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국내시장동향 상세 내용 - 구분 제목 권역 등록일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지자체/업계동향

[11월 4주차] 지자체/업계 국내관광동향

국민관광전략팀|2023.11.23 17:52

첨부파일

■ 서울/경기/인천

♣ '3377 관광시대' 서울 총력전…해외 관광객 견인할까

  ○ 서울시, 2026년까지 외국인 관광객 3000만 명, 1인당 지출액 300만 원, 체류기간 7일, 재방문율 70% 달성 목표로 '3·3·7·7 관광시대'를 선언

  ○ 이를 위해 개인별 맞춤형 관광, 고부가 관광 육성, 체험형 관광콘텐츠 등 10대 핵심과제를 추진하며, 서울을 관광 도시로 거듭나게 하겠다는 계획

  ○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긍정적이지만, 외국인들의 관광 행태를 세밀하게 분석해 관광 청사진을 그릴 필요가 있다고 제언


  출처: 이투데이, https://www.etoday.co.kr/news/view/2303058


♣ '부천시 관광협의체' 출범…민관 협력 네트워크 총 19명 구성

  ○ 부천시, 관광 활성화를 위한 협의기구 '부천시 관광협의체' 출범

  ○ 관광협의체, 부천 관광 거점도시 도약 목표로 문화도시와 관광산업 접목 계획

  ○ 회원들, 단체 관광객 인센티브제, 지역특화 MICE, 국제축제 연계 관광상품 활성화 방안 등 논의

  ○ 부천의 4대 축제, 봄꽃자원 등 다양한 관광자원 활용해 외래관광객 유입, 체류시간 늘릴 정책개발 필요성 강조


  출처: 뉴시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1121_0002529169&cID=14001&pID=14000


♣ ‘영종갯벌생태여행’ 출범… 인천형 생태관광 출발점

  ○ 비영리단체 '영종갯벌생태여행' 준비위원회, 11.26.(일) 출범식 개최

  ○ 인천시와 인천관광공사로부터 지난 5월 주민 주도형 '생태관광마을'로 영종국제도시 남단갯벌 지역 선정

  ○ 관광객 유치를 위한 홍보와 마케팅, 주민역량 강화와 생태관광 해설사 교육, 컨설팅 등의 지원을 받아 10여 차례 파일럿 진행

  ○ 향후 영종도 송산갯벌 체험, 철새 탐조, 갯벌 생명 춤 명상 등의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자전거, 도보여행 및 1박2일 체류형 생태관광 프로그램 등 운영할 계획


  출처: 헤럴드경제,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1121000658


■ 강원

♣ 2023 정선 로컬써밋 개최

  ○ 11월 22일부터 24일까지 로컬크리에이터 100여명 및 로컬·혁신 관련 전문가, 활동가, 정선군 크리에이터 등이 참석한 ‘2023년 정선 로컬써밋’ 개최

  ○ 이번 로컬써밋은 웰니스 프로그램, 전국 로컬크리에이터 네트워크 주요 거점 선점 등 생활인구 증가를 위한 다양한 문화관광케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

  ○ 정선군도시재생지원센터는 이번 행사를 통해 지역 문제 해결 및 지역 문화 콘텐츠 개발 효과 기대


  출처 : 강원일보, https://www.kwnews.co.kr/page/view/2023112111195987611


♣ 양양군, 오색 케이블카 착공식 개최

  ○ 강원특별자치도와 양양군, 20일 오색케이블카 하부정류장 예정지에서 착공식 개최

  ○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설치 사업은 1982년 10월 첫 계획 입안 이후 자연훼손과 관광활성화 입장 간 찬반 갈등 존재

  ○ 총 사업비는 1,172억원으로 양양군과 강원자치도가 분담하며, 시공사 선정 절차 마무리 후 내년 3월 실제 공사 시작 예정(2026초 상업 운영 목표)


  출처 : 강원일보, https://www.kwnews.co.kr/page/view/2023112016475477813


■ 충북

♣ 제천시, ‘제천형 워케이션센터’ 건립 추진

  ○ 제천시는 지방소멸 대응과 체류형 관광지 도약을 위해 ‘제천형 워케이션센터’ 건립 추진

  ○ 시는 오는 25년 상반기 내 완공 목표로 동현동 417번지 일원 80억원 예산 투입, 지하 1층~지상 4층 규모의 게스트 하우스 20실과 사무실 등 건립 예정

