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국내시장동향 상세 내용 - 구분 제목 권역 등록일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필리핀 크루즈산업 현황과 전망

마닐라지사|2024.06.25 16:07

      검토배경

세계관광기구(UNWTO)는 세계 관광산업에서 해양관광이 차지하는 비중을 50% 이상으로 분석(UNWTO, 2023)

이 중 크루즈산업은 2019년 이전 관광산업의 연평균 4.9% 성장률을 상회하는 5.4%씩 성장(CLIA, 2019)

  • 고용창출, 세수, 수출소득, 관광활성화 등 승수효과가 타 산업 대비 큰 산업

2019년 기준 크루즈여행객은 2,970만명, 매출액은 1,545억달러, 고용인력은 116만명

- 승객 1인당 출발지 항구에서 평균 385달러, 목적지항구에서 100달러 지출

팬데믹 기간동안 항해금지명령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나, 크루즈여행에 대한 보복수요가 폭발하면서 정상 회복 전망

필리핀은 수요적인 측면에서 2022년 기준, 아시아에서 싱가포르, 인도, 말레이시아, 일본, 인도네시아에 이어 승객 송출 6위 시장이며, 한국보다 빠르게 크루즈 관광시장 회복중

공급적인 측면에서는 크루즈에 종사하는 필리핀인 승무원은 전세계 크루즈 산업 전체인력의 10% 이상으로 추산되어 큰 비중 차지

해양관광진흥법 등 3개 법안이 대한민국 국회에서 의결되어 해양레저관광의 육성과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국회 본회의 의결, 24.1.9)

크루즈 산업의 특성 및 현황

크루즈 산업의 특성

조선산업에 비해 매우 높은 기술수준이 요구되고, 선박의 대형화를 통해 유지 비용을 감소시키고 승객의 편의시설을 늘려 크루즈여행을 대중화 시키는 노력을 지속하면서 승객의 선상지출 증대전략 사용

전 세계 자본과 노동력을 동원하여 선박의 대형화, 대량 승객 승선 가능

- 선박은 바하마, 파나마 등록, 자본은 뉴욕 및 런던 증시 조달, 노동력은 남미 및 동남아 등 저임금 국가에서 충원하여 승객 연령대 확장 및 규모 확대

지상최대 세계 최대 크루즈 선박인 Icon of the seas호의 경우, 25 만톤 규모로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과 비슷한 길이, 최대 탑승가능인원 5,610, 레스토랑 수 40, 선내 데크 20, 갑판의 조깅트랙길이 669m, 객실수 2805, 2만여종의 식물이 자라는 선상공원 등 보유

노동집약적인 크루즈 여객선 운영

- 일반적으로 크루즈 선박은 승객:승무원 비율이 2:1 정도이며, 고급크루즈의 경우 1:1에 근접

- 선실 승무원, 엔지니어, 주방장, 호텔 지배인은 직접고용하나, 객실, 식당 등의 저숙련 노동자는 에이전트를 통한 간접고용

- 종사자들의 임금과 근로조건이 국적·인종·젠더에 의해 분절화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북미, 서유럽 남성-호텔 메니저, 크루즈 진행자, 보안 책임자, 동유럽 여성-리셉션, 카지노 딜러, 엔터테이너, 고객관계, 중남미, 동남아 남성-식당, 객실 업무 등)

필리핀은 약 12백만명의 자국민들이 해외에서 근무하며 필리핀 국내총생산의 8.9%에 해당하는 348억달러를 송금하는데 이중 크루즈 산업에만 12만명이 종사하고 있음

 

세계 크루즈 시장 현황과 전망

크루즈 탑승객의 출신지역(단위: 백만명)

- 2023년에는 2019년 대비 전세계적으로 6.8% 성장하였으나, 아시아시장의 경우 팬데믹 이후 중국의 회복세가 늦어지고 있는 상황

지역

2023

2019

성장률(2023/2019)

