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국내시장동향 상세 내용 - 구분 제목 권역 등록일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11월_관광시장동향_뉴델리지사

뉴델리지사|2023.11.29 12:42

[인도 관광시장 동향]

 

1. 인도 코로나19 관련 동향 : 입출국 규제 없음

* 인도 입국자 2% 대상 무작위 PCR테스트 종료(2023.7.20. 자정부터)

 

2. 직항편 운항

인도(델리) 한국(인천) : 11편 운항(대한항공(4), 아시아나항공(3), 에어인디아(4))

2020년부터 뭄바이 인천행 직항편 운항 없음

* 대한항공 : 4월말부터 주5(델리인천) 증편(,,,,), 6.13~10.28 3회 감편(일자 가변적)

   - 6.1~11 : ,,,,/ 6.12~17 : ,,/ 6.19~25 : ,,,/ 6.26~7.16 : ,,

   - 7.17~23 : ,,,/ 7.24~30 : ,,/ 7.31~8.13 : ,,/ 8.14~10.29 : ,,

   - 10.30~12.31 : ,,,(4)

   * 아시아나 : 3월말부터 주3(델리인천) 증편, 5월부터 주2(, ) 운항, 6월부터 주3(,,)

   * 에어인디아 : 4월부터 4(델리인천) 증편(,,,)

 

3. 관광정책 및 시장동향

인도 해양부장관, 글로벌 해양 인도 정상회담(Global Maritime India Summit)에서 인도가 크루즈관광 분야의 글로벌리더를 목표로 하고 있음을 발표

   - 본 회담에서 인도는 360개 기업과 협약(Rs 10 lakh crore(16조원)의 투자를 유치)

   - 인도는 2014년부터 2035년까지 약 Rs 1.2 lakh crore(1.6조원)의 투자를 진행중이라고 설명

태국, 관광 활성화를 위해 타이완과 인도에 대한 비자 면제

   - 20239월 중국인 비자 면제 정책에 이른 조치.

   - 현재 인도의 타이 방문객은 120만명으로 타이 방문 외국인 4(참고로 한국은 3)

인도 관광부, 싱가포르 ITB에서 불교관광 홍보

   - G20 개최와 함께 올해 2023년을 인도관광의 해로 지정하였으며 싱가포르를 포함한 동남아지역의 우수한 연결성(주당 145편 항공 운항)에 주목하여 불교관광을

      적극적으로 홍보

Booking.com11월 인도인 여행동향에 따르면 인도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목적지로 두바이(UAE), 싱가포르, 메카(사우디아라비아), 방콕(태국), 런던(영국),

    파리(프랑스), 홍콩, 이스탄불(터키), 도쿄(일본), 하노이(베트남) 순으로 나타남

스카이스캐너(Skyscanner)는 인도인 해외여행 동향 보고서에서 2024년 여행상위 목적지 등 공개(1,000명 대상 설문조사)

   - 여행 상위 목적지 베트남 다낭 : 검색량이 1,000% 증가 / 카자흐스탄 알마티 : 검색량이 500% 이상 증가 / 아제르바이잔 바쿠 : 신규 목적지로 부상

    / 일본 오사카 : 맛있는 음식으로 인기

   - 2024년 여행패턴 특징

    * 아날로그 여행 : 젊은세대(Z세대), 폴라로이드 카메라 사용 등

    * 럭셔리하되 적은 비용 소요 : 쿠알라룸푸르나 방콕 선호

    * 생일, 기념일 등 특별한 행사를 해외에서 진행

 

4. 항공교통 동향

올해초 에어인디아는 20243월까지 국내선과 국제선 모두에 400편 이상의 항공편 추가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계획대로 진행중

   - (국내)뭄바이, 델리와 같은 대도시에 주간 200편 이상의 항공편 증가는 이미 마무리 단계

   - (해외)이미 주간 80편 이상의 항공편이 추가되었으며 수개월 이내 4개의 새로운 국제 목적지를 공개할 예정

   * 주요 증설 노선은 동남아시아, 미국 및 유럽의 주요 목적지, 싱가폴, 방콕, 방글라데시(다카)가 포함

 