  ○ 시는 건물 부지 내 축제ㆍ행사ㆍ공연장 조성 예정, 다양한 놀이 및 휴양 시설 조성으로 생활편의성과 문화감수성 제공 예정


  출처 : 중부매일,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5512#google_vignette


♣ 청주시, 2023 청주영상주간 개최

  ○ 청주시는 오는 22일부터 26일까지 청주 문화제조창과 메가박스 사창점 등에서 2023 청주영상주간 개최

  ○ 2023 청주영상주간은 그동안 청주영상위원회가 지원한 장ㆍ단편 영화 등 다양한 영상 관련 콘텐츠 제공하는 축제


  출처 : 중부매일, https://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4996


♣ 청주시,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 꿀잼청주 화룡점정

  ○ 청주시는 지난 16일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 결과보고회 개최축제 성과 공유

  ○ 시는 지난달 20일부터 22일까지 내수읍 초정행궁 일원에서 축제 개최, 15만여 명 관람객 모객

  ○ 시는 내년 18회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를 내년 개관 예정인 초정치유마을과 연계, 개최 예정


  출처 : 충북일보, https://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789278


♣ 괴산군, ‘칠성마을 골목박물관거리 조성사업’ 최우수 사업 선정

  ○ 괴산군의 ‘칠성마을 골목박물관거리 조성사업’이 행정안전부에서 지역경제 활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하는 ‘2023년 지역경제활성화 시책사업’에서 지역특성살리기 소규모 마을 경제 활력 제고 분야 최우수 사업 선정

  ○ ‘칠성마을 골목박물관거리 조성사업’은 낙후된 칠성면의 옛 시장거리를 골목 박물관 거리로 재탄생시키는 사업으로, 군은 유입 인구 증가와 더불어 지역경제 활력 거점지역 구축 예정

  ○ 군은 내년 상반기 착공, 2025년까지 사업 완료 계획


  출처 : 중부매일, https://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4986


■ 대전/충남

♣ 논산시, ‘2023 양촌곶감축제’ 개최

  ○ ‘2023 양촌곶감축제’를 양촌리 체육공원 일원에서 개최

  ○ 곶감 미식체험과 다양한 가족단위의 체험프로그램 외에도 감을 주제로 한 ‘양촌 곶감요리 경진대회’ 진행 예정

    * ‘2023 양촌 곶감축제’ 개최 일정 : 23.12.08.(금)~12.10(일)


  출처 :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797846635808016&mediaCodeNo=257&OutLnkChk=Y


♣ 충청남도, ‘제1회 충남 어물전 대축제’ 개최

  ○ ‘제1회 충남 어물전 대축제’를 대전 서대전공원 일원에서 개최

  ○ 수산물 판매뿐만 아니라 인기가수 공연, 노래자랑·댄스 챌린지, 경품 이벤트 등 소비자를 위한 다채로운 이벤트 진행

   * ‘제1회 충남 어물전 대축제’ 개최 일정 : 23.11.24(금)~11.26(일)

 

  출처 : 충청투데이,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7715


♣ 공주시 한국자연사박물관, ‘온라인 콘텐츠 제작 지원사업’ 공모 선정

  ○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박물관협회가 주관하는 '2023 사립박물관, 미술관 온라인 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에 선정

  ○ 박물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존의 원천 콘텐츠를 기반으로 최신 동향에 맞춘 한국자연사박물관만의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개발 보급하기 위해 노력

    

  출처 : 중부매일,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5282


♣ 예산군 예산시장, 방문객 연말까지 300만 명 돌파 기대

  ○ 예산군이 백종원의 더본코리아와 협업해 지난 1월 개장한 예산시장의 누적 방문객 수가  270만 명으로 집계(11월 21일 기준), 연말까지 3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기대

