 중순(겨울방학)임

2021년 홍콩 공휴일 현황

홍콩 공휴일 현황 표 | 기간, 공휴일명, 비고로 구성
기간 공휴일명 비고
1.1 신정 (New Year’s Day)
2.12∼2.15 춘절 (Chinese Lunar New Year’s Day)
4.4 청명절 (Ching Ming Festival)
4.2∼4.5 부활절 (Easter Monday)
5.1 노동절 (Labour Day observed)
5.19 석가탄신일 (Buddha’s Birthday)
6.14 단오절 (Tuen Ng Festival)
7.1 홍콩특별행정구 성립기념일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Establishment Day)
9.22 중추절 (Mid-Autumn Festival)
10.1 국경절 (National Da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0.14 중양절 (Chung Yeung Festival)
12.25 크리스마스 (Christm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