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국내시장동향 상세 내용 - 구분 제목 권역 등록일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홍콩정부, 중국본토 관광객에 쇼핑강요한 투어가이드 면허 박탈

홍콩지사|2024.09.19 16:51

PART 1 최근 주요동향

□ 홍콩정부, 중국인 관광객에 쇼핑 강요한 홍콩 투어가이드 면허 박탈

 ○ 올 2월 13일 특정 중국 본토 투어그룹 고객들이 홍콩 투어가이드에게 ‘지정된 매장에서 물건을 사지 않으면 이후 여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위협을 받았다’고 불만 제기하였으며, 홍콩정부는 해당 투어가이드가 홍콩관광산업의 명예를 실추시켰다고 인정하고 ‘24.9월 해당 

    가이드의 면허를 박탈함. 

 ○ 홍콩 인바운드 관광객의 약 80% 이상은 중국 본토관광객이며 최근 중국 본토관광객 대상 저질 홍콩여행상품에 대한 우려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임  

  *(참고기사) https://www.scmp.com/news/hong-kong/hong-kong-economy/article/3278488/hong-kong-tour-guide-struck-threatening-mainland-chinese-reluctant-shop

□ 홍콩 통계국 발표, 2024년 상반기 홍콩 경제지표

 ○ 상반기 실질 GDP 전년 동기대비 3.1% 성장(1분기 2.8%, 2분기 3.3%)

 ○ 상반기 소매판매실적 전년 동기대비 6.6% 감소 

  - 달러강세에 따라 홍콩 거주민의 중국본토(인근 %선전 등)에서 외식, 미용, 쇼핑 등 소매지출 증가 및 인바운드 관광객들의 관광소비 

    지출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지적됨 

 ○ 물가 1.1%~2.1%로 안정적 수준 유지

 ○ 실업률 2.7%~3.0% 범위로 높지 않지만 소폭 상승추세

<홍콩 2024년 상반기 GDP 성장률 및 민간소비지출 (전년 동기대비 %)>

구분 2022 2023 2023 2024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GDP  △3.7 3.3 2.8 1.6 4.2 4.3 2.8 3.3

<총 소매판매 월별실적 및 소비자물가(CPI) 추이 (전년 동월대비 %)>

구분 2023 2024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소매판매 증감 5.8 15.9 7.8 0.9 1.9 △7.0 △14.7 △11.4 △9.7
CPI  2.7 2.6 2.4 1.7 2.1 2 1.1 1.2 1.5
실업률 3 2.9 2.8 2.7 2.7 2.9 3 3 3

* (출처) 홍콩 통계국 https://www.censtatd.gov.hk/en

* (출처)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https://overseas.mofa.go.kr/hk-ko/brd/m_1506/view.do?seq=1342380&page=1

아시아관광교류센터(Asia Tourism Exchange Center) 조사결과, 홍콩인 80% 1년에 최소 1번은 중국 본토 방문, 

  팬더믹 이전의 약 94% 회복 수준

 ○ 아시아 관광 교류 센터가 홍콩 및 마카오 거주자의 여행패턴 조사목적으로 1,600명 대상 설문조사 실시결과 발표(‘24.8월)

 ○ 홍콩인의 80% 이상이 1년에 1~10회 내에서 중국 본토를 방문. 이는 팬데믹 이전의 약 94% 수준 

   - 응답자의 82% 이상이 연말까지 본토를 1~10회 방문, 12% 이상이 본토를 11~20회 방문할 것이라고 응답

 ○ 중국본토 방문목적은 대부분은 관광, 건강관리, 미식, 쇼핑 등 여유로운 휴가를 보내기 위해 방문한다고 응답. 