  ○ 빅데이터 상권분석 결과 예산시장 개장이후 타 시‧도 유입비율이 48.9%로 나타나 외지 관광객 방문이 절반가량을 차지

  ○ 2024년에 오픈스페이스 조성사업과 시장 옥상을 활용한 루프탑 조성사업 적극 추진예정


  출처 :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5238761


♣ 대전관광공사, 루마니아와 축제·문화 협력 강화

  ○ 루마니아 대사관은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을 계기로 대전을 방문하여 '2023 아트&컬처 국제협력프로그램'의 하나로 루마니아 작가와 국내 작가의 컬래버 전시회를 대전에서 개최할 것을 제안

  ○ 세계적으로 유명한 루마니아 화가, 건축가 등이 내한하는 전시회로, 루마니아 회화, 수공예품 등 50여점과 국내 예술가들의 작품이 함께 전시되고 작가들 간 교류 및 네트워킹 행사도 함께 진행될 예정


  출처 :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31121_0002528727&cID=10807&pID=10800


■ 전북

♣ 전주시, 전국 최초 도서관 여행 프로그램, 이색적인 관광명소로 부상

  ○ 전주시, 11개의 도서관을 둘러보는 관광프로그램 제작

  ‘도서관 혁신 아이디어 및 우수현장 사례 공모’ 선정 및 문화체육부 장관상 수상

   * 프로그램 : ‘구석구석 하루코스’와 ‘쉬엄쉬엄 반일코스’ 등

   * 참여인원 : 지난 18일 기준 상시 프로그램에만 총 1571명(123회)이 참여


  출처 : 경향신문, https://lrl.kr/nXPO


♣ 완주군, 임산부와 농촌활력에 기여하기 위해 태교힐링여행 첫 시도

  ○ 완주군·완주문화재단, 임산부 대상으로 1박2일 ‘태교힐링여행 프로그램’ 진행

  ○ 완주DMO 기획 프로그램으로 임산부를 중심에 둔 틈새 관광전략의 일환

   * 프로그램 : 수면등 만들기, 한지 초지뜨기, 자연식 로컬밥상 체험, 송광사 방문 등


  출처 : 전북일보, https://www.jjan.kr/article/20231120580133


♣ 농촌 여행을 디지털화한 서비스 ‘놀고팜’

  ○ ‘놀고팜’, 전북 관광스타트업 공모전 지역혁신 성장 부문, 강항 소상공인 성장지원사업 부문, 2023년 소규모 농촌체험프로그램 판매 추진 OTA사업자 선정

  ○ 캠핑족 및 지역 축제 방문객에게 숙박, 액티비티, 편의시절 등을 안내하여 아날로그한 농촌 여행의 불편함을 줄이면서 농가의 부가 수익 창출에 기여

    * 놀고팜 : 농어촌 지역 특산품과 환경자원을 활용하여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

    * 기대효과 : 지역 관광 상품과의 제휴를 통하여 여행객 유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출처 : 경상일보,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5259


■ 광주/전남

♣ 해남군, 영암호 중심 해양관광도시 구축

  ○ 해남군은 지난 20일 전남도와 영암군, 한국농어촌공사, 목포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서남해안기업도시개발(주), 서남해안레저(주), 엠씨 에너지(MC ENERGY)와 ‘영암호 관광레저 기반구축 및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함

  ○ 이는 기업도시 3개 지구(구성·삼포·삼호)와 영암호를 연계하는 해양레저관광 기반구축을 통해 서남부권 관광레저 동력을 확보하고자 전남도·해남군·영암군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임

  ○ 영암군 일원에 조성중인 솔라시도 기업도시를 전남 서남권 대표 해양레저 관광 중심도시로 육성하고자 마련됨


  출처 : 전남일보, https://www.jnilbo.com/72037296542


♣ 전남도, 국내 최대 마이스 박람회서 산업 활성화 발판

  ○ 전라남도와 전남관광재단은 ‘2023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에서 전남 이색 지역 명소(유니크베뉴)와 마이스 기반시설을 중점 홍보해 마이스산업 활성화 발판을 마련함

    * ‘2023 코리아 마이스 엑스포’는 마이스산업 활성화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체하고 한국마 이스협회와 인천관광공사가 주관해 개최한 대한민국 최대 규모 마이스 박람회로, 지난 16~17 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림

