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주요 관광시장동향(2025년 3월) |
|||||||||||||||||||||||||||||||||||||||||||||||||||||||||||||||||||||||||||||||||||||||||||||||||||||||||||||||||||||||||||||||||||||||||||||||||||||||||||||||||
---|---|---|---|---|---|---|---|---|---|---|---|---|---|---|---|---|---|---|---|---|---|---|---|---|---|---|---|---|---|---|---|---|---|---|---|---|---|---|---|---|---|---|---|---|---|---|---|---|---|---|---|---|---|---|---|---|---|---|---|---|---|---|---|---|---|---|---|---|---|---|---|---|---|---|---|---|---|---|---|---|---|---|---|---|---|---|---|---|---|---|---|---|---|---|---|---|---|---|---|---|---|---|---|---|---|---|---|---|---|---|---|---|---|---|---|---|---|---|---|---|---|---|---|---|---|---|---|---|---|---|---|---|---|---|---|---|---|---|---|---|---|---|---|---|---|---|---|---|---|---|---|---|---|---|---|---|---|---|---|---|---|
첨부파일 |
|||||||||||||||||||||||||||||||||||||||||||||||||||||||||||||||||||||||||||||||||||||||||||||||||||||||||||||||||||||||||||||||||||||||||||||||||||||||||||||||||
□ 카자흐스탄 아웃바운드 관광시장 동향('25년 2월) ㅇ Touristik Kamkor(관광기업기금) 발표에 따르면, ‘25년 2월 카자흐스탄인 아웃바운드 여행시장은 전월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대비로는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됨. ㅇ 동계시즌 인기 목적지는 베트남(25%), 태국(20.5%), UAE(19.5%), 이집트(19.4%) 등 해변 휴양지 중심으로 크게 변화가 없었음. - 다만, 1월에 비해 태국의 인기가 떨어지고, 이집트의 인기가 올라간 모습이 비교적 눈에 띄는 변화라고 볼 수 있음. □ 카자흐스탄, 웰니스 관광시장 글로벌 경쟁력 강화 추세 ㅇ ’The Global Wellness Economy: Country Rankings' 자료에 따르면, - ’23년 전 세계 웰니스 시장*의 규모는 6조3천억 달러에 이르며, 이 중 ‘건강관리’ 항목으로 약 8천3백억 달러의 자금이 몰릴 것으로 전망됨. * (웰니스 시장) 스파, 온천, 웰니스관광, 직장웰니스, 웰니스 부동산, 건강한 식생활, 신체활동 및 정신건강, 공중보건 등 총 11개 부문으로 세분화 - 세계 5대 웰니스 시장으로는 미국, 중국, 독일, 일본, 영국이 손 꼽히고 있으며, 카자흐스탄은 조사대상 국가 140개 중 ’22년 기준 56위였으나, ’23년에는 2계단 상승한 54위를 차지하여 미흡하나마 글로벌 경쟁력이 조금씩 강화되고 있는 모습을 보임. - ’23년 기준 카자흐스탄의 웰니스 관광시장 규모는 92.1억 달러 수준으로, 이는 코로나 이전(‘19년) 대비 27.5% 성장한 규모에 해당함.
□ SCAT(저비용 항공사), 카자흐스탄 규모 3위 도시 '심켄트(Shymkent)' 출발 국제노선 신설 움직임 활발 ㅇ (심켄트 - 독일 뮌헨) 5.27.~ (주 3회/화,목,토) ㅇ (심켄트 - 중국 상하이) 5.29.~ (주 2회/월,목) ㅇ (심켄트 - 한국 인천) 5.29.~ (주 2회/월,목)
□ 한국-카자흐스탄 관광교류 현황 ㅇ카자흐스탄 → 한국 입국자 수 (단위: 명)
* ’24년 전체 방한객 수(16,369,629명/전년比 48.4%↑)는 ’19년(코로나 이전) 대비 93.5% 수준까지 회복된 반면, 카자흐스탄 방한객 수(54,893명/전년比 17.1%↑)는 ’19년 수준 그 이상으로 회복이 완료됨(103.6%). ㅇ 한국 → 카자흐스탄 입국자 수 (단위: 명)
※ 한국관광 데이터랩, 카자흐스탄 통계청 및 Kazakh Tourism, Tengri Travel, DKNews, Astana Times, Tour Code 등 현지 언론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