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관광통계/발간보고서

해외시장동향 상세 내용 - 구분 제목 지사 등록일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53호] 2020년 4분기 동향

지역관광개발팀|2020.12.15 15:32

첨부파일

 ■ With코로나,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안적 관광 증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국민적 피로감의 증가와 함께 억눌렸던 여가활동에 대한 욕구 또한 증가하고 있음. 바이러스 유행 초기에는 불가피한 외출을 제외한 대부분의 여가/관광활동을 자제하고 기피하는 경향이 컸으나, 코로나 사태의 장기화에 따라 대안적 여가활동 참여에 대한 욕구 및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 일례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개인적 위생을 지키면서도 여가활동이 가능한 자연 및 아웃도어 활동으로서 소규모 힐링/웰니스관광, 캠핑, 차박 및 골프 등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기존의 대중관광(mass tourism)의 높았던 비중이 점차 안전과 위생이 보장된 소규모/개별 관광으로의 트렌드 변화를 가속화하고 있음. 이는 코로나19의 종식을 소극적으로 기다리며 여가활동을 기피하는 것이 아닌, 코로나와 함께(with 코로나)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의 적극적인 모색 결과로 사료됨. 이러한 대안적 여가 및 관광활동의 수요/욕구 증가와 함께 정부 및 지자체의 대안적 관광상품 개발 및 투자 노력도 가시화되고 있음.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가을철 '제주 웰니스 관광지 15선'을 발표하고 제주관광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웰니스관광지는 '자연·숲 치유', '힐링·명상', '뷰티·스파', '만남·즐김' 등 크게 4개 주제로 구성된 15곳의 관광지로 선정함.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트렌드에 맞춰 경기도의 대표적인 비대면 관광 상품 육성의 일환으로 경기도 외곽을 연결하는 총 860㎞의 둘레길을 2021년까지 조성 추진중임. 경기 둘레길은 도 경계에 있는 15개 시군에 걸쳐 약 2천리의 걷기 여행길을 하나로 연결하는 것으로, 총 60개 코스를 갖추게 될 예정임. 또한, 강원도 인제군은 인제읍 원대리 일원의 자작나무 숲을 정비하고 '명품 숲 랜드' 조성을 추진중임. 트래킹 코스 조성, 체험 및 체류 시설 설치 등 당일 관광에서 체류형 관광지로 전환하고 친환경 힐링공간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정부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움을 겪는 항공과 관광, 면세점 업계 등을 지원하기 위해 착륙지 없이 외국 영공을 통과하는 국제 관광비행을 1년간 허용하기로 하였음. 무착륙 국제 관광비행은 출국 후 다른 나라 영공까지 선회비행을 하고 착륙과 입국 없이 출국 공항으로 재입국하는 새로운 형태의 여행을 말함. 탑승객에게는 일반 해외 여행객과 동일한 면세 혜택이 부여되며, 엄격한 검역·방역 관리 하에 출국을 허용하는 대신 재입국 후 진단검사와 격리조치를 면제하는 방안을 포함함. 한편, 코로나 시대에 캠핑, 차박 등 대안적 숙박에 대한 수요 및 공급의 증가와 함께, 대중제(퍼블릭) 골프장에 대한 수요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음. 코로나로 인해 해외 골프여행을 위한 출입국이 어려워짐에 따라 기존 해외수요가 국내 골프장으로 흡수되며, 국내 골프장의 호황 및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음. 또한, 코로나 시대의 트렌드를 반영한 비대면 및 캐디 없는 골프장의 증가도 나타나고 있음. 

 

현재,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등 코로나 백신의 임상시험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나며, 코로나 백신 및 치료제의 상용화에 대한 기대감 및 코로나 이전의 일상생활로의 복귀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음. 그러나,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코로나의 여파가 일정기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코로나와 함께하는 with 코로나 시대의 환경변화에 발맞추어 새로운 대안적 관광형태에 대한 모색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함. 정부 및 지자체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코로나 시대에 침체되어 있는 관광업계를 슬기롭게 지원 및 육성하고, 변화하는 관광환경 및 트렌드에 능동적/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