  ○ 전남도와 전남관광재단은 여수시 및 호텔 등 마이스산업 관계자들과 1박 2일간 전남에 마이스 행사 개최 의사가 있는 기관·단체를 대상으로 국내 92건, 국외 37건 등 129건의 비즈니스 상담, 시설 홍보물 배포 등의 활동을 펼침

  ○ 이상철 전남도 관광개발과장은 “국내 최대 규모 마이스 박람회 참가로 전남 마이스산업을 알리고, 국내외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좋은 계기가 됐다”고 전함


  출처 : 세계타임즈, https://m.thesegye.com/news/view/1065609711816530


♣ 광주시, 수요응답형 시티투어버스 운행한다

  ○ 광주시는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지역 관광교통 개선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돼 국비 3억 원을 확보, 내년부터 ‘수요응답형 버스(DRT : Demand Responsive Transport)’ 방식으로 시티투어버스를 개선해 운영함

  ○ 이는 교통거점인 광주송정역, 광주공항, 유스퀘어터미널과 관광지인 양림근대역사 문화마을, 비엔날레전시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을 중심으로 운행됨

  ○ 관광객이 정해진 교통거점 노선에서 호출하면 수요에 맞게 탄력적으로 버스가 운행되는 맞춤형 서비스

    * 특히 기존 시티투어버스는 고정된 노선을 따라 운행되지만 수요응답형은 관광객 호출에 따라  불필요한 이동경로를 생략해 효율성이 높아짐


  출처 : 전남일보, https://www.jnilbo.com/71832476524


♣ 여수시, 제1회 홍합축제 웅천항서 열려

  ○ 여수 웅천항 일원에서 오는 24일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제1회 여수 웅천 홍합페스티벌 개최

  ○ 웅천 특산품인 굴, 홍합 등을 활용한 다양한 음식과 상품들을 선보이고, 풍어 기원제례와 풍물놀이, 축하공연과 노래자랑 등의 이벤트도 마련

  ○ 이를 통해 시민들과 관광객들에게 여수 특산품 홍보와 더불어 해양 오염과 어족자원 고갈 및 수확량의 감소로 인해 고초를 겪고 있는 어민과 어촌에 활력을 불어 넣겠다는 구상임


  출처 : 전남일보, https://www.jnilbo.com/72026775281


■ 부산/울산

♣ “부산 함 해보입시더”…엑스포 개최지 결정 D-7 응원전 (11.21)

  ○ 부산시와 부산시의회, 범시민유치위 등 시민단체 4곳은 11월 21일 2030 엑스포 개최지 발표 일주일을 앞두고 ‘2030 부산 엑스포 유치 성공을 위한 출정식’을 진행함

  ○ 시민 1000여 명이 참가해 서면교차로 일대에서 응원전을 펼쳤으며, 프랑스 파리에서 막판 유치전에 나선 박형준 부산시장은 화상으로 출정식에 참여함

  ○ 부산시청을 비롯한 도심 가로등 1000여 곳에 엑스포 홍보 플래카드가 걸리고, 부산역 광장 대형미디어 아트월에 시민과 연예인 등 2030명의 유치 응원 메시지가 송출되는 등 활발한 홍보 활동이 전개되고 있으며, 개최 도시가 발표되는 28일에는 부산시민회관에서 시민 1000여 명이 참가하는 성공유치 시민응원전이 열릴 예정

  

  출처 :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31121/122288948/1


'반려견과 함께 한국여행 가요!” 부산시, 방한여행 1호 상품 출시 (11.17)

  ○ 부산시는 한국관광공사, 부산관광공사와 함께 한국 방문의 해 특별기획으로 11월 19일부터 22일까지 전국 최초 반려동물 동반 방한여행 1호 상품인 ‘댕댕이와 함께 가는 부산여행’ 모니터 투어를 진행함

  ○ 모니터투어단은 일본 언론인, 인플루언서를 포함한 일본 관광객 10명, 반려견 5마리로 구성되었으며, 부산항 국제여객선터미널에서 열린 환대 행사 참석을 시작으로 반려견 동반이 가능한 호텔에 머물며, 반려견 이용 가능 차량·음식점·관광명소를 체험함

