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국내시장동향 상세 내용 - 구분 제목 권역 등록일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해외여행 수요 증가에 따른 관광 경쟁국 상품 다양화(7월)

울란바토르지사|2024.07.22 16:21

 

20247월 몽골관광시장 동향

- 해외여행 수요 지속 증가에 따른 관광 경쟁국 상품 다양화 -

 

2024.7.22., 울란바토르지사

 

몽골 인바운드 관광 시장 동향 (2024년 상반기)

 ❍ 2024년 상반기 기준 외래입국자 수 전년도 대비 76.4% 증가 및 한국인 입국자 3위 차지

    (중국 1, 러시아 2)

2024년 상반기 기준 총 외래관광객 수 328,168명 및 한국인 입국자 62,321명으로 20% 차지

 ❍ 한국인 입국자 수는 작년 6월 기준 대비 68.4% 증가 및 방몽 한국인 관광객 꾸준한 증가세 유지

입국자(국가별)

2022.1~6

2023.1~6

2024.1~6

중국

4,803

48,845

100,724

러시아

38,050

108,529

96,434

한국

9,311

36,997

62,321

몽골 통계청 방몽 외래입국자 통계

 

몽골 아웃바운드 관광 시장 동향 (2024년 상반기)

 ❍ 2024년 상반기 기준 몽골 해외출국자 수가 총 1,222,093명으로 전년도 대비 46.7% 증가 및 해외여행 수

   요 지속 증가

 ❍ 총 해외출국자 중 여성 출국자 비율이 63.8%를 차지하는 만큼 여성 인구에 대한 해외여행에 대한 수요

    가 높음

 ❍ 몽골인 총 출국자들의 96.6%는 해외에서 30일 이하 기간으로 체류 및 단순 관광 또는 비즈니스 목적 방문

    객 수가 대다수임

출국 국가

2022.1~6

2023.1~6

2024.1~6

중국

94,798

549,091

881,672

러시아

54,435

109,036

147,333

한국

12,748

72,496

86,680

몽골 통계청 몽골인 해외출국자 통계

 ❍ 관광 목적 몽골인 출국자의 주요 방문 국가는 러시아, 중국, 한국, 튀르키예, 베트남, 태국 순이며 그 중 몽골 혹한기를 피해 여해하는 주요 국가는 베트남, 태국 등임. 중국과 러시아는 몽골하고 국경을 접하는 국가로서 상업 목적을 둔 인적교류가 활성화 된 상태임

 ❍ 해외관광에 대한 관심도 및 수요가 높아지면서 몽골 여행사들의 해외여행 상품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음

 

경쟁 국가별 여행상품 특징 및 극성수기 기간

 ❍ 코로나 이전 시기에 겨우 2천명 가까이였던 베트남 몽골인 관광객들이 2023년도에 16,000명으로 급증한 만큼 열대국가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 (20243월부터 무비자 입국 허가제도 시행)

   - 베트남 여행 극성수기 기간은 12~3월이며 냐짱, 다낭, 푸꾸옥 등 지역이 여행지로 많이 알려졌음. 해당 기간 동안 베트남 전세기 주 4-5회 운항

   - 대부분의 베트남 여행상품은 바닷가를 즐기며 리조트에서 휴식을 취하는 일정 위주로 구성되며 78일 기준 상품가격 420~460만 투그릭(1,300~1,500달러)

 ❍ 혹한기를 피하는 또 하나의 관광 목적지는 태국이며 베트남 상품에 비해 2-3일 관광 일정으로 구서되며 상품 기간은 평균 67일임 (20081월부터 무비자 입국 허가제도 시행)

   - 상품가격은 항공권 편도 포함 290~320만 투그릭(900~950달러)

   - 태국 관광 성수기 기간은 몽골의 혹한기 기간인 12~3월이며 푸껫 지역 관광상품이 대다수임

 ❍ 튀르키예 여행 수요가 여름철에 가장 높으나 혹한기에도 튀르키예를 여행 목적지로 하는 몽골인 관광객들이 많음 (201310월부터 무비자 입국 허가제도 시행)

   - 튀르키예 여행상품은 주로 78일 일정으로 구성되며 자유 일정보다 관광시설 탐방 일정 위주임

        (주요 관광 지역 : 안탈리아, 파묵칼래, 이스탄불 / 상품가격 : 480~500만 투그릭)

   - 또한 의료서비스 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의료관광 목적지를 튀르키예로 선택하는 몽골인들이 증가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