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국내시장동향 상세 내용 - 구분 제목 권역 등록일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중동) 아랍에미리트, 메가 이벤트 · 민관 합작 개발 프로젝트 등을 통해 경제 · 관광 분야 회복 견인

두바이지사|2022.09.22 19:37

첨부파일

아랍에미리트 국가번영(Prosperity)/경쟁력(Competitiveness) 지수 상승

- 2021 세계 번영 지수 167개국 중 41위, 중동 지역 1위 / 2022 세계 경쟁력 보고서 64개국 중 12위, 중동 지역 1위

  • 영국 씽크탱크 그룹인 Legatum Institute에서 작년 11월 발표한 '2021 세계 번영 지수(Legatum Prosperity Index)'에서 아랍에미리트는 167개국 중 41위로 중동에서 가장 높은 지수를 기록함(한국 29위, 카타르 46위, 사우디 75위). 동 지수 평가를 위한 지표는 총 300개이며 경제, 기업 환경, 국가 경영, 교육, 보건, 안전/안보, 개인의 자유, 사회적 자본, 자연 환경 등 총 9개 분야로 이루어져 있음.
  • 그리고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에서 올해 6월 발표한 '2022 세계 경쟁력 보고서(2022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 WCY)'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의 국가 경쟁력은 OECD 국가 및 신흥국 64개국 중 12위로 역시 중동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함(카타르 18위, 사우디 24위, 한국 27위). 평가지표는 총 334개로 경제, 인프라, 정부기관, 비즈니스의 효율성 등 총 4개 분야로 구성됨.
  • 상기 두 보고서의 평가 결과를 합산하였을 때 아랍에미리트는 총 634개의 지표(2021 세계 번영 지수 300개 지표 / 2022 세계 경쟁력 보고서 334개 지표) 중 156개 지표에서 1위를, 432개 지표에서 TOP10(1위 포함)을 차지함. 특히, 인프라(1위), 국제무역(2위), 세금 정책(4위), 국가재정(5위) 등 핵심 지표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남. 또한, 이전년도에 발표된 합산 결과(2020 세계 번영 지표 / 2021 세계 경쟁력 보고서)와 비교했을 때 아랍에미리트가 1위를 차지한 지표 수는 35개 증가하였으며(121개→156개), TOP10(1위 포함)을 차지한 지표 수는 118개(314개→432개) 증가하는 성과를 보임.

 

2022년 상반기 관광 부문 포함 UAE 핵심 경제 지표, 코로나19 발생 이후 최고 수준 달성

- 2022년 상반기 인바운드 관광객 712만 명 / 관광 부문 수익(Tourism Revenu) 50억 달러 달성 / 두바이 국제공항 이용객 2,790만 명  

  • 올해 9월 아랍에미리트 내각에서 발표한 2022년 상반기 핵심 경제 지표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 관광 부문 수익(Tourism Revenue)은 총 50억 달러(약 7조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남. 내각 관계자는 "해당 금액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최대 수치이며, 여기서 나아가 올해 하반기를 기점으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뛰어넘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라고 언급함. 관광 부문의 GDP 기여도 또한 12%를 기록하여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 대비 6.2% 증가한 수치를 달성함.
  • 아랍에미리트의 해외 입국 관광객 또한 회복세가 두드러짐. 아랍에미리트 인바운드 관광객은 2020년 1,130만 명, 2021년 1,290만 명, 2022년 상반기에는 712만 명을 각각 기록함(참고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아랍에미리트 인바운드 관광객 수는 1,673만 명임). 특히, 올해 상반기 인바운드 관광객 수는 전년 동기간 대비 183% 증가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 발생 전 수치에 준하는 수준으로 나타남. 또한, 두바이 국제공항의 올해 상반기 이용객은 총 2,790만 명으로 전년도 상반기 대비 160% 증가하였으며(참고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두바이 국제공항 이용객 수는 8,640만 명임), 아부다비 국제공항은 전년도 동기간 대비 94% 증가한 630만 명으로 나타남. 2022년 상반기 아랍에미리트 호텔 이용객 또한 전년도 상반기 대비 42% 증가한 1,200만 명을 기록하였으며, 호텔 1박당 숙박 비용도 114달러로 전년도 상반기 대비 176% 증가한 수치를 기록함.
  • 이러한 성과는 아랍에미리트 정부의 코로나19에 대한 선구적 대응, 엑스포 등 각종 메가 이벤트의 성공적 개최, 기업 대상 세금 감면 및 사업 규제 완화/지원 정책 시행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됨.  