  부산시와 공사는 모니터단을 통해 얻은 개선사항을 반려견 동반 방한 여행 상품 출시에 활용할 예정이며, 부산관광포털 ‘비짓부산’을 통해 개시된 ‘부산억수로좋다개!’ 서비스를 홍보하고, 반려동물 관광 친화도시 부산으로 나아갈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아시아경제,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111709455613140


♣ 중국인 울산에 관심.. 웨이보 여행 영상 1000만회 조회 (11.17)

  ○ 울산시는 최근 중국 SNS에 유명 블로거 왕홍들이 울산을 여행하며 제작한 콘텐츠의 총 조회수가 1000만 회 이상을 기록했다고 밝힘

  ○ 웨이보 기준 합산 팔로워가 약 700만명인 탕샤오유, 루이웬, 당기는 지난 10월 14일~20일 울산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장생포 고래문화마을, △강동몽돌해변, △성남동 젊음의 거리 등을 여행하였으며, 울산 언양불고기, 강동미역 등 울산 대표 먹거리를 체험함

  ○ 이들이 제작한 콘텐츠는 웨이보와 더우인 등에 업로드 되었으며, 게시물이 올라간 지 한 달 만에 중국 사용자 1000만명 이상이 조회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음

    * 왕홍은 인터넷에서 인기 있는 사람을 뜻하는 중국어 '왕뤄홍런(網絡紅人)'의 줄임말로, 모바일 생방송과 웨이보 등과 같은 SNS를 이용해 광고 판촉, 전자 상거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이들을 뜻함


  출처 :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311171026174685


♣ 법정문화도시 알린다 … 울산문화박람회 23일 팡파르 (11.21)

  ○ 울산문화관광재단은 11월 23일부터 26일까지 4일간 유에코(ueco)에서 울산지역 문화를 소개하고 체험하는 2023 울산문화박람회를 개최함

  해당 행사는 지난해 울산시가 문체부로부터 법정 문화도시에 지정된 후 처음 개최되는 문화박람회로, 울산시와 5개 구·군, 43개의 공공기관과 단체, 29개의 문화예술단체, 155명의 문화예술인, 50개의 문화기업 등이 직접 참여해 지역 문화를 소개할 예정임

  ○ 문화도시 울산의 미래 비전을 살펴보는 △꿈의 도시 문화도시 울산관, 반구천 암각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세계유산 반구천 암각화관, 울산만의 재미있는 축제를 홍보하는 △꿀잼도시 울산 페스티벌관, 5개 구·군의 문화와 특화 사업을 소개하는 △구·군 특별전시관, 울산문화관광재단의 다양한 관광 프로젝트를 체험해 보는 △관광체험관 등 다양한 주제로 행사가 이루어질 예정임


  출처 : 울산매일,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8182


■ 대구/경북

♣ ‘메디시티 대구’ 동성로, 정부 관광특구 노린다

  ○ 대구 중구청, 의료관광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의료기관 담당자, 외국인 환자 유치 업체, 통역사 등 업계 종사자 10명을 대상으로 ‘의료관광 팸투어’ 실시. 이번 투어를 통해 중구만의 특색을 살린 의료관광 상품개발을 구체화해 의료관광객 유치를 본격화할 계획. 대구 중구 의료관광객 유치를 위한 최적은 요건 구비. 22일 기준, 중구 외국인 환자 유치 의료기관 및 업체 총 51곳으로 대구 전체(153개)의 약 33% 차지.

  ○ 중구 방문 해외 의료관광객 수는 코로나19 이전까지 매년 증가세였으나 코로나19로 급감한 후 지난해 회복세로 9개 구.군 중 가장 많은 유치 실적 보유. 중구청, 관계 기관과 협업을 통해 지역만의 특색있는 의료관광 상품 개발 중이며 이를 통해 동성로가 정부
관광특구로 지정될 수 있도록 한다는 복안.

  ○ 향후 중구 방문하는 의료관광객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의료, 관광, 숙박, 통역 등을 통합한 ‘ONE STOP 의료관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주요 관광지 및 지역 내 숙박업소와 지속적으로 협업할 계획.


