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국내시장동향 상세 내용 - 구분 제목 권역 등록일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25년 5월_모스크바지사 관광시장 동향 (러시아 관광정책 및 아웃바운드 동향 등)

모스크바지사|2025.05.27 01:25

첨부파일

[경제 동향]

 ㅇ 러시아 루블화 가치 급등: 5월말 평균 80.56루블 (연초대비 약 20%)

 ㅇ 러시아 GDP ’25.3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1.4%, 1/4분기 1.7% 성장

 ㅇ ’25.3월 실업률은 2.3%로 역대 최저수준으로 실업자 170만 명까지 감소

 

[국내외 관광 정책]

 ㅇ 러시아 제2의 도시 상트페테르부크 서점에 관광정보 센터 개소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는 내국인 및 외국인이 많이 찾는 관광 도시 중에 하나임.

   - 2024년 약 1,160만 명의 내외국인 관광객이 도시를 방문하게 됨에 따라, 관광정보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서점과 결합한 관광정보 센터를 개소.

   - 정부는 도시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는 서점을 통해 해외 관광객 및 내국인 대상 편리하게 관광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매일 약 1.2만 명이 서점을 방문함으로써, 상당히 인지도 있는 장소임.

 

 ㅇ 2024년 러 관광객 쉥겐비자 약 60만건 신청(16.5% 증가)

   - 모스크바지사는 2024년 쉥게비자 발급 현황 분석. 러 관광객 약 60.6만 건 신청 중 54.1만 건 발급, 멀티 비자는 22.4만 건으로 분석(이는 20194백만 건의 약 15% 수준임)

   - 러시아 관광객 대상 쉥겐비자를 가장 많이 발급한 국가는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그리스 순임

   - 멀티 입국 비자 발급은 이탈리아가 76% 가장 높고, 프랑스, 스페인 순임. 멀티 입국 비자의 발급이 지난해 대비 전반적으로 소폭 감소한 상황임

   - 아직 유럽 입국에는 비자 발급에 러시아인들이 상당한 불편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바. 동남아 및 동아시아 국가에 대한 방문이 큰폭으로 증가하고 있음

 

[아웃바운드 동향]

 ㅇ 4월 튀르키예 방문 러시아 관광객 전년동기 대비 5.1% 감소

   - 튀르키예 방문 러시아 관광객의 주된 감소 이유로는 러시아-동남아 국가간의 직항(정기 및 전세기)편의 증가, 튀르키예의 높은 물가 상승에 따른 재정적 부담으로 관광객 소폭 감소

   - 또한, 5월 연휴를 활용하여, 방문할 가능성이 높은바, 4월에는 소폭 감소된 수치가 5월에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 4월 튀르키예 주요 방문국으로는 독일 약 57만 명(31.3%), 러시아 37.5만 명(5.1%), 영국 37만 명(13.3%), 불가리아 24만 명(14.2%)

   - 5월 초(5.1~2 / 5.7~8) 러시아 연휴가 2주 동안 연속 발생이 됨에 따라, 전년대비 많은 관광객들이 튀르키예를 방문할 것으로 예상됨.

 

 ㅇ 러시아인 해외 의료관광객 증가

   - “유로인스관광보험 회사는 5월 휴가 주요 결과 발표

   - 4.28부터 5.12일까지 관광 보험 청구 요청이 약 500건 접수로 이는 전년대비 약 5% 감소한 수치임.

   - 5월 휴일 동안 해외 병원을 맞이 찾은 국가로는 튀르키예, 태국, 베트남, 이집트, UAE 순이었음. 다만 중국, 한국, EU 국가 방문들의 신청도 다수 접수되었음

   - 작년대비 태국, 쿠바,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의 신청이 상당히 증가되었다고 밝힘

   - 러 관광객의 해외 치료 주요 질환으로는 이비인후과, 위장 장애, 기타 여행 중 상해 치료가 다수로 확인됨

   - 향후, 관련 보험사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한국 의료기관 치료 상품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 예정임 또한, 2025년 5월 모스크바 한국의료관광대전을 계기로, 현지 보험사 및 의료관광 에이전시들과의 비즈니스 미팅을 활용하여 방한 의료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판촉할 계획임.

 

[인바운드 동향]

 ㅇ 러시아 인바운드 최대 입국객 아시아와 중동국가 점유

   - 러시아 국경관리국은 인바운드 최대 입국 국가 순위 발표, 1위 중국, 2위 튀르키예, 3위 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는 역대 최초로 러시아 인바운드 3위 점유로 20251분기 약 1만 명 방문

   - -사우디 관계 증진에 따른 관광 입국객 수도 증가하였으며, 올해 하반기에 양국간 직항편도 검토 중인바, 향후 양국간 관광 교류는 더욱 증진될 전망임

   - 10위권 이내 주요 국가로는 독일, 이란, 쿠바, 인도, 카자흐스탄 등 중동 및 아시아권 국가가 대다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