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교육여행 현황 및 방한교육여행 전망 |
|
---|---|
□ 조사배경 및 목적 ○ 2022년 일본 교육여행의 국내 중심 회복 및 해외 방면 회복 기대 ○ 일본 국내외 교육여행 동향 파악을 통한 방한 교육여행 단체 유치를 위한 조사 실시 □ 2022년 일본 교육여행 계획 및 실행 여부 ○ 전체 중 98.7%가 수학여행을 계획, 실시함 ○ 코로나19 영향에 의해 해외 교육여행 계획, 실시율은 저조 □ 일본 중학교의 국내 교육여행 실태 ○ 국내수학여행 실시율은 98.4%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 ○ 실시시기는 4월~7월, 9월에 집중 ○ 실시학년은 약 80%가 3학년 때 실시 ○ 평균 여행일수는 3.1일, 학생 1명당 여행비용은 약 7만엔 □ 일본 고등학교의 국내 교육여행 실태 ○ 국내수학여행 실시율은 98.4%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 ○ 실시시기는 10월~12월에 집중 ○ 실시학년은 약 90%가 2학년 때 실시 ○ 평균 여행일수는 4.0일, 학생 1명당 여행비용은 약 10만엔 □ 일본 중·고등학교 해외 교육여행 실태 ○ 해외교육여행은 코로나19 이전 기준 1/8로 감소 ○ 실시시기는 10월~12월이 많고, 8월 이전까지 전무 ○ 방문국가로는 호주(1위), 싱가포르(2위), 미국본토(3위) 순으로 집계 □ 경쟁국(대만) 방면 교육여행 현황 ○ 대만은 일본 해외 수학여행 시장에서 전체 1위를 차지하고 있음 ○ 일본 시장 트렌드를 반영하여 SDGs 관련 프로그램도 집중 홍보하고 있음 ○ 양국 교류 뿐 아니라 B&S 프로그램 등 다양화 되어 있음 ○ 일본어 및 영어가 가능한 현지 언어적 특성으로 시장 내 독보적 입지 차지 □ 해외수학여행지 결정 과정 ○ 해외 수학여행지 결정은 매년 1월~3월 기간에 이루어짐 ○ 학교에서 수학여행 국가를 결정 후, 여행사 별 견적을 받아 최종 결정 □ 시사점 및 결론 ○ 다목적 소인원 구성의 해외 교육여헹에 의한 세분화된 타깃별 접근 필요 ○ 코로나19로 인해 단절된 학교 관계자와의 네트워크 구축 필요 ○ 학습 효과 극대화를 위한 수학여행 프로그램 구성 필요 ○ 2년전에 수학여행지가 결정되므로 장기적 관점에서의 접근 필요.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