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국내시장동향 상세 내용 - 구분 제목 권역 등록일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카자흐스탄] 주요 관광시장동향(2024년 11월)

알마티지사|2024.11.27 19:31

첨부파일

□ 카자흐스탄, 디지털 노마드 비자 ‘Neo Nomad' 도입 시행(‘24.11월~)

 ㅇ (배경) 일과 여행을 결합한 디지털 노마드 유치로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 카자흐스탄 정부에서는 전 세계 디지털 노마드 인구를 3,500만 명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음

 ㅇ (제출서류) 소득증명서(카자흐스탄 외부 발생소득 월 3,000달러 이상), 카자흐스탄 내 적용가능 의료보험가입증서, 무범죄기록증명서 등 

 ㅇ (체류기간) 최대 1년

 ㅇ (기대효과) 약 500명이 1년 간 체류 시, 약 108억 원 소비지출 예상


□ 카자흐스탄 해외 항공노선 주요 동향(Air Astana)

 ㅇ 최근 카자흐스탄 정부와 비자 협정을 체결한 국가들 중심으로 직항노선이 활발하게 개설되고 있음. 이에, 알마티지사에서는

     주요 경쟁국 항공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경유 노선을 두루 활용하여 가격 경쟁력이 높으면서 동시에 2개국 이상 방문으로

     소비자 만족도가 높은 다목적지 결합상품 개발에도 주력할 계획임.

    - 아스타나-태국(푸켓) 직항 취항(10.26~, 주3회, 월/수/토)

    - 알마티-베트남(푸꾸옥) 직항 취항(10.28~, 주2회, 수/일)

    - 아티라우-UAE(두바이) 직항 취항(10.26~, 주2회, 수/일)

    - 아스타나-UAE(아부다비) 직항 취항(10.30~, 주2회, 수/일)

    - 알마티-사우디아라비아(메디나) 직항 운항 재개(10.29~, 주2회, 수/일)

 ㅇ Air Astana(카자흐스탄) - Etihad Airways(UAE), 공동운항 협정 체결(11.24.)

    - 이로써, 11월 26일부터 카자흐스탄인들의 인도 및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카타르 등 중동 지역과의 항공 네트워크가 크게 확장될 것으로 전망


□ 카자흐스탄 아웃바운드 관광시장 동향

 ㅇ 'Turistik Kamkor(관광기업기금)' 발표에 따르면, 2024년 10월 한 달 간 카자흐스탄인 75,484명이 해외여행을 다녀온 것으로 조사됨. 

    - 이는 전월 대비 16.5% 감소한 수치이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35.8% 증가한 수치임

 ㅇ 인기 목적지로는 이집트(22,991명/30.5%)가 1위를 차지했으며, UAE(17,009명/22.5%), 태국(10,827명/14.3%), 베트남(9,948명/13.2%),

     튀르키예(7,551명/10.0%) 등이 그 뒤를 따르고 있음. 최근 카자흐스탄인 대상으로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 시작한 국가들 중심으로 

     방문객이 크게 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한편 튀르키예의 경우,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카자흐스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목적지였으나,

     최근 현지 물가상승으로 여행경비가 크게 오른 탓에 방문객 수가 많이 줄었음.


 한국-카자흐스탄 관광교류 현황

 ㅇ카자흐스탄 → 한국 입국자 수

                                                                                                                                                                                                                                               (단위: 명)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합계

2019

3,574

3,774

4,915

4,618

4,585

4,829

4,953

4,948

4,909

4,776

3,697

3,388

52,966

2020

4,325

3,204

567

15

26

331

401

329

258

233

299

252

10,240

2021

452

737

643

627

571

518

711

868

904

564

352

265

7,212

2022

245

450

418

829

2,967

4,732

4,319

3,658

3,055

2,925

3,542

3,133

30,273

2023

2,644

2,781

3,783

3,583

3,817

3,965

4,886

5,332

4,617

4,526

3,687

3,253

46,874

2024

3,907

3,812

5,450

4,409

4,558

4,338

5,134

6,120

4,832

(11월 말)   

 

 

* ’23년  전체 방한객 수(11,031,665/전년比 245%)는 ’19(코로나 이전대비 63% 수준까지 회복된 반면,  카자흐스탄 방한객 수(46,874/전년比 54.8%)는 

   ’19년 대비 88.5% 수준까지 회복됨


 ㅇ 한국 → 카자흐스탄 입국자 수

                                                                                                                                                                                                                            (단위: 명)

구분

1분기(1~3)

2분기(4~6)

3분기(7~9)

4분기(10~12)

합 계

2018

5,056

8,843

14,098

7,139

35,136

2019

7,468

9,115

15,770

7,827

40,180

2020

4,592

81

508

526

5,707

2021

714

1,397

501

1,132

3,744

2022

782

2,855

6,996

5,178

15,811

2023

3,436

6,447

8,061

5,984

23,928

2024

4,448

8,974

15,424

(’25. 1월 말 발표 예정)


※ 한국관광 데이터랩, 카자흐스탄 통계청 및 Tengri Travel, Astana Times, Tour Code 등 현지 언론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