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산업동향 2023년 6월 서비스업생산지수 (관광산업 중심) |
|||||||||||||||||||||||||||||||||||||||||||||||||||||||||||||||||
---|---|---|---|---|---|---|---|---|---|---|---|---|---|---|---|---|---|---|---|---|---|---|---|---|---|---|---|---|---|---|---|---|---|---|---|---|---|---|---|---|---|---|---|---|---|---|---|---|---|---|---|---|---|---|---|---|---|---|---|---|---|---|---|---|---|
□ 서비스업생산지수 개요 ○ (정의) 서비스업 전체 및 개별 업종 생산 활동의 종합적 파악을 위해 개별 업종의 상대적 중요도인 부가가치 기준 가중치를 적용하여 지수화한 것 * [가중치 산정방법] 기준연도(2020년)를 100.0으로 하여 월별 산정 ○ 통계청에서 월별(조사대상 월의 익월 말) 공표 ○ 서비스업 성장세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국가 경제정책 수립 등에 활용 * 서비스업생산지수 개편(2023년) 시 한국표준산업분류상 세분류까지만 공표함에 따라(기존은 세세분류까지 공표), 세세분류인 휴양콘도 운영업(55103)은 '23.2월부로 미공표 * 호텔업의 경우 세세분류에 해당되나, 통계 이용자 수요에 따라 동 지수에 포함
□ 2023년 6월 관광 관련 서비스업생산지수 (불변지수 기준) ○ 산업별 서비스업생산지수 > 관광 관련 5개 업종 발췌
○ 특수분류별 서비스업생산지수 > 관광서비스업
※ 최근 2개월('23.5~6월)의 데이터는 잠정치로서 추후 확정치로 수정될 수 있음. - 출처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서비스업생산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