  출처 : 영남일보,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31122010003151


♣ 경북도, 인구감소 대응 정책 수립도 ‘빅데이터 기반’으로

  ○ 경북도, 지속적인 인구감소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관련 정책 수립에 빅데이터 도입. LX한국국토정보공사와 협업해 추진하고 있는 공간정보 기반의 전국 최초 광역-기초 공동 업무 활용 플랫폼으로 도와 시,군은 인구감소지역 추적관리와 원인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정책 수립에 활용 예정. 플랫폼의 주요 기능은 △통계 시각화 △데이터 분석 지원 △유동인구 데이터 분석 △정책 평가 지원 등

  ○ 그 중 유동인구 데이터 분석 서비스는 통신사 및 카드 데이터를 활용해 경북(시‧군 포함)의 시간대별 인구이동 및 소비패턴을 분석, 지역 맞춤형 관광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수립이 가능. 경북도,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원인 분석을 통해 지역별 맞춤형 정책을 수립하고 도와 시·군이 함께 인구감소 문제를 극복하고 데이터 기반 행정을 실현하여 지방시대의 주역으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


  출처 : 영남일보,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31120010002666


♣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외국인 관광객 전문식당 모집

  ○ 대구시와 대구문화예술진흥원 관광본부, 관광서비스 환경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2024년도 외국인 관광객 전문식당 지정을 추진. 관광서비스 환경개선사업은 지역 방문 관광객에게 쾌적한 여행환경 제공을 통한 관광만족도 제고를 위해 관광 안내‧정보, 교통, 식당, 쇼핑, 숙박, 환대 등 6개 분야로 진행하는 사업.

  ○ 이번 식당분야의 환경개선으로 대구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추천할 수 있는 식당을 지정하고 환경개선 및 국내외 홍보를 지원할 예정. 지원 자격은 관광진흥법에 의거 등록된 대구시 소재 관광식당업이거나, 식품위생법에 의거 등록된 일반음식점 등록업체여야 하며,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통해 60개소를 선정 발표할 예정.


  출처 : 대구일보,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311160127


♣ 경북도 전국 최초 확장형 메타버스 대표 플랫폼 정식 서비스

  ○ 경북도, 전국 최초로 확장형 메타버스 대표 플랫폼(이하 ‘메타포트’) 정식서비스 시작. ‘메타포트’는 경북도가 올해부터 2024년까지 사업비 30억원을 투입해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을 중심으로 가상과 현실을 연결하는 경북 메타버스 통합 플랫폼.

  ○ 오픈 API로 로그인, 아바타 등 연동이 가능해 지자체, 공공기관, 기업, 학교 등이 가진 메타버스 콘텐츠를 하나의 통합된 서비스처럼 이용 가능. 특히, 쇼핑몰에서는 롯데면세점 등 5개 면세점과 지역 고향장터 ‘사이소’가 있어 면세품 쇼핑과 다양한 지역특산물 구매가 가능.

  ○ 내년에는 관광, 교육 서비스 기능 구축 등 이용자 접근성 향상과 다양한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콘텐츠를 보완해 나갈 방침. 또 가상투어 기능으로 관광지를 안내 할 계획.

 

  출처 : 국민일보,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8889242&code=61122022&cp=nv


■ 경남

♣ 경남도·경남관광재단, "경남에서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을 함께 걸어요"

  ○ 경남 특화 관광상품으로 운영되는 이순신 테마 관광을 홍보하고,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혼과 얼이 깃든 역사의 현장을 걷는 특별한 경남 여행 경험을 제공하고자 기획

  ○ 경남도 및 남해군 관계자, 서울, 여주, 부산 등 전국 각지의 걷기여행 동호회 회원, 당일 현장접수 참가자450여 명이 참가

  ○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전 당시 사용했던 신호연 날리기 재현 이벤트, 타악예술단 다물과 통제영무예단의 공연 등 다양한 볼거리도 제공


  출처 :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31119_0002526611&cID=10812&pID=10800


♣ 진주에 세계 최초 저작권박물관 개관…"안무 체험하고 창작도"

  ○ 11.22.열린 개관식에서는 문체부 장관을 비롯해 진주시 관계자, 저작권 홍보대사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저작권박물관의 출발을 응원

