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국내시장동향 상세 내용 - 구분 제목 권역 등록일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홍콩) 홍콩 해외여행시장, 일본과 한국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회복

홍콩지사|2022.10.28 12:19

 홍콩 해외여행시장, 0+3정책으로 완화된 이후 일본과 한국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회복

□ 0+3정책으로 완화된 이후(9.26~) 일본, 한국 등을 중심으로 해외여행 예약 크게 증가.

    본격적인 회복은 항공공급이 확대되는 12월 이후로 예상

□ 행정장관 시정연설을 통해 0+0정책으로 추가완화 발표를 기대하였으나, 관련 발표가 없어 업계 크게 실망.

    홍콩정부는 추가 방역정책 완화에 대해 매우 신중한 입장

□ 홍콩 10대 여행사 중 하나인 홍타이(Hong Tai), 코로나19로 인한 경영난으로 '22.10월말 최종 파산결정

 

PART 1

관광정책 (인·아웃바운드 동향)

□ 10.19 홍콩 행정장관, 시정연설을 통해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3개년 간 6억 달러 지원 약속

▪(시정연설 의미) 홍콩 행정장관이 매년 1회 향후 홍콩의 정치, 문화, 사회 등 각 부문에 대한 운영방향 및 추진계획

 발표. ‘22.7월 취임한 존 리 행정장관의 첫 시정연설임.

▪(발표일시) ‘22.10.19(수)

▪(주요내용) 인재유치, 주택 공급 확대, 새로운 기반 시설 구축, 중국 본토와의 통합 강화 등 향후 5년 동안 행정운영에

  대한 청사진을 3시간에 걸쳐 발표

▪(관광부문 정책발표 내용)

 □ 홍콩국제공항을 국제항공허브로 육성 (NO.50)

  - 홍콩국제공항 제3활주로 개통 및 운영, 홍콩국제공항과 그레이터베이지역(GBA) 도시간 연결성 강화

 □ 홍콩국제항공아카데미(Hong Kong International Aviation Academy)를 통한 항공인력양성 강화 (NO.51)

 □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3개년간 HKD 6억 달러 지원 (NO.58)

   - 홍콩관광청은 지역소비 활성화를 위한 지역투어 및 스테이케이션 딜라이트(Staycation Delights) 사업 실시

   - MICE 산업 및 고부가가치 숙박관광객 유치를 위한 지원강화

   - 대형 국제행사 유치 강화 및 개최 확대

 □ 레저 시설 및 프로젝트 개발 (NO.92)

   - 홍콩섬에 약 60km의 섬 일주 트레일 개발.

     5년내에 홍콩섬 내 트레일의 90%를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 및 설계수행

  - 란타우섬 남부의 생태관광 육성 

□ 0+3정책으로 완화된 이후 코로나10 확진자수가 다소 증가하고, 코로나19 환자의 해외유입률이 증가함

   ☞ 10월말 기준 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 4~5천명 수준

□ 해외→홍콩 도착자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홍콩 인바운드 업계에서는 코로나19 방역정책의 추가 완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

- 홍콩공항국, 9.26~10.2까지 일평균 5,600명이 홍콩에 입국하였으나 10.17~10.23 기간 중에는 일평균 7,000명까지 증가함

- 홍콩 인바운드 업계에 따르면, 0+3정책으로 지정호텔격리는 철회되었으나 홍콩 입국 후 3일간 레스토랑 출입이 불가능하여 사실상

  인바운드 관광객유치는 힘들다는 입장임.

□ 홍콩 아웃바운드 관광객 통계 : ‘22.9월 기준 홍콩인 해외여행자수(항공이용자)는 약 12만명으로 전년대비 약 3배, 전달대비 15%↑

□ 홍콩 인바운드 관광객 : ‘22.8월 기준 방홍 외국인 여행자수는 59,610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451% 증가

□ 방홍 한국인 관광객 수 : '22.9월 기준 방홍 한국인 관광객은 365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445%↑

□ 방한 홍콩인 관광객 수 : '22.9월 기준 방한 홍콩인 관광객은 3,225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2,439% ↑

♦ 세부 통계 붙임 첨부파일 참고

PART 2

관광정책 (인·아웃바운드 동향)항공·여행업계 동향

□ 10월 중순 기준 한-홍간 주 25편 운항

 - 12월 전후로 대한항공, 캐세이퍼시픽 등 추가증편 예정

 - ‘23.1월 이후로 홍콩익스프레스 부산, 제주 노선 재취항 예정

□ 일본과 한국 등 인근 아시아 국가가 홍콩 해외여행시장 회복 주도

 - 주요 항공사 및 OTA모니터링 결과, 0+3정책 이후 일본 예약 증가율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한국, 태국 예약률 증가율이 높음.

□ 홍콩 10대 여행사 중 하나인 홍타이 여행사 코로나19로 인한 경영난으로 모든 지점 일시 폐쇄 결정

 

PART 1PART 3

관광정책 (인·아웃바운드 동향)항공·여행업계 동향경쟁국 동향

□ 상반기 중에는 싱가포르와 태국이 홍콩 내 아시아 해외여행시장 회복을 주도하였으나,

    0+3조치 이후 일본, 한국시장이 가장 높은 회복추세를 보이고 있음

< 2022년 8~9월 주요국 NTO 발표 홍콩인 관광객수 (단위:명) >

구분 일본 대만 태국 한국 싱가포르
2022.8월 1,300 2,809 7,948 2,043 10,670
2022.9월 2,800 3,008 9,981 3,225 13,550

 

PART 4 최근 관광동향 종합의견

□ 0+3정책으로 완화된 이후 일본, 한국 등을 중심으로 해외여행예약이 크게 증가하고, 특히 10월 연휴 및 12월 연휴 예약이 급증.

   그러나 본격적인 관광객수 증가는 항공공급이 증가하는 12월 이후가 될 것으로 전망됨

□ 홍콩 인바운드 시장은 소폭 증가추세이나, 홍콩 입국 후 3일간 레스토랑 등 방문이 제한되어 회복에 한계가 있는 상황    

□ 홍콩 업계에서는 10.19 행정장관 시정연설을 통해 0+3정책에서 0+0정책으로의 추가완화를 기대하였으나 추가완화 발표는 없었으며,

    10.19 이후로도 추가완화에 대해 매우 신중한 입장을 표하고 있음.


※ 출처 :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스탠다드, 블룸버그 등 현지 언론매체

           홍콩정부 보도자료

           싱가포르, 대만, 태국, 일본 NTO 발표자료

           Hong Kong Census and Statistics Department

           Wing On, EGL 등 홍콩 주요 여행사 모니터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