 

아랍에미리트 경제 회복을 견인한 성공 사례 1 : 메가 이벤트의 성공적 유치 및 개최

- 2020 두바이 엑스포 / Maroon 5, Coldpaly 콘서트 성공적 개최 / 2022 카타르 월드컵 적극 지원을 통한 경제적 효과 기대

  • 아랍에미리트는 세계적 펜데믹 상황 하에서도 선제적 방역 및 관광 개방 정책을 시행하였고 그 가운데 2021년 10월 ~ 2022년 3월 기간 중 '2020 두바이 엑스포'를 개최, 총 2,400만 명의 누적 방문객을 기록하는 성과를 달성함. (당초 엑스포 기간은 2020년 10월 ~ 2021년 3월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1년 연기됨. 단, 공식 명칭은 '2020 두바이 엑스포(Dubai Expo 2020)'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함.)
  • 뿐만 아니라 아랍에미리트는 2022년 상반기에만 중동 식품 박람회(Gulfood 2022), 의료기기 박람회(Arab Health 2022), 국제 중동 관광 박람회(Arabian Travel Market 2022) 등 총 99건의 대형 국제 박람회/컨퍼런스(MICE) 행사를 개최하였으며, Indian Premier League/ICC T20 Cricket World Cup(4-7월/두바이)와 같은 대형 국제 스포츠 행사 및 Maroon 5(2월/아부다비), Coldplay(2월/두바이), Nancy Ajram(3월/아부다비) 등 해외 인기 아티스트들의 콘서트를 개최하며 국내외 관광객 유치에 크게 기여함.
  • 또한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현지 언론을 통해 올해 11-12월 카타르에서 개최되는 월드컵 행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을 밝힘. 정부는 인구 288만의 작은 나라인 카타르의 제한적 관광 인프라를 보완하기 위해 중동 지역을 비롯한 전 세계 월드컵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항공 셔틀 등을 제공할 계획이며, 이는 하반기 아랍에미리트의 인바운드 관광 부문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일례로 월드컵 기간 동안 일일 최대 60편의 도하-두바이 편 항공 셔틀(카타르항공, Fly Dubai, 에어 아라비아 등)이 운항될 예정이며, 월드컵 경기 티켓이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월드컵 관광 패키지(USD1,200- )가 개발되어 판매 중에 있음. 

 

아랍에미리트 경제 회복을 견인한 성공 사례 2 : 아랍에미리트 판 민관 합작 PPP 프로젝트

- 아랍에미리트 HATTA 지구, PPP 프로젝트를 통해 향후 세계적 종합 생태 관광지로 거듭날 예정

  •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올해 9월 민관 합작 파트너십(PPP) 진흥을 위한 새로운 연방법을 통과시킴. 정부는 이번 법안을 통해 연장 정부와 사기업 간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고, 도시개발, 대중교통, 헬스케어 분야에 대한 개발 프로젝트 더욱 가속화할 예정임.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 정부와 민간 기업이 합작하여 진행하는 프로젝트 사업 모델.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두바이 Al Maktoum 다리(1963년 완공) 조성사업을 기점으로 신도시 건설, 관광지 개발, 도시 인프라 조성 사업 등을 PPP 형식으로 다양하게 진행하여 옴)
  • 2021년 10월 개최된 두바이 PPP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아랍에미리트 내에서 진행 중인 PPP 전체 규모는 68억 달러(약 9조 5천억 원)에 달하며, 여기에는 두바이 주요 거점도시(지구 단위 7개) 개발 사업, 도로(14개) 개발 사업, 운송 및 관광 인프라 개발 사업, 보건 및 안전 분야 지원 사업 등이 포함됨. 그 중 관광 분야의 대표적 PPP로는 HATTA 지구 개발 사업이 있음. 동 프로젝트는 산악 스포츠, 액티비티, 웰빙 등의 테마를 중심으로 총 5년간(2022-2026년)의 계획 단계를 거친 이후 약 20년간 PPP에 기반하여 개발될 예정임. (HATTA 지구는 아랍에미리트 정부가 지역 관광 활성화 차원에서 야심차게 개발한 종합 생태관광지임. 아랍에미리트 부통령이자 두바이 통치자인 셰이크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 막툼이 2016년 HATTA 종합 개발 계획을 발표하였고, 아랍에미리트 국영 건설사가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함. 현재는 아랍에미리트의 대표적인 종합 생태/액티비티 관광지로 자리매김 하였으며, 상기 PPP 프로젝트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발 예정에 있음.)
  • 아랍에미리트 재무부 총장인 압둘라흐만 살레 알 살레는 현지 언론을 통해 "정부는 아랍에미리트 판 PPP를 통해 인프라 구축, 도시 개발 프로젝트 등을 성공적으로 선보이며 전 세계에 비즈니스 글로벌 혁신 트렌드를 선도하는 모범 사례를 구축해 오고 있다"라고 언급함.

 

[참고자료 및 출처]

https://gulfnews.com/business/tourism/uae-continues-lead-as-top-global-tourist-destination-1.89669446

https://www.zawya.com/en/business/travel-and-tourism/uae-travel-tourism-sector-rebounds-strongly-achieves-3rd-fastest-growth-in-region-fw3tht80

https://gulfnews.com/business/dubai-announces-public-private-partnership-projects-worth-dh25b-1.1633853786594

https://u.ae/en/about-the-uae/strategies-initiatives-and-awards/local-governments-strategies-and-plans/dubai-2040-urban-master-plan

https://uaetimes.ae/uae-cabinet-approves-new-public-private-partnership-law/

https://wam.ae/en/details/1395303076790

https://skift.com/blog/uae-rakes-in-5-billion-worth-of-tourism-returns-in-first-half-of-2022/

https://gulfnews.com/business/aviation/qatar-world-cup-gulf-airlines-announce-daily-shuttle-services-to-doha-1.1653553449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