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관광통계/발간보고서

해외시장동향 상세 내용 - 구분 제목 지사 등록일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52호] 2020년 3분기 동향

지역관광개발팀|2020.10.12 10:55

첨부파일

 ■ 코로나-19로 인한 관광의 트렌드 변화

 

2020년 1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의 여파로 대한민국 관광의 구조가 큰 폭으로 변화되고 있음. 앞으로 코로나가 끝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열리게 되면, 변화된 관광의 트렌드는 코로나 이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이에 코로나 시대를 겪으면서 나타난 관광분야의 트렌드를 짚어보고자 함

 

“자연, 아웃도어 관광활동의 증가”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시책과 실내 공간에서 바이러스의 전염 등의 우려에 따라 자연, 아웃도어 관광활동이 큰 폭으로 증가함. 대표적으로 캠핑, 차박, 골프, 등산 등의 활성화되는 경향이 나타남. 이 같은 현상은 100세 시대의 건강, 힐링 트렌드와 결합하면서 자연에서의 건강한 삶과 여가의 의 추구라는 니즈로 증폭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관광개발 및 투자유치에 있어서도 실내형 공간보다는 아웃도어, 자연의 가치를 극대화한 사업이 점차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가까운 곳에서 잦은 여가활동 추구”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장거리 여행, 해외여행이 제한되고, 이에 대한 대체제로 가까운 곳에서 잦은 여가활동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음. 또한 마스크 없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가족들 간의 여가시간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음. 서울의 경우 한강공원의 이용객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각 지방도시의 경우에도 주변 1시간 이내에 자가용으로 찾을 수 있는 야외 공간에 대한 방문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 이 같은 가족 간의 잦은 여가 추구는 코로나가 끝난 이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지며, 관광시설의 기획 및 운영에서 있어서 가족들 간 함께하는 프로그램 등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해외여행의 대체재로 제주, 강원도 등 활성화” 2019년에 국민의 해외여행객 수는 2,871만 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였으나, 현재는 95% 이상 급감한 현상을 보이고 있음. 이에 해외여행의 대체 여행지로 제주도와 숙박시설이 잘 갖춰져 있는 강원도 등이 활성화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 이처럼 국내 여행이 활성화 될 시기에 양질의 서비스를 제고하여, 해외여행 못지않은 여행경험을 제공한다면, 코로나 이후에 국내 관광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됨.

 

“2nd하우스, 콘도미니엄 등 분양시장의 활성화” 높은 현금 유동성을 갖춘 국민들이 크게 증가하였고, 은퇴이후의 여유로운 삶에 대한 니즈 증가, 코로나19로 인한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 증가로 고소득자 중심으로 2nd하우스, 콘도미니엄 등에 대한 분양시장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음. 최근 취사시설을 갖추고, 1인 1세대 등기분양이 가능한 생활숙박시설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콘도미니엄 분양상품과 더불어 숙박시설의 분양시장을 이끌고 있음.

 

관광개발, 관광투자유치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트렌드의 반영이 절실한 상황이며, 현재 나타나고 있는 코로나19의 관광트렌드는 코로나가 끝난 이후인 포스트코로나시대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관광개발, 관광투자유치를 담당하는 관계자는 현재의 변화하는 관광트렌드를 유심히 살펴보고, 발 빠르게 적용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