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C 및 기타국가) 2025년 6월 관광시장 동향(1차) |
|
---|---|
□ 관광전략 및 정책 동향 ○ (사우디) 1분기 국제선 입국자 수 48% 급증 - 2025년 1분기 사우디의 국제 관광객 입국자가 48% 급증하며, 비전 2030 목표에 부합하는 글로벌 목적지로서의 빠른 성장을 보임 * 특히, 영국과 사우디의 연결성이 개선으로 리야드, 제다를 연결하는 주 51편의 항공편 운항
○ (사우디) 의료관광 시장, 2030년까지 3배 성장 전망 - 사우디 의료관광 부문은 2024년 2억 달러에서 2030년까지 6억 8천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비전 2030’의 일환으로 심장학, 종양학, 이식, 불임 분야에 투자 * 공인 병원, 파트너 십, 간소화된 비자 절차 개선으로 해외의료 여행을 촉진
○ (사우디) 2026년까지 600개 관광지에서 주류 판매 허용 - 2026년까지 고급 호텔과 허가받은 리조트 등 600개 지정 관광 구역에서 와인과 맥주 판매를 엄격한 통제 하에 허용할 예정임 * ‘비전 2030’ 인바운드 활성화 목표로 2034년 FIFA 월드컵 및 네옴(NEOM) 등 관광지원 목적
○ (카타르) GCC지역 관광 성장률 1위 - 2024년 카타르는 방문객수가 25% 증가하여 주요 경제 지표인 객실 숙박일수 1천만 박을 처음으로 돌파, 숙박일수 성장률 22%를 기록하며 GCC 국가 중 1위를 차지 * GDP의 8%인 550억 카타르 리얄(QR) 기여, 2030년까지 12%를 목표
○ (튀르키예) 지중해 국가중 숙박 감소 추세 - 터키 관광청(Turizmdatabank)의 분석에 따르면 터키는 지중해 연안 국가 중 관광객이 가장 많은 목적지의 시설 총 숙박 횟수에서 2025년 3개월 동안 4위를 기록함 *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가 1위를 차지했으며 이들 국가는 2.5% 증가
□ 비자 및 항공 동향 ○ (GCC)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오만 등 무비자 추가 허용 - 중국은 6월부터 사우디, 오만, 쿠웨이트, 바레인 여권 소지자에게 관광, 사업 또는 가족 방문을 위한 30일간 무비자 1년간의 시범 정책 시행 * GCC 전국가에 대한 무비자 완료로 GCC의 중국 아웃바운드 입국이 증가 전망
○ (UAE) 일본, UAE 국민에 90일 무비자 입국 허용 - 2025년 7월 1일부터 ICAO 규정을 준수하는 일반 여권을 소지한 UAE 국민은 기존 30일에서 최대 90일까지 무비자로 일본에 체류할 수 있음. * 관광, 사업 또는 가족 및 친구 방문 목적으로 비자면제협정 강화 조치
○ (사우디) 인도인 및 기타 근로자 블록워크 비자 중단 - 2025년 6월 사우디는 하지(Hajj) 시즌과 사우디화(Saudization)를 위해 인도, 파키스탄, 이집트 등 14개국 블록워크(외국인 노동자) 비자발급 일시 중단 * 사우디 인적자원부는 사우디인의 고용 증대에 기여 및 노동력 의존도가 높은 산업에 영향
□ 여행 및 시장 동향 ○ (GCC) 4월 중동 국제선 여객 증가율 11.2% - IATA에 따르면 2025년 4월 전세계 항공여행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했으며, 중동 항공사의 수요는 11.2% 증가하며 강력한 성장을 보임 * 국내선 여객 수송량은 3.3% 증가, 미국 국내선 여객 수송량은 지속적으로 감소
○ (UAE) 6월 이드연휴간 여행 15% 증가, 단거리 해변 여행지 급증 - UAE에서 ‘이드 알 아드하’ 연휴를 맞아 예약하는 여행지가 전년 대비 15% 증가했으며, 몰디브, 세이셸, 터키와 같은 단거리 해변 여행지가 가장 많은 예약률을 기록 * 프랑스, 일본, 태국 등 장거리 목적지도 인기가 높으며, 몰디브 방문 UAE 33% 증가
○ (튀르키예) 자국민의 해외 여행 동향 분석 - 현지 여행기관인 ‘GlobeMeets’는 아웃바운드 시장 조사를 수행한 결과 2025년 가장 여행하고 싶은 국가는 독일이 12.1%로 1위를 차지 * 미국, 이탈리아, 쿠바가 뒤를 이어 유럽과 미국이 주요 희망 목적지로 조사
□ 경쟁국 및 기타 동향 ○ (스위스) UAE 의료 관광객 증가 전망 - 스위스 ‘의료네트워크(Swiss Medical Network)’에 따르면 스위스는 의료 관광의 주요 목적지로 강화하여 현재 GCC 국가의 비중이 30% 차지하며, 도착부터 사후관리까지 개인 맞춤화된 진료 제공 * 종양학, 복잡한 수술, 안과 등 첨단 치료에 대한 스위스의 매력을 강조하며 UAE와 GCC 국가들의 환자들을 지속적으로 유치 전망
※ 출처 : 현지 언론 종합 (www.arabnews.com, www.khaleejtimes.com, www.gulfnews.com, www.thenationalnews.com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