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1월)_러시아 서부시장 관광동향_의료관광 경쟁국 시장 동향(튀르키예) |
||||||||||||||||||||||||||||||||||||||||||||||||||||||||||||||||||||||||||||||||||||||||||||||||||||||||||||||||||||||||||||||||||||||||||||||||||||||||||||||||||||||||||
---|---|---|---|---|---|---|---|---|---|---|---|---|---|---|---|---|---|---|---|---|---|---|---|---|---|---|---|---|---|---|---|---|---|---|---|---|---|---|---|---|---|---|---|---|---|---|---|---|---|---|---|---|---|---|---|---|---|---|---|---|---|---|---|---|---|---|---|---|---|---|---|---|---|---|---|---|---|---|---|---|---|---|---|---|---|---|---|---|---|---|---|---|---|---|---|---|---|---|---|---|---|---|---|---|---|---|---|---|---|---|---|---|---|---|---|---|---|---|---|---|---|---|---|---|---|---|---|---|---|---|---|---|---|---|---|---|---|---|---|---|---|---|---|---|---|---|---|---|---|---|---|---|---|---|---|---|---|---|---|---|---|---|---|---|---|---|---|---|---|---|
첨부파일 |
||||||||||||||||||||||||||||||||||||||||||||||||||||||||||||||||||||||||||||||||||||||||||||||||||||||||||||||||||||||||||||||||||||||||||||||||||||||||||||||||||||||||||
<의료관광 경쟁국 시장 조사_튀르키예> □ 러시아 아웃바운드 관광 시장 동향(2023년_상반기) ❍ ̓23년 아웃바운드 관광 전년동기比 38%↑, 인바운드 관광 22%↑ ※ 아웃바운드( ̓24 년 8.5백만→ ̓23년 11.7백만) / 인바운드( ̓24 년 5.8백만→ ̓23년 7백만) ❍ 러시아 아웃바운드 관광객 ̓19년 대비 55% 회복 ❍ 러시아 – 중동/아시아 직항 노선 운영 국가 중심 성장세 급증 ※ 전년동기比 : 튀르키예(65%↑), 카작(76%↑), UAE(90%↑), 태국(1,720%↑), 중국(265%↑) ❍ 유럽 방문 러시아 관광객 ̓22년比 ▴43%, ̓19년比 ▴90% ❍ 방한 러시아 관광객 2023년 1-7월 91천명(전년동기비比250%↑) <출처 : 러시아 통계청(EMICC)의 관광객 입출국 통계/한국관광데이터랩>
□ 러시아 의료관광목적 아웃바운드 시장 동향(2023년_상반기) ❍ 러시아 의료관광 주요 목적지인 독일 80~99%( ̓19년比) 감소 추정 ※ 유럽관광위원회 약 ▴80% 추정, 러시아 통계청 ▴99% 발표. 제3국 경유 입국의 경우 러시아 통계에 산정 애로로 발표 기관에 따라 통계가 상이함 ※ 2019년 독일 입국 러시아 관광객 약143만 명으로 2023년 약 10만 명 내외 추정* * (추정계산) 러시아인 대상 쉥겐비자(최대 2년 유효) 발급 수 21년(2.5만건), 22년(4만건) 으로 21-22년 재방문 1회시 약 7만명+23년 신규발급 수(22년 기준) 4만명=11만명 내외 추정 <출처 : European Travel Commission_Quarterly Report/러시아 통계청(EMICC)/쉥겐비자> ❍ 튀르키예, 이스라엘 국가 러시아 의료관광객 증가 추정 - 동 국가 러시아 관광객 무비자 입국 가능 및 기존 의료관광 목적 국가 로써, 유럽 방문 제약에 따른 증가 추정 ※ 러시아 관광객 튀르키예 방문 65%↑, 이스라엘 방문 69%↑ <출처 : 러시아 통계청(EMICC)> ❍ 2022년 프랑스(911%), 독일(652%), 핀란드(427%) 쉥겐비자 발급 증가. 단, 유럽국 쉥겐비자 발급 2019년 대비 약 15% 수준임(19년 총 400만건, 22년 총 60만건) □ 튀르키예 인바운드 관광 ❍ 튀르키예 입국 국가 1위, 러시아 (단위 : 만 명)
