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개요 영국
일반개요 탭컨텐츠
구분 | 내용/수치 | ||
---|---|---|---|
일반 | 국명 | 영국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 |
면적 | 244,000㎢ (한반도의 1.1배) | ||
기후 | 온대 기후 | ||
수도 | 런던 (London) | ||
언어 | 영어 | ||
민족 (%) | 백인 87 | ||
종교 (%) | 기독교 60, 이슬람교 4, 힌두교 1 | ||
정치 체제 | 입헌군주제 | ||
수교일 | 1883.11.26 (朝英수호통상조약) / 2019년 수교 136주년 | ||
교민 수 (명) | 40,770 | ||
관광 | 영국인 출국자 수 (천 명) | 93,086 | |
영국인 출국율 (전체인구/출국자수, %) | 141.6 | ||
방한 영국인 수 (천 명) | 144 | ||
영국인 출국자 수 대비 방한 영국인 비중 (%) |
0.2 | ||
인구/사회 | 인구 수 (천 명) | 65,761 | |
남성인구를 여성인구로 나눈 비율 | 1.1 | ||
인구 성장률 (%) | 0.45 (세계 156위) | ||
연령대별 비중 (%) | 0 - 14세 | 17.6 | |
15 - 24세 | 11.5 | ||
25 - 54세 | 39.7 | ||
55 - 64세 | 12.7 | ||
65세 이상 | 18.5 | ||
중위 연령 (세) | 40.6 (세계 50위) | ||
기대 수명 (세) | 81.1 (세계 40위) | ||
합계출산율 (명) | 1.9 (세계 140위) | ||
경제 | 명목 GDP (십억US$) | 2,761.6 | |
1인당 명목 GDP (US$) | 41,030.2 | ||
경제성장률 (%) | 1.2 | ||
소비자 물가상승률 (%) | 1.8 | ||
실업률 (%) | 3.8 | ||
환율 (1파운드당 원, 연중) | 1,487.8 |
경제/정치/사회 동향 탭컨텐츠
1-1. 경제 동향
세계 5대 경제 대국인 영국은 금융 및 서비스 산업 강국이다. 2016년 6월, 브렉시트 결정 직후 파운드 가치가 US$ 대비 15% 하락하는 등의 부정적 징후가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영국 경제는 1.8%라는 나쁘지 않은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2017년에 들어 브렉시트가 본격화되면서 점차 부정적인 징후가 나타났다. 파운드의 지속적인 약세에 따른 인플레이션으로 실질 소득이 감소했고, 대외적으로는 수출증가 효과가 감소하였다. 2018년에 파운드 약세는 다소 회복되었지만, EU와의 교역 불확실성 증대로 경제성장률은 전년대비 0.4%p 하락한 1.5%를 기록하였다.
2019년에도 브렉시트 불확실성에 따른 경제 둔화로 전년 대비 0.3%p 하락한 1.2%를 기록하였다. 한편,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영국 또한 마이너스 성장(–9.8%)이 전망되었다.
(출처 : IMF, 2020년 10월 세계경제전망, 2020.10.7.).
1-2. 정치·사회 동향
영국은 지방분권체제를 채택한 단일 국가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가 연합하여 이루어진 나라이다. 각 지방마다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면서 자부심과 존중 의지가 강하다.
영국은 정치체재로 입헌군주제와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 왕실은 상징적으로 존재하며, 실질적 통치권은 영국 국민이 선출한 의회와 내각에 있다. 선거에서 의석수를 과반 이상 확보한 다수당이 집권당이 되어 내각을 구성하고 국왕이 다수당의 지도자를 총리로 임명한다. 2016년 브렉시트가 결정된 후 총리직에 오른 테리사 메이는 2019년 브렉시트 협상을 해결하지 못하고 사임하였고, 이후 보리스 존슨이 총리직을 수행하고 있다. 테리사 메이 총리의 사임 이후에도 난항을 겪던 브렉시트는 2020년 1월 31일, 1년의 이행 기간(2020년 12월 31일까지)을 포함하여 단행되었다.
영국의 인구는 1982년 이후 매년 증가세이다. 최근 들어 인구 증가율이 감소하긴 했으나 증가추세는 계속되고 있다. 영국 통계청에 따르면 2050년 경 영국 인구의 25% 가량을 65세 이상이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관광부문에서도 고령 여행자의 요구와 선호도, 운송 및 이동성 등에 대비하고 있다.
휴일 및 휴가 현황 탭컨텐츠
영국은 노동법에 따라 최소 20일의 유급 휴가가 주어짐. 단, 국가공휴일 8일을 연차에 포함하는지 여부는 고용주의 결정에 따르고 있음. 크리스마스 이브에는 오후부터 휴무하는 경우가 통상적이고, 업계에 따라 크리스마스 전 주에 휴무를 하기도 함.
(출처:Public Holidays Global, 2019)
영국은 3학기제로 학기 중 1주간의 방학이 부여, 학기 종료 후 1.5주∼6주간 방학을 실시함
초·중·고 및 대학교의 여름 방학(7월 말∼9월 초), 겨울 방학(12월 말∼1월 초), 봄 방학(3월 말∼4월 중순)임
2021년 영국* 공휴일 현황
기간 | 공휴일명 | 비고 |
---|---|---|
1.1 | 설날 (New Year’s Day) | 공통공휴일 스코틀랜드 :1.2까지 대체공휴일 |
3.17 | 성 패트릭의 날 (Saint Patrick’s Day) | 북아일랜드 3.18 (월) 까지 대체 공휴일 |
4.2 | 성금요일 (Good Friday) | 공통공휴일 부활절 전 금요일 |
4.5 | 부활절 월요일 (Easter Monday) | 공통 공휴일 (스코틀랜드 제외) 부활절 다음날 |
5.3 | 얼리메이뱅크홀리데이 (Early May bank holiday) | 공통공휴일 5월 첫째 주 월요일 |
5.3 | 스프링뱅크홀리데이 (Spring bank holiday) | 공통공휴일 5월 마지막 주 월요일 |
7.12 | 보인전투의 날(Battle of the Boyne) | 북아일랜드 |
8.2 | 서머뱅크홀리데이 (Summer bank holiday) | 스코틀랜드 8월 첫째 주 월요일 |
8.30 | 공통 공휴일 (스코틀랜드 제외) 8월 마지막 주 월요일 |
|
11.30 | 성 앤드류의 날 (St Andrew’s Day) | 스코틀랜드 |
12.25 | 크리스마스 (Christmas Day) | 공통공휴일 12.27 (월) 대체공휴일 |
12.26 | 박싱데이 (Boxing Day) | 공통공휴일 12.28 (화) 대체공휴일 |
* 영국 : 잉글랜드, 웨일즈,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