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C 및 북부 중동지역) 2025년 7월 관광시장 동향(1차) |
|
---|---|
□ 관광전략 및 정책 동향 ○ (사우디아라비아) 2025년 1분기 외래객 지출액 약 500억 리얄 달성 - 2025년 1분기 해외 방문객 지출액은 9.7% 증가한 494억 리얄(약 84조 원)을 기록하여 268억 리얄(약 10조 원)의 여행수지 흑자 달성 -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에서 관광 산업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비전 2030’에 따라 글로벌 관광 허브로 도약을 이행 중임
○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관광객 1억 1,600만 명 돌파 - 2024년 1억 1,600만 명의 관광객(해외 2,970만 명, 국내 8,620만 명)을 유치하여 2년 연속 연간 목표를 초과 달성. 관광 지출은 2,838억 리얄(약 3,800억 원), 인바운드 관광객 지출은 19% 증가함 - 특히, 비종교 관광이 인바운드 방문객의 59%를 차지하며 관광 산업의 다각화와 강점을 보여줌
○ (카타르) 2025년 1분기 방문객수 150만 명 기록 - 2025년 1분기 축제, 크루즈 관광, MICE 행사를 통해 150만 명 방문객(36%는 GCC 국가 출신) 기록 - 호텔 객실 점유율은 71%, 일일 평균 객실 요금은 445쿠웨이트 리얄(QR), 객실 매출은 317쿠웨이트 리얄(QR)로 전년 대비 감소함 * 호텔업 부문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5년에는 845개의 4~5성금 신규 호텔 객실이 건설될 것으로 예상
□ 비자 제도 및 항공 동향 ○ (GCC) 중동지역 영공 재개 및 항공 운항 재개 - GCC 국가들이 지역 안보 우려로 인해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던 영공을 공식적으로 재개했다고 보도. 이번 운항 중단은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승객과 승무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예방 조치임 - GCC국가들은 현재 정상적인 항공 운항을 재개했으며, 안전이 최우선 과제임을 강조함. 지속적인 지역적 불확실성 속에서 있으므로 여행객과 항공사는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을 권고
○ (쿠웨이트) 여행 효율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전자비자 플랫폼 출시 - 디지털 혁신 및 관광 전략의 일환으로 관광객, 거주민, 공식 방문객의 입국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새로운 전자 비자(e-visa) 시스템을 출시 - 시간 단축, 절차 간소화로 쿠웨이트의 여행, 투자, 외교 매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GCC 그랜드 투어 비자와 통합을 위한 과정임
□ 여행 트렌드 및 시장 동향 ○ (GCC) 2025년 최고의 여름 럭셔리 여행지로 떠오르는 마르베야 - 스페인 마르베야는 중동 불안정과 영공 폐쇄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2025년 여름 부유한 아랍 여행객들의 대규모 유입을 준비하고 있음 - 아랍인 방문객은 수는 적지만 고급 호텔 숙박, 푸에르토 바누스(Puerto Banús)에서의 쇼핑, 그리고 긴 휴가를 통해 마르베야 경제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 여행객의 78.8%가 올여름 나홀로 여행 - 중동 여행 플랫폼 ‘Wego’는 2025년 여름 사우디 여행 트렌드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함. 혼자 여행하는 여행객이 예약의 78.82%를 차지하며, 주로 5성급 호텔을 포함한 고급 숙박이 수요를 주도 - 이집트, 인도, 터키가 주요 여행지로 꼽혔으며, 비자 발급 완화와 항공료 인하로 베트남과 아르메니아에 대한 관심도 급증함 * 젊은 세대의 문화와 개인적인 탐험에 대한 수요 증가 속에서 할랄 준수 및 럭셔리 경험 추구에 기인한다고 분석
□ 경쟁국 및 기타 동향 ○ (태국) 태국의 웰니스 붐, 중동 고급 여행객 유치 - 태국의 웰니스 관광은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2025년 4월까지 16만 2천 명이 넘는 중동 관광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 - UAE 관광객은 하루 8,834바트(THB)로 태국에서 가장 많은 지출을 기록하며, 태국에서 소비력이 높은 고객임. 할랄 음식 등 문화 맞춤형 서비스에 힘입어 관련 지출은 2022년에서 2023년 사이에 두 배 증가
○ (러시아) e-비자 시행 후 사우디 관광객 570% 급증 - 러시아 방문 사우디 관광객 수는 e-비자 시행 후 2024년에 570% 급증하여 약 52,400명에 달하고 2025년 초 모스크바는 전년대비 50% 증가 - 사우디 주요 도시에서 출발하는 직항편과 맞춤형 프로모션으로 러시아는 사우디 가족과 젊은 여행객들에게 인기 있는 여름 여행지로 부상
※ 출처 : 현지 언론 종합 (www.arabnews.com, www.khaleejtimes.com, www.gulfnews.com, www.thenationalnews.com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