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국제 항공 운항 정책 경과
- '22.7월 : 중국 국제항공 노선 점진적 확대 발표 (중국 민항국, 7.12)
- '22.8월 : 중국 국제항공 운항 정책 변경 온라인 설명회 (중국 민항국, 8.3)
- '22.8월 : 중국 국제 여객선 서킷브레이커 정책 완화 발표 (중국 민항국, 8.7)
- '22.8월 : 한중 항공 노선 확대 실무 협의 (8.19)
- ‘22.11월 : 국제 여객 운항 서킷브레이커 정책 폐지 (국무원합동방역본부, '22.11.11)
|
□ 한중 항공 노선 증편 예상 (현행 68편 → 증편 100편)
○ 자료출처:국적항공사 제공 정보 등을 취합 및 재정리
○ 시행시기 : '22. 12월말 또는 '23년 1월
○ 증편내용
- 현행 ('22.11.말 기준) : 주당 68편 (국적기 34 + 중국항공 34)
- 증편 ('22.12.말 예정) : 주당 100편 (국적기 50 + 중국항공 50)
ㆍ('22.8월) 베·상·광 3곳은 엄격 방역 및 공항 수용 능력 부족사유로 제외하였으나 상하이만 증편됨
* 베이징('22.8~'22.11 증편 없음), 상하이('22.8~'22.11 한국2, 중국1 증편), 광저우('22.8~'22.11 증편 없음)
ㆍ('22.12월) 베이징(없음), 상하이(한국1 증편), 광저우(한국2, 중국2 증편)
구 분
|
기존 (한4, 중5, 총 9편)
|
변경 (한7, 중7 총 14편)
|
비고 (증편 5편)
|
베이징↔인천노선
|
한국1(아시아나), 중국1(중국국제)
|
한국1, 중국1
|
증편 없음
|
상하이↔인천노선
|
한국2(대한, 아시아나), 중국3(동방2, 춘추1)
|
한국3, 중국3
|
증편(한국1, 중국0)
|
광저우↔인천노선
|
한국1(대한), 중국1(남방)
|
한국3, 중국3
|
증편(한국2, 중국2)
|
□ 항공 노선 증편 추진 경과
○ ('22. 8월) 매주 30편 운항 (국적기 18 : 중국항공 12)
○ ('22. 10월) 매주 60편 운항 (국적기 30 : 중국항공 30)
○ ('22. 11월) 매주 68편 운항 (국적기 34 : 중국항공 34)
○ ('23. 01월) 매주 100편 운항 (국적기 50 : 중국항공 50) 예정
* 항공사 노선 배분 신청 접수 및 인허가 승인 후 구체적인 노선 확정 예상, 통상 3주 이상 소요
○ ('23. 03월) 매주 120편 운항 (국적기 60 : 중국항공 60편) 예정
* 금번 증편(100편) 관련 상황을 고려하여 항공 당국이 1~2월로 조기 시행 가능성도 있음
□ 시사점
○ 중국의 본격적인 위드코로나 전환에 따라 향후 국제항공노선의 추가 공급과 더불어 인적교류 확대 시기도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