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인바운드 주요 관광지 내 오버투어리즘 문제점 및 원인분석 |
|||||||||||||||||||||||||||||||||||
---|---|---|---|---|---|---|---|---|---|---|---|---|---|---|---|---|---|---|---|---|---|---|---|---|---|---|---|---|---|---|---|---|---|---|---|
□ 일본 오버투어리즘의 문제점 및 현황
□ 일본 인바운드 주요 관광지 내 오버투어리즘 발생 원인 1. 관광산업규모 확대 - 2024년 방일외국인은 매달 약 300만 명 여행목적으로 일본을 방문 하고 있으며 이는 2019년보다 12.2% 증가한 규모, 또한 일본인 국내여행도 2019년 대비 91% 수준으로 회복하며 국내외 여행수요가 증가하면서 관광지로의 외부 유입이 증가하고 있음 2. 대중교통, 비자수속 등 높아진 편의성 - 저가항공사인 LCC의 등장 및 노선 확대가 경제적인 여행을 가능하게 하면서 교통편의가 높아짐. 특히, LCC는 단거리노선에 강점을 가져 국내선, 근거리 해외(아시아권)국가 노선에서 강세 - 비자 취득 요건 완화 및 무비자 관광 제도 등에 따라 국가 간의 이동이 수월해지며 관광객 증가에 기여하고 있음 3. SNS의 대중화 - 과거에는 TV, 신문, 잡지 등 매스미디어가 관광이미지 발신, 관광수요 환기의 기능을 했으나, 최근에는 SNS가 그 역할을 하며, 한 장소에 관광객이 집중하게 되는 요인으로서 기능함 - 사진 공유가 장점인 SNS의 기능에 의해, 일부 관광지에 대한 대다수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며, 다른 형태의 매스투어리즘을 발생시키고 있음 4. 민박시설의 보급 - 민박시설이 관광객에게 호텔 외의 숙박 대안지로서 시내에 우후죽순으로 발생, 불특정 다수인 관광객이 기존 주민들의 거주공간에 들어오면서 상호간의 트러블을 발생시킴
□ 일본정부 오버투어리즘 대책 사업 ㅇ 관광청에서 2018년 지속가능한 관광추진본부를 설치, 2024년부터 ‘오버투어리즘 미연방지·억제에 의한 지속가능한 관광추진사업’을 실시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오버투어리즘 대책사업을 지원 중 ㅇ 오버투어리즘 대책 관련 지원사업 예시
□ 출처 ㅇ 관광청 공식웹사이트 ㅇ 쟈란리서치센터 - https://jrc.jalan.net//wp-content/uploads/2024/11/report_overtourism.pdf ㅇ 아사히신문 SDGsACTION - https://www.asahi.com/sdgs/article/15357805 ㅇ 트래블보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