<출처 : 튀르키예관광청> ※ ̕17년 ~ ̕21년까지 튀르키예 입국 국가 1위는 러시아. ̕22년 러시아 2위 차지(1위 독일과 약 40만 명 차이), 독일, 튀르키예 입국 국가 2~3위 유지 ❍ 러시아인의 튀르키예 입국 지속 1위 요인 - 코로나 발생 직후 선제적 국경 개방 · ʼ20.3.28 국경 폐쇄 → ʼ20.5.20 중증 분야 의료관광객 대상 입국 허용 ※ 러시아, 중동, 독일 등 30개국 중증분야 의료관광객 대상 입국 허용. 다만, 진료 과목, 입국 공항/육로, 동반인 수 등 다소 제한적 허용이었음 - 러시아인 튀르키예 무비자 입국 가능 - 러-우 사태 이후에도 직항 노선 운영 및 튀르키예 소도시 직항 확대
□ 튀르키예 외국인 의료관광객 유치 동향 ❍ 의료관광객 유치 통계(의료+헬스) (통계 기준년도 : ̓18년~ ̓23년 상반기)
<출처 : 튀르키예 의료관광협회> - ̕20년 코로나 발생에도 불구하고 ̕21년 68%↑,̕22년 213%↑ - 증가요인 : 선제적 국경 개방, 저렴한 시술 비용, 천혜의 기후 조건 · 선제적 국경 개방으로 인한 의료관광 수요 회복 추정 · 의료선진국(유럽/한국 등) 대비 저렴한 시술 비용 · 좋은 기후적 요건으로 인한 웰니스(건강, 온천 등) 발달 장점 요인 ❍ 튀르키예 의료관광객 유치 통계분석 - 2022년 주요 진료과목 의료관광 수입(2022년 총 40억 달러 추정) · 모발이식 20억$, 치과진료 5억$, 성형 부문 4억 달러, 기타 11억$ ※ 튀르키예 언론기사에 따라 의료관광 수입 총액은 다소 상이함(세부 내용 확인 다소 애로점이 있음) <출처 : 튀르키예 의료관광협회회장 언론보도 기사> - 주요 진료과목 : 모발이식(50%), 치과(25%), 성형 및 미용 등 <출처 : 튀르키예 의료관광협회 통계 2022년 기준> - 진료 과목별 의료관광객 수 추정(2022년 기준)
※ (참고) 2018년 튀르키예 방문 러시아인 온천관광 목적 관광객 약 8만명(언론보도자료) - 튀르키예 의료관광 인바운드 관광 통계 시사점 · 경증 중심 의료관광 집중 수요 · 튀르키예 방문 러시아인 웰니스 및 온천관광 선호( ̕18년 약 8만 명 추정) · 의료 선진국 대비 모발이식의 저렴한 비용으로 인한 특화분야 발달
❍ 러시아인 튀르키예 의료관광 목적 선호 요인 - 직항 노선 운영(러-우 사태 이후에도 항노 유지 및 증편) - 튀르키예의 의료관광의 저렴한 비용 (단위: 유로)
※ 동 진료 비용은 러시아 에이전시 대상 문의에 따른 결과로 실제와 다소 상이할 수 있음 - 모발이식의 특화 분야 수요 선점 및 패키지 상품 판매
※ FUE : 비절개 모낭 적출 방식, 수술 후 흉터, 통증, 후유증이 적음 ※ DHI : 임플렌터 식모기를 사용하여 탈모 부위 이식 방법, 높은 생존율 · 모발이식의 시술은 다수의 국가가 동일하나 패키지 상품 구성 부족 · 튀르키예의 경우 숙박, 교통, 수술 후 사후관리 등을 패키지로 구성 판매 - 지정학정 요인에 따른 천혜의 자연 환경 연계 웰니스 상품 다수 보유 · 해변에 위치한 웰니스 호텔 운영(스파, 기초 검진 등 소규모 진료과목 운영) · 24시간 콜센터 운영(노어, 영어, 독일어 등) · 최첨단 장비 도입 증가 추세(검진 및 중증분야 까지 신장비 도입 증가) · 해외 유명병원 제휴(존 홉킨스, 하버드 등 제휴 홍보) · JCI 인증 56개 병원 보유 ❍ 튀르키예 의료관광 유치 단점 요인 분석
<출처: 튀르키예 의료관광 협회, 튀르키예 보건산업부, KHIDI 한눈에 보는 국가별 보건 산업현황 (2021년)> - OECD 주요 국가 대비 현저히 낮은 의료진 및 병상 수 · 의료진의 낮은 기본급여 및 퇴직금에 따라 의료인 비선호 직종 - 의료장비 부족으로 인한 중증분야 의료관광객 유치 애로 - 의료진 부족으로 인한 해외 의료진 유치 증가로 진료/시술비 상승 가능성 존재. 이로인한 중증 분야 유치 증대 단점 요인 작용 ❍ 유치 단점 보완을 위한 정부차원 노력 - 국내 의료진 양성을 위한 정부 지원 확대 - 2021년 2월 민간병원의 외국인 의료 전문가 채용 허가 - 의료진 확충을 위한 외국인 의료진 대상 낮은 임대료 혜택 및 고임금 지불 정책 운영 <출처: BBC(2021.12.15.) 보도자료>
□ 기타 사항 (러시아 에이전시 의견 등) ❍ 한국 의료기관의 높은 비대면* 진료비용(독일, 튀르키예, 이스라엘 등 타 국가 대비 약 2배 차이) * 환자 비대면 진료 불가하며, 의사간에 환자에 대하여 비대면 의견 교환 ※ 다만, 러시아 에이전시의 의견인점 참고 요망 ❍ 유럽국가 제3국가 활용 러시아 의료관광객 유치 노력 증가 추세 - 이탈리아 산도나토병원 그룹 러 의료에이전시와의 워크숍 - 독일 개인병원 의사들 해외(CIS 국가, 튀르키예) 에서 러시아 환자 진료 - 모스크바에 위치한 유럽 병원 EMC, 이스라엘 병원 hadassh 랜선 병원 투어를 통한 홍보. 텔레그램 등 SNS 활용 적극적 홍보 중 ❍ 인도 Arihant 병원 러 에이전시 대상 팸투어 실시 등 적극 공략 ❍ 러시아 에이전시 및 병원에서 한국 의료기관과의 교류 확대 및 네트워킹 재개, 신규 파트너 쉽 구축 희망 ※ 튀르키예 및 유럽국가 대비 한국 병/의원 및 에이전시 교류 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