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자흐스탄] 주요 관광시장동향(2024년 6월) |
|||||||||||||||||||||||||||||||||||||||||||||||||||||||||||||||||||||||||||||||||||||||||||||||||||||||||||||||||||||||||||||||||||||||||||||||||||
|---|---|---|---|---|---|---|---|---|---|---|---|---|---|---|---|---|---|---|---|---|---|---|---|---|---|---|---|---|---|---|---|---|---|---|---|---|---|---|---|---|---|---|---|---|---|---|---|---|---|---|---|---|---|---|---|---|---|---|---|---|---|---|---|---|---|---|---|---|---|---|---|---|---|---|---|---|---|---|---|---|---|---|---|---|---|---|---|---|---|---|---|---|---|---|---|---|---|---|---|---|---|---|---|---|---|---|---|---|---|---|---|---|---|---|---|---|---|---|---|---|---|---|---|---|---|---|---|---|---|---|---|---|---|---|---|---|---|---|---|---|---|---|---|---|---|---|---|
|
첨부파일 |
|||||||||||||||||||||||||||||||||||||||||||||||||||||||||||||||||||||||||||||||||||||||||||||||||||||||||||||||||||||||||||||||||||||||||||||||||||
|
□ 카자흐스탄 알마티市, 'Almaty Pass' 관광카드 출시 및 판매 개시(5.28.~) ㅇ 알마티 소재 주요 관광명소 10개 입장은 물론 2층짜리 관광버스 Nur Bus도 무료로 탑승 가능한 관광패스가 출시되어, 패스 없이 개별 관광지를 방문할 때보다 평균 63% 절약할 수 있게 됨. ㅇ 패스는 1일권(24시간), 3일권(72시간) 총 2종이 있으며, 가격은 연령에 따라 1일권은 9,990~13,990텡게(약 3~4만원), 3일권은 11,990~15,990텡게(약 3.5~5만원) 정도임. ㅇ 공식 웹사이트(almaty.citypass.kz)에서 온라인 구매가 가능하며, 구매 후 부여받은 개별 QR코드를 첫 번째 명소 방문 후 24시간 또는 72시간 이내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음. □ 알마티 공항 국제선 신청사(제2터미널) 완공 후 운영 개시(6.1.~) ㅇ 2022년 6월부터 수송량 확대를 위해 제2터미널 착공에 들어간 알마티공항이 2년 간의 공사를 마치고 지난 6월 1일부터 임시 운영에 들어갔으며, 6월 14일부 정식 국제선 터미널로 운영 개시함(기존 터미널은 국내선 청사로 활용). ㅇ 이로써, 알마티공항의 연간 수송량은 여객 1,400만 명, 화물 1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 Air Astana, 아스타나-인천 직항노선 운항 재개(6.15.~, 주2회) ㅇ 6월 15일부 수도 아스타나발 인천행 직항노선 운항 재개(수/토, 주2회) ㅇ 해당 노선은 '15년 6월 신규 취항하여 2020년 팬데믹으로 단항되었다가 이후 4년 여 만에 복항되는 것으로,이번 재취항에는 총 좌석 수 166석의 에어버스 A321NeoLR 기종이 투입됨(비즈니스 16석, 이코노미 150석). □ ’23년 카자흐스탄 아웃바운드 여행시장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완전 회복 ㅇ ’23년 말 기준 카자흐스탄인의 아웃바운드 여행(1,050만 명)은 이미 코로나19 이전 수준(1,070만 명)에 근접하였으며, 최근 4년 간 국내여행보다 해외여행을 즐긴 사람이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남(카자흐스탄 통계청 데이터). ㅇ 카자흐스탄 아웃바운드 관광객 대부분은 26~40세의 평균 이상 소득자로, 여전히 많은 수가 인접 국가인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을 비롯하여 동일한 이슬람 문화권인 튀르키예,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등을 주로 방문하고 있음. 향후 동북아 2개국 이상 결합상품을 개발하여 20~30대 타깃 ‘새로운 관광 목적지’로 집중 마케팅 할 필요가 있음. □ 한국-카자흐스탄 관광교류 현황 ㅇ카자흐스탄 → 한국 입국자 수 (단위: 명)
* ’23년 전체 방한객 수(11,031,665명/전년比 245%↑)는 ’19년(코로나 이전) 대비 63% 수준까지 회복된 반면, 카자흐스탄 방한객 수(46,874명/전년比 54.8%↑)는 ’19년 대비 88.5% 수준까지 회복됨 ㅇ 한국 → 카자흐스탄 입국자 수 (단위: 명)
※ 한국관광 데이터랩, Bureau of National Statistics 및 Tengri Travel, Astana Times, informburo.kz 등 현지 언론 종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