북미

18.1

15.7

17.5%

유럽

8.2

7.7

6.5%

아시아

2.3

3.7

-37.7%

오세아니아

1.34

1.35

-1.0

남미

0.996

0.935

6.6

전체

31.7

29.7

6.8%

자료: State of the Cruise Report(2024)

크루즈 탑승자의 국적(단위: 백만명)

external_image

자료: State of the Cruise Report(2024)

 

2023년 크루즈의 목적지

- 2023년 대부분의 목적지는 캐리비안 연안, 지중해, 북유럽, 남미, 아시아, 대양주 순으로 나타남

external_image

자료: State of the Cruise Report(2024)

크루즈 공급예측

- 2024-2028년까지 매년 연평균 10% 이상의 공급 확대가 예상됨

external_image

자료: Statista’s State of the Cruise Report(2024)

 

크루즈 승객 성장 전망

- 2023년에는 317십만명의 승객이 탑승하여 2019년 팬데믹 이전의 107%가 회복이 되었으며, 국제관광객이 88% 정도의 회복을 보이고 있는 것에 비교하면 다른 관광활동에 비해 빠른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2027년에는 40백만에 달할 것으로 예상

external_image

자료: Statista’s State of the Cruise Report(2024)

 

크루즈 선사 및 기항지

세계 크루즈 선사는 카니발, 로얄 캐리비안, 노르위지안, MSC 4개사가 전체시장의 83.4를 차지

거대한 크루즈 회사들은 동남아 및 카리브 해의 관광에 의존하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입항료로 승객 1인당 5달러 이하의 낮은 입항료를 지불하는 구매협상력을 통해 탑승권의 단가를 낮춤

아시아 크루즈 시장 현황

‘19년 기준 아시아 크루즈 승객은 374만명으로 전세계 시장의 12.6% 차지

홍콩, 한국, 일본에 비해 필리핀의 경우, 부유한 노년층이 아닌 나이가 젊은 부자들의 탑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크루즈 이용 승객의 평균 나이와 탑승기간

external_image

자료: CLIA Asia Market Report(2022)

필리핀 크루즈산업 정책 및 현황

크루즈 산업 관련 정부기관

기관명

주요 업무

Philippine Ports Authority(필리핀 항만청)

항만시설 건설, 유지 보수 관리 통계 등

Depatment of Tourism(관광부)

크루즈관광산업 전략 수립

Tourism Promotion Board(관광청)

관광산업 홍보 등 담당

크루즈산업의 하드웨어 관리와 통계관리를 필리핀항만청이 관리하고 있고, 소프트웨어는 관광부와 관광청이 담당

통계관리와 진흥 및 홍보기관의 상호협력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언론에 발표되는 자료들이 불일치되는 경우 빈번

필리핀 크루즈 산업의 SWOT 분석

기회 및 강점요인

- 글로벌 선사의 아시아 기항확대와 한··일 등 잠재관광객 수요가 많은 지역과 지리적 인접성

-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크루즈관광에 대한 높은 관심

- 우수한 영어구사능력을 바탕으로 저렴한 인건비의 선원 및 서비스 인력 보유

   - 7천개 이상의 섬들과 천연의 해양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한 크루즈관광객 유인

약점 및 위협요인

- 크루즈전용부두 및 마닐라지역 이외 지역의 배후시설 부족

- 해양 관광자원 외 각 지역의 면세점, 쇼핑센터, 관광지 등 크루즈 연관산업 부족

202346개의 관광지에 125, 88천명의 크루즈 관광객 방문

동남아 국가들 간 합의를 통한 공동 대응 노력을 통해 크루즈관광산업 진흥 도모하고 있으며, 필리핀의 크루즈 인바운드 시장은 7,107개 이상의 섬들과 아름다운 해양자원을 바탕으로 크루즈선사 기항을 유도하고 있음

크루즈입항은 2019년에 비해 202341.2% 정도 회복에 그치고 있으며, 이는 중국과의 영해권 분쟁으로 불편한 관계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

연도별 크루즈 입항객

연도

마닐라/ LUZON

VISAYAS

2019

198,926

14,839

213,765

2020

16,173

5,441

21,614

2021-2022

-

-

-

2023

85,282

2,798

88,080

2024

70,375

2,689

73,064

자료: Philippine Ports Authority(2019-2024 통계)