    특히 중국 본토는 교통이 편리하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식사와 쇼핑을 즐길 수 있다고 응답

 ○ 응답자의 약 30%는 본토를 방문할 때 HK$4,000(약 70만원) 이상 지출한다고 응답

 *(참고기사) https://www.thestandard.com.hk/breaking-news/section/4/219840/ATEC-survey-finds-over-80-pc-Hong-Kongers-visit-the-mainland-at-least-once-a-year

□ 1~7월 한국↔홍콩/마카오 인적교류 현황

 ○ '24.1~7월 한홍 상호인적교류 규모 ‘19.1~7월 대비 65% 수준 회복. 

    홍콩인 해외여행수요 정체 및 홍콩 전체 국제선 항공공급(한국노선 포함)이 ’19년의 80%대 수준에 머물고 있어 

    ‘19년 수준으로의 회복이 더딘 상황

구분 2018년 2019년 2019.1~7월 2024.1~7월 B/A
(A) (B)
홍콩→한국 (C) 683,818 694,934 387,170 311,646 80%
한국→홍콩 (D) 1,421,411 1,042,540 815,310 467,842 57%
한홍 상호인적교류 (C+D) 2,105,229 1,737,474 1,202,480 779,488 65%
마카오→한국 (E) 52,831 52,462 25,672 23,331 91%
한국→마카오 (F) 812,842 743,026 505,512 264,684 52%
한마 상호인적교류 (E+F) 865,673 795,488 531,184 288,015 54%

□ 1~7월 홍콩인 해외여행자수 및 아시아 주요 목적지 순위 (중국, 마카오 제외) 

 ○ 항공이용 해외여행에서 일본시장 구성비 ‘19년 17.4%에서 ’24년 24.3%로 약 7%p 상승

구분 ‘24.1~7월(A) ‘19.1~7월(B) A/B
전체 홍콩인 해외여행자수 58,263천명 56,534천명 103%
(육로, 페리 포함)
항공이용(by air) 홍콩인 해외여행자수 6,403천명 7,548천명 85%
1위 일본 1,555천명 1,314천명 118%
(24.30%) (17.40%)
2위 대만 753천명 571천명 76%
(1~6월) (10.80%) (11.90%)
3위 태국 497천명 599천명 83%
(7.80%) (7.90%)
4위 한국 311천명 387천명 80%
(4.90%) (5.10%)
5위 싱가포르 193천명 278천명 69%
(3.00%) (3.70%)

* (  ) 항공이용 홍콩인 해외여행자수 중 해당 국가 구성비

PART 2 관광통계

□ 방한 홍콩인 관광객 수(‘19.1월~’24.7월) : 세부내용 붙임참고

 - ‘24.1~7월은 ‘19.1~7월 동기대비 80% 수준 회복

□ 방홍 한국인 관광객 수(‘19.1월~’24.7월)  : 세부내용 붙임참고

 - ‘24.1~7월은 ‘19.1~7월 동기대비 57% 수준 회복

□ 홍콩인 아웃바운드 관광객 수(‘19.1월~’24.7월)  : 세부내용 붙임참고

 - ‘24.1~7월은 ‘19.1~7월 동기대비 103% 수준 회복

□ “항공” 이용 홍콩인 아웃바운드 관광객 수(‘19.1월~’24.7월) : 세부내용 붙임참고

 - ‘24.1~7월은 ‘19.1~7월 동기대비 85% 수준 회복

□ 홍콩 방문 인바운드 관광객 수(‘19.1월~’24.7월) : 세부내용 붙임참고   

 - ‘24.1~7월은 ‘19.1~7월 동기대비 63% 수준 회복

PART 3 경쟁국 홍콩인 관광객 유치 동향

□ 2024년 1~7월 일본시장 성장세가 여전히 두드러지고 있으나, 최근 엔화가치 상승 및 지진영향(8.8, 진도 7.1규모)으로 8월

  중순~9월은 성장세가 다소 주춤해질 것으로 전망

  ○ ‘24.1~7월 누계기준 ‘19.1~7월 동기간 대비 일본 118%, 태국 83%, 한국 80%, 싱가포르 69% 회복

□ 각국별 세부통계 붙임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