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국내시장동향 상세 내용 - 구분 제목 권역 등록일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중국 Z세대 상품 소비 및 여행 소비관련 특징 분석

베이징지사|2022.09.26 17:39

□ 주요내용 요약 및 시사점


[중국 Z세대]

  ○ 중국의 Z세대는  인터넷 시대에 태어난 세대로 인터넷, 통신, SMS,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과학 기술로부터 큰 영향을 받으며, 중국 인터넷의 발전과 개인의 성장 주기에 따라서 1998년부터 2014년 사이에 출생한 사람을 Z세대로 불리고 있음.

  ○ 중국의 Z세대는 약 2.8억명으로 전체 인구 점유율은 18.1%에 달하며, 대부분 학생(초,중,고,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경제가 발전 지역(베이징, 상하이, 톈진 등)과 동북지역(헤이룽장, 랴오닝, 지린) 보다는 3선 도시 이하 지역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중국 Z세대 관심분야]

  ○ 중국의 Z세대는 자기개발을 위한 학습에 대한 관심과 투자, 아트토이 상품, 신규 출시 식품, 트렌디한 패션 스타일링, 디지털 제품에 대한 높은 관심과 능동적인 소비 등 다양한 콘텐츠와 분야에 관심을 보이며 개성 넘치는 세대로서 라이프 스타일을 끊임없이 추구하고 것으로 나타남.


[중국 Z세대 상품 소비 특징]

  ○ 상품 소비시 이들은 주변 시선 의식 보다는 능동적으로 자신의 수입에 따라 계획성있는 소비를 하며, 상품의 품질, 가격, 성능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중국의 Z세대는 영화, 음악, 예능, 온라인 게임, 쇼핑 플랫폼, SNS 등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 관련 콘텐츠 정보와 소비 정보를 획득,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 Z세대 여행 소비 특징]

  ○ 여행 소비 지출시 이들은 안전성 높고 가까운 주변 여행을 선호하며, 안전한 여행을 위해서 더 많은 소비 지출도 고려하며, 여행을 위한 사전 준비와 계획 수립시 국내여행의 경우에는 코로나19 이전보다 비교시 뚜렷한 변화는 작지만, 해외 여행 계획 수립시에는 더 신중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남.

  ○ 중국 여행 시장의 소비에 있어서 디지털로 무장한 Z세대는 트렌드 선도와 일부 여행시장 영역에서 숙박부문(민박, e스포츠 테마호텔, 리조트 필수 방문지) 등 시장에서 활력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 개별 지역도시에서 거주 Z세대의 여행 소비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여행 소비자로서 Z세대는 여행할 때 주로 편리한 대중교통(고철철도, 항공편)을 이용하며, 경제적 상황을 고려한 상대적으로 저렴한 민박, 경제형 호텔을 선택하며, 선호 여행 방문지로는 테마파크, 주변 자가운전 여행 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Z세대가 선호하는 국내여행 목적지로는 베이징, 상하이와 같은 풍부한 문화자원이 있는 지역 또는, 온라인 상으 인플루언서가 추천하는 지역하는 여행지인 충칭, 쓰촨, 신장, 후난 등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Z세대가 여행 정보를 얻는 채널은 웨이신 커뮤니티, 숏폼 플랫폼(더우인, 콰이셔우 등), 샤오홍수 등 플랫폼이며, 이들은 플랫폼에서 자신의 콘텐츠를 공유하며, 전통적인 여행 목적지의 개념과 이미지를 변화시켜, 여행업계에 새로운 변화와 다양성을 이끌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주요 출처 및 참고]

1. 중국 Z세대의 정의와 특징(청산자본, 2021.7)
   《 Z世代定义与特征, 青山资本,2021.7》
2. 2022중국 Z세대 온라인여행 소비보고(퉁청여행, 2022.5)
   《2022“Z世代”青年在线旅行消费洞察,同程旅游,2022.5》
3. 소비주의 사조의 00허우에 미치는 영향 연구(2019.6)
   《消费主义思潮对00后大学生的影响及对策研究, 2019.6》
4. 00허우생활방식조사보고(텐센트마케팅인사이트 등 , 2021.10)
   《00后生活方式洞察报告,腾讯营销洞察 等, 2021.10》
5. 포스트코로나시대신여행, Z세대여행소비변화보고(199IT. 2020.7)
   《后疫情时代的“新旅游”z世代旅游消费变化报告, 199IT, 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