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올 상반기 마닐라 국제공항 승객 팬데믹 이전 대비 90% 이상 회복 |
|||||||||||||||||||||||||||
---|---|---|---|---|---|---|---|---|---|---|---|---|---|---|---|---|---|---|---|---|---|---|---|---|---|---|---|
1. 관광정책 동향 ○ 대만, 필리핀인에 대한 2023년 8.1일부터 1년간 연장 실시하기로 발표 • 대만은 2017년 11월부터 2018년 7월까지, 그리고 2022년 9월부터 지금까지 필리핀인 대만 입국시 무비자를 실시해 오고 있음. 2023년 8월1일부터 2024년 7월31일까지 1년간 한시적으로 무비자기간 연장을 발표 • 무비자 실시이후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개년 간 연평균 32.4%의 필리핀인 입국객수 증가율을 기록 ☞ 대만관광청은 필리핀에서 실시한 2월 TTE, 6월 TME 등의 관광박람회에서 최대 부스를 설치하고, 공연단을 파견하는 등 대대적인 마케팅활동을 실시 ○ 필리핀 관광부는 ‘LOVE THE PHILIPPINES“ 슬로건 사용 의지 천명 • 필리핀 관광부는 2012년부터 사용하고 있던 기존 슬로건 “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을 LOVE THE PHILIPPINES로 변경 • 슬로건을 변경하면서, 관련 프로모션 용역을 대행한 광고 기획사가 공개한 비디오 내용중 필리핀 관광지가 아닌 인도네시아, 스위스, 태국 등 관광지를 차용한 사실이 공개되면서 논란이 되고 있으나, 슬로건은 유지키로 방침 결정 ☞ 논란이 된 광고대행사인 DDB와의 계약을 종료하고 프로모션 비디오는 사용하지 않고 있지만, 변경된 슬로건은 유지하기로 하면서 논란의 불씨는 유지한 채로 마무리됨. 부정적인 여론이 지속되는 가운데, 차기에 선보일 프로모션 비디오에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 2. 항공사 동향 ○ 올 상반기 마닐라 니노이 아퀴노 국제공항(NAIA) 이용승객 팬데믹 이전 90% 회복 • 올 상반기 이용승객은 2,222만 명으로, 2019년 상반기 2,441만명의 90% 실적 달성 • 마닐라국제공항공사(MIAA)는 4개의 터미널중 제 1터미날과 제 2터미날을 국제선으로 운영하는 항공사 재배치 작업을 통해 출입국 및 검역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제 2터미날의 국내선 수용능력을 25% 증진했다고 밝힘 ☞ NAIA 터미널은 포화상태로 운영되고 있어서, 항공사의 증편운항이나 신규 취항이 어려운 상황에서 신규 진입 항공사들을 클락공항 취항을 유도하고, 마닐라 북부와 남부에 신규공항 건설계획을 추진하고 있음 ○ 필리핀 전체 공항 7.10일부터 국제선 출발 여객들은 보안 검색 시 신발 탈착 • 필리핀 교통보안국은 최종검색대에서 신발을 의무적으로 벗는 조치 시행 • 여러 단계의 X-레이, 금속 탐지기를 통합하여 단 한번의 검색만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공항 검색대 재배치 ☞ 2001년 12월 파리-마이애미 간 아메리칸 항공의 승객의 신발 속 사제 폭탄 사건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강화된 보안 검색이 팬데믹 이후 다시 부활 ○ 필리핀 국적기 항공사 국내선 탑승 중 기내 마스크 의무화 폐지 • 필리핀 항공, 세부퍼시픽, 에어아시아 필리핀 등은 국내선 항공기 탑승시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하여 2020년 5월 이후, 3년 2개월 만에 의무착용 폐지 • 필리핀 대통령이 7.20일 코로나 19 관련 비상사태를 해제한다는 발표에 따른 후속조치로 육상 대중교통 및 항공기내에서의 의무착용 폐지 ☞ 한국은 항공기내 마스크 의무착용을 지난 3.20일부터 폐지한 바 있으며, 필리핀은 타 국가 대비 늦어졌지만, 이번 조치로 인해 병원을 제외한 공공장소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 전면 폐지 3. 여행업계 동향 ○ 필리핀인 7-8월 방한관광은 전형적인 비수기에 해당 • 전월 대비 인센티브 단체가 절반 이하로 줄어들고, 다수의 수학여행 단체는 교육부의 해외여행 인준절차 준비단계에 있어 이번 여름방학 기간중 단체증가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 • 6.30-7.2 개최된 Travel Madness Expo 기간중 판매된 방한관광 단체상품 및 항공권의 대다수는 가을과 겨울시즌 기간 여행인 것으로 나타남 ☞ 6.27일부터 3인 이상 단체전자비자 발급이 시행되었지만, 비자전담여행사들이 불체에 따른 위험부담을 우려하여 비전담여행사들의 비자대행 요청에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상황 지속 4. 경쟁국 동향 ○ 일본과 싱가포르행 필리핀 관광객 수가 연초에 비해 증가세는 둔화되고 있으나, 타 국가 대비 외래관광객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19년 동기 대비 '23년 5월 누계 주요 국가 방문 필리핀 관광객수
☞ 일본의 경우 비자 장벽이 낮고 엔저로 인한 가격경쟁력이 높아져 필리핀인 관광객 증가속도가 빠르고 팬데믹 이전 대비 회복율이 높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