  ○ 예산 273억원을 투입해 4년의 사업 기간을 거쳐 건립

  ○ 청소년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직접 체험하고, 저작권이 창작자의 소중한 권리임을 알 수 있는 프로그램 전시

  ○ 한국저작권위원회와 진주시는 진주를 저작권 특화도시로 선포, 지역의 창작자와 기업의 창작활동 환경을 지원해 올바른 저작권문화가 대표 문화로 자리 잡도록 협력


  출처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31122055200005?input=1195m


거제해양관광개발공사, 화재로 운행 중단된 거제관광모노레일 연말 안에 재가동

  ○ 지난해 10월 화재로 운행이 중단, 지난 3월부터 복구작업 본격화하여 12월 재개장 준비 막바지

  ○ 불탄 하부 승강장을 새로 짓고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전면 교체 (모노레일 차량 총 20대)

  ○ 모노레일 구간에는 야간 경관을 조성하고 승강장에는 대형 LED 전광판, 미디어아트 등 설치하여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


  출처 : 국제신문,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231122.99099006738


♣ 경남도·경남관광재단, 서울에 관광 팝업스토어 ‘억수로 055’ 문 열었다

  ○ 경남 우수 관광 기업의 판로를 개척하고, 경남 관광의 매력 홍보 위해 팝업스토어 운영

  ○ 매장은 갈대와 억새, 자갈, 돌 등 자연물 활용 조성, 미디어룸에서는 MZ세대들의 흥미 유발 경남의 숲(고성 갈모봉산림욕장), 바다(거제 농소 몽돌해수욕장), 사찰(통영 용화사) 등 경남 관광지 영상 상영

  ○ 방문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억수로 굿즈(머그컵, 에코백, 볼펜)와 경남 향토 기업인 무학의 굿즈(좋은데이 소주잔, 톡톡 소주잔, 키링)를 제공


  출처 : 경남신문,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418825


■ 제주

♣ 방문객은 넘쳐나는데 고질적인 적자...제주 공영관광지 손 볼까

  ○ 수백만명에 이르는 관광객의 방문에도 매해 적자난에 시달리고 있는 제주 공영관광지  의 입장료가 현실화될지 주목된다. 현재 제주특별자치도가 운영 중인 공영관광지는 박물관 5곳, 미술관 5곳, 자연관광지 10곳, 역사문화관광지 5곳, 시설관광지 3곳 등 총 28곳이다. 이중 가장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은 자연관광지로 2022년 기준 한해 방문객의 수만 무려 630만7305명에 도달했다. 전체 공영관광지의 방문객 수는 768만 5207명이다.

  ○ 문제는 세출액에 비해 세입액이 크게 뒤쳐진다는데 있다. 2022년 기준 제주 공영관  광지의 총 세출액은 277억원으로, 인건비 51%, 운영비 42%, 행사성 비용 7%로 구성돼 있다. 총 세입액은 134억원에 그쳤다. 입장료가 93%, 기타 수익이 7%에 불과했다. 세출액 대비 이익률은 -52%로 143억원의 적자가 기록됐다.


  출처 :  제주의소리, http://www.jejusori.net


♣ 관광객 감소 여파 곳곳…제주 실물경제 위축 '악영향’

  ○ 중국 정부의 단체여행 전면 허용에도 외국인 관광객 회복 속도가 더디게 진행되며 제주 도내 서비스업 경기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건설 부문의 부진도 지속되며 지역 경제가 활력을 잃는 모습이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발표한 '최근 제주지역 실물경제 동향'에 따르면 지난 3분기(7~9월) 도내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전년동기 대비 1.9% 감소했다. 소매판매액지수도 면세점을 중심으로 6.4%나 떨어졌다.

  ○ 이 같은 결과는 제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 수가 줄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  10월 제주방문 관광객 수는 122만2000여명으로 이는 지난해보다 약 5만9000여명 줄어든 것이다. 감소세는 11월에도 이어지고 있다. 국제선 증편끼지 늦어지며 외국인 관광객 방문이 예상보다 더딘 회복세를 보이는 것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출처 : 제주의소리, http://www.jejusor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