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비스업생산지수 개요
○ (정의) 서비스업 전체 및 개별 업종 생산 활동의 종합적 파악을 위해 개별 업종의 상대적 중요도인 부가가치 기준 가중치를 적용하여 지수화한 것
* [가중치 산정방법] 기준연도(2020년)를 100.0으로 하여 월별 산정
○ 통계청에서 월별(조사대상 월의 익월 말) 공표
○ 서비스업 성장세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국가 경제정책 수립 등에 활용
* 서비스업생산지수 개편(2023년) 시 한국표준산업분류상 세분류까지만 공표함에 따라(기존은 세세분류까지 공표),
세세분류인 휴양콘도 운영업(55103)은 '23.2월부로 미공표
* 호텔업의 경우 세세분류에 해당되나, 통계 이용자 수요에 따라 동 지수에 포함
□ 2023년 11월 관광 관련 서비스업생산지수 (불변지수 기준)
○ 산업별 서비스업생산지수 > 관광 관련 유관 업종 발췌
8월
구분 |
서비스업생산지수(2020=100.0) |
증감률(%) |
’22년 11월 |
’23년 10월 |
’23년 11월 |
전년동월대비 |
전월대비 |
총 지수 |
113.4 |
114.4 |
115.6 |
1.9 |
1.0 |
철도 운송업
|
163.8 |
165.1 |
170.4 |
4.0 |
3.2 |
육상 여객 운송업 |
109.6 |
104.5 |
105.5 |
△3.7 |
1.0 |
해상 운송업 |
106.7 |
145.0 |
130.8 |
22.6 |
△9.8 |
항공 여객 운송업 |
255.4 |
437.5 |
383.5 |
50.2 |
△12.3 |
숙박업 |
144.0 |
154.5 |
143.0 |
△0.7 |
△7.4 |
호텔업 |
165.4 |
183.5 |
181.7 |
9.9 |
△1.0 |
음식점 및 주점업 |
117.2 |
116.8 |
112.9 |
△3.7 |
△3.3 |
음식점업 |
115.7 |
113.9 |
111.3 |
△3.8 |
△2.3 |
한식 음식점업 |
115.0 |
115.0 |
111.2 |
△3.3 |
△3.3 |
외국식 음식점업 |
151.1 |
157.3 |
155.9 |
3.2 |
△0.9 |
주점 및 비알코올 음료점업 |
125.4 |
132.9 |
121.7 |
△3.0 |
△8.4 |
주점업 |
122.2 |
111.1 |
107.3 |
△12.2 |
△3.4 |
커피 등 비알코올 음료점업 |
126.4 |
141.8 |
127.6 |
0.9 |
△10.0 |
여행사업 |
219.0 |
404.5 |
417.1 |
90.5 |
3.1 |
스포츠 및 오락 관련 서비스업 |
148.7 |
175.0 |
149.3 |
0.4 |
△14.7 |
스포츠 서비스업 |
137.5 |
166.9 |
139.5 |
1.5 |
△16.4 |
경기장 운영업 |
632.7 |
1,147.3 |
687.8 |
8.7 |
△40.1 |
골프장 및 스키장 운영업 |
107.6 |
130.6 |
104.1 |
△3.3 |
△20.3 |
유원지 및 기타 오락 관련
서비스업 |
169.6 |
188.4 |
167.2 |
△1.4 |
△11.3 |
유원지 및 테마파크 운영업 |
196.4 |
314.7 |
190.0 |
△3.3 |
△39.6 |
오락장 운영업 |
147.5 |
158.4 |
162.0 |
9.8 |
2.3 |
사행시설 관리 및 운영업 |
172.1 |
179.8 |
164.4 |
△4.5 |
△8.6 |
○ 서비스업생산지수 산업특수분류 > 관광서비스업
특수
구분 |
서비스업생산지수(2020=100.0) |
증감률(%) |
’22년 11월 |
’23년 10월 |
’23년 11월 |
전년동월대비 |
전월대비 |
관광서비스업 |
120.0 |
124.9 |
122.1 |
1.8 |
△2.2 |
※ 최근 2개월('23.10~11월)의 데이터는 잠정치로서 추후 확정치로 수정될 수 있음.
- 출처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서비스업생산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