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동아시안 성장지역(EAGA) 환승 여행객 대상 여행세 면제 시행 |
|||||||||||||||||||||||||||
---|---|---|---|---|---|---|---|---|---|---|---|---|---|---|---|---|---|---|---|---|---|---|---|---|---|---|---|
1. 현지 정책 동향 ○ 동아시안 성장지역(EAGA) 환승 여행객 대상 여행세 면제 시행 • 필리핀 정부는 민다나오와 팔라완의 모든 국제공항 및 항구를 출발하여 동아시안 성장지역으로 향하는 여행객들에게 여행세 면제를 부여하겠다고 발표. 이는 2028년 6월 30일까지 적용되며 해당 지역 도착후 24시간 내의 환승항공편을 이용한 승객들에게 적용 • 동아시안 성장지역(East Asian Growth Area)는 브루나이 다루살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을 회원국으로 하며 4개 동남아시아 국가의 낙후지역(주로 섬 지역) 인프라 확충을 위한 국가별 협력체임. 이는 1994년에 설립되었고 회원국의 지역적 경제통합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이번 조치로 인해 동아시안 성장지역간연결성과 투자유치 가능성을 높여 팔라완과 민다나오섬의 경제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 특히 펜데믹으로 중단되었던 항공편 부활과 해운터미널 신설을 통해 제품운송비용을 최소화하려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판단됨 ○ 내수활성화 및 관광 활성화를 위해 8월말 휴일 변경 통한 연휴 지정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Jr 필리핀 대통령은 국가공휴일인 니노이아키노 기념일(8.21)을 23일로 변경. 이 조치로 인해 또다른 국가공휴일인 국가 영웅의 날(8.26)과 주말을 포함하여 4일의 연휴 지정을 통한 내수활성화 및 관광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조치임을 시사 ☞ 연휴를 열흘 앞둔 8월 13일에 긴급하게 발표되어 비자가 필요한 방한관광의 특성상 실제 관광객 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던 것으로 나타남 2. 항공 동향 ○ 마닐라국제공항(NAIA) 민간운영 개시를 앞두고 공항운영 효율화 방안 발표 • 필리핀 교통부는 마닐라공항의 운영 및 유지관리를 9월14일까지 NNIC컨소시엄에게 이관 예정인데. 민간운영을 위한 자금 조달을 위하여 올해 항공기 이착륙비용이 인상될 예정이며 내년에는 승객들의 공항이용료가 국제선 기준 550페소에서 950페소로 약 73%(한화 22천원) 인상 검토 * NNIC(New NAIA Infra Corp.) 컨소시엄 : 인프라 건설 사업자 산미겔 그룹(33%), 현지 재무 투자사 RMM(30%)·RLW(27%), 인천국제공항공사(10%)로 구성 • 또한 활주로 효율성을 개선하고 비행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 및 외국 항공사들의 터미널 배치를 재조정할 계획이며 항공기 이착륙 효율성을 30% 이상 증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 이와 더불어 NAIA3공항과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사업도 추진예정 ☞ 한-필 운수권 회담의 결과 여객운수권이 확대되었지만 포화상태에 이른 NAIA국제공항의 상황상 항공노선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음. 공항운영 효율화 방안으로 인해 포화상태에 이른 NAIA국제공항의 승객수용능력이 개선될 경우 항공노선 증가 및 방한수요 촉진 기대
3. 여행업계 동향 ○ Agoda의 최신 재방문지 설문조사 결과 한국이 재방문 상위여행지로 선정 • 설문결과에 따르면 필리핀 여행객의 70%가 본인이 선호하는 여행지로 재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남. 한국이 일본, 태국 다음로 재방문 상위 여행지에 선호되었으며, 대만과 홍콩이 뒤를 이음. 또한 지난 10년간 55%의 관광객이 선호하는 여행지를 1~3회 재방문했으며 10%는 10회이상 재방문한 것으로 나타남 • 일본, 태국, 그리고 한국이 필리핀 여행객들에게 매력적인 이유가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필리핀 응답자 중 50%가 '여행의 용이성', '현지 음식'이 47%. '편리한 위치'는 34%, '안전하고 깨끗함'은 33%, '이전의 긍정적인 경험'은 30%로 그 뒤를 이었음 ☞ 필리핀 관광부(DOT)의 올해 1~7월 아웃바운드 관광객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필리핀 아웃바운드 관광객 순위 9위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번 설문조사 결과 관광지로서의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다른 경쟁국들이 비자발급이 용이하거나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나라인 것을 볼 때 방한 비자발급 여건 개선이 필리핀 방한관광객 유치의 최우선 과제로 나타남 4. 경쟁국 동향 ○ 주요 경쟁국 데이터 근거, 필리핀 아웃바운드 전반 작년 대비 상승 기록 • '23년 동기 대비 '24년 월별 주요 국가 방문 필리핀 관광객 수
* 대만 인바운드 자료는 공표 지연으로 5월 통계 적용
|
- 이전글 튀르키예 관광시장동향(8월)
- 다음글 극동러시아 관광시장동향보고(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