크루즈선 유치에 대한 중앙정부와 분권화된 지방정부의 관심이 큼

관광부장관이 직접 크루즈 선박입항 환영식을 개최하는 등 유치에 적극적

Manila Siergao 지역에 2024년 말까지 크루즈 전용터미날을 건설 예정

필리핀 크루즈산업 성장률 및 인바운드 외화수입액

2024년 필리핀 크루즈 시장 매출은 32백만불 예상하며, 2028년에는 40백만불 예상

1인당 소비액은 460, 2024-2028 5개년의 연평균성장률은 5.62%

2028년에는 83천명이 크루즈를 이용하여 시장침투율도 0.07%까지 확대 예상

크루즈관광 판매는 전통적여행사들이 활동하고 있으나, 전체매출의 19%OTA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

필리핀의 크루즈 산업 종사자수는 전세계 크루즈 전체인력의 약 10%

필리핀은 매년 46만명의 선원을 배출하고 있으며, 다국적 선원의 약 25%150십만명의 필리핀 출신의 선원이 활동중

2019년 통계기준 519,031명의 다른 나라에서 고용된 선원들이 65억 달러를 필리핀 국내로 송금하며, 이 중 크루즈 인력은 약 12만 명으로 추산

시사점

(공급측면) 크루즈 산업의 고용은 선사, 조선소 및 선내 서비스 분야에서 발생

크루즈 산업의 고용은 크루즈 모항지역과 관련산업이 발달한 지역에서 대규모로 창출되며, 단순 기항지에서는 고용창출효과가 미미

크루즈 선박가격이 10만톤 선박 1척의 가격이 1조원 이상으로 선박 건조 과정에서도 금융 및 비즈니스 서비스 분야에서도 대규모 고용 발생

필리핀을 비롯한 동남아는 기항지 또는 단순한 인력 공급처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은 주로 기항지 역할에 그치고 있으나, 모항지 역할을 확대하고 있는 중국은 한·일 양국에 비해 지출과 고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크루즈 전문 조선소가 발달한 유럽은 미국보다 아웃바운드 수요는 적으나 크루즈 산업의 직접고용 이외의 높은 간접고용을 유지

단순 노무직 선원인력이 아닌 크루즈상품 관리 운영의 중간관리자층 이상 인재 육성을 통한 산업적 지원 필요

(수요측면) 잠재수요가 큰 크루즈산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적 계획 필요

아시아 전체적으로 늘어나는 크루즈 수요에 한국도 대비할 필요

- GDP가 한국의 1/3 수준인 대만의 크루즈 관광객은 39만명으로 한국의 9배 수준이며 한국도 노령화 및 고급화되는 관광추세에 따라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크루즈 수요에 대비하여 모항크루즈 공급 등 대응정책 수립 필요

 

자료 출처 :

https://www.pna.gov.ph/articles/1195304

https://cruising.org

https://www.mof.go.kr/doc/ko/selectDoc.do?docSeq=48931&menuSeq=375&bbsSeq=9

https://news.koreadaily.com/2024/02/13/life/leisure/20240213120112643.html

https://www.rappler.com/business/philippines-hopes-become-asia-cruise-hub-tourism-ramp-up/

https://www.statista.com/outlook/mmo/travel-tourism/cruises/philippines

https://www.msn.com/en-ph/travel/news/ship-agents-getting-ready-for-philippine-cruise-tourism/ar-BB1idI4Y

https://www.whatsinport.com/Philippines_ferry.html

https://www.bts.gov/ports

https://www.offshore-energy.biz/unctad-asia-ranked-as-worlds-largest-seafarer-pool/

https://www.philstar.com/lifestyle/travel-and-tourism/2024/05/30/2359122/cruise-line-making-port-philippines-2025

https://cruising.org/-/media/clia-media/research/2024/2024-state-of-the-cruise-industry-report_updated-050824_web.ashx

https://www.pna.gov.ph/articles/1227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