5. 기타(외교, 경제, 소비자 동향)

애플,FY23 인도 매출 사상 최대 Rs.5천억(전년대비 48%) 영업이익 Rs.223(전년대비 76%) 달성

   - 인도에서 애플 제품은 높은 부가세율과 관세 때문에 다른 나라보다 가격이 비쌈에도 불구하고 주요 원인으론 고학력 젊은 세대(IIMB 신입생 등)의 애플제품

     사용비율이 매년 높아지고 있음

    * 한국과 마찬가지로 애플 제품 이 사회경제적 지위를 드러내는 물건이 되었기 때문임

인도, 건강관련 농산물 및 식품 수입 증가.

   - 인도산 농산물은 맛,영양면에서 모두 우수하나 가장 큰 단점으로 외형이 지적되며 시장가격에도 반영되어 저가에 팔리고 있음

   - 하지만 중산층을 중심으로 인도 시장에서도 비싸고 예쁜 수입산 농산물의 인기가 높아지는 중임

인도의 경제 상황

   - IMF 발표에 따르면 인도 올해 현재 GDP 4조 달러 돌파하며 2~3년내 일본, 독일 추월하여 세계 3위 경제 대국될 것으로 예상

   - CMIE(인도 민간 연구소) 발표 10월 실업률은 10.05%9월 실업률보다 2.96%p 상승. 이는 20215월 이후 최고치임. 경제성장에 비해 실업문제는

     개선되지 않고 있아 주요 경제학자들이 인도의 성장동력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음

   * 특히 인도 청년 인구 비율이 높기 때문에 다른 나라보다 더 많은 일자리가 필요하며 중국과 베트남 같은 주요 제조업 국가와 경쟁을 하기 위해서 교육 훈련이 중요함

   - 인도, 올해만 184개사가 상장하여 2023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기업이 기업공개를 한 나라임(중국의 성장둔화가 맞물리며 인도로 투자수요가 집중)

인도에서 급증하는 한국 의료기기

   - 코트나 뉴델리 무역관에 따르면 2022년 인도 의료기 수입 총액은 US$91200만으로, 이중 한국 제품 점유율은 2.2%로 전체 7

   - 주목할 점은 전년대비 수출 증가율이 52.4%로 다른 의료기기 수출국에 비해 월등히 높음

   * 가장 많이 팔리는 한국 의료기기는 심장 제세동기임

 

6. 시사점

인도 내부의 구조적 한계는 있지만, 인도 경제에 대한 장밋빛 전망이 이어지고 있어, 인도가 중국의 궤적을 따른다는 긍정적 시나리오에서는 2040년까지

     연 8천만~9천만건의 해외여행 수요 예측됨

20231년간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아웃바운드 목적지에 대한 주요 특징은 상위 목적지는 큰 변화가 없음(중동, 동남아 등 근거리 선호 / 장거리는 유럽국가 선호)

  지역마다 선호하는 아웃바운드 목적지가 유효하게 다름(인도 남부지역은 동남아지역 선호, 인도 서부지역은 유럽 선호)

   - 가격/비자에 민감한 인도인의 특성이 그대로 되살아남 (코로나19 이후 비자정책 완화, 항공비용 인하 등의 효과로 태국, 아르바이젠, 필리핀 수요가 급증)

   - 스위스로 대표되는 서유럽 고가시장은 여전히 굳건(비록 9% 내외의 소수가 서유럽 장거리 목적지를 방문하고 있으나 스위스는 10년 넘게 인도 상위 20위권

     이내였음. 그 이유로는 많은 볼리우드 히트작에는 스위스 명소가 포함되어 있어 친숙하게 느끼기 때문임)

인도 아웃바운드에서 한국의 포지셔닝은 애매함(유럽 중심 고가 ~ 한국/일본 ~ 중동/동남아 저가)

   - 또한 벚꽃으로 대표되는 일본처럼 대표되는 방한 관광 이미지가 아직은 부족

   - K-음악,드라마,뷰티제품의 인도 내 인기를 활용한 방한인지도 포지셔닝 사업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출처) Times of India, ET Travel World, Hindustan Times, Economic Times 등 현지 언론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