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경기/인천
♣ KT·서울시, '광화문광장 미디어파사드' 운영 업무협약 체결
○ 광화문광장 미디어파사드는 광화문광장을 중심으로 KT 광화문 서(西) 사옥과 세종문화회관 벽면에 다양한 영상을 투사해 콘텐츠를 상영하는 KT와 서울시의 공동 프로젝트로, 이번 협약에 따라 KT는 현재 리모델링 공사 중인 광화문 사옥의 가림막을 대형 미디어파사드로 개조할 계획
○ KT는 광화문빌딩 서 사옥 리모델링 공사 가림막을 대형 스크린으로 활용해 앞으로 1년간 매일 저녁 일몰 시간 이후 미디어파사드를 진행해 나갈가며, 광화문광장 미디어파사드는 올 8월 새롭게 단장한 광화문광장 개장 기간에 첫선을 보일 예정
○ KT와 서울시는 광화문광장 미디어파사드 운영 활성화를 위해 미디어 아트와 영상 콘텐츠 분야의 작가 공모전도 개최하여 콘텐츠를 지속 확충할 계획임.
* 주요 공모 주제는 ▲새로운 광화문광장과 서울의 미래를 이야기하는 ‘온새미로 서울’과 ▲디지털 시대의 변화와 발전으로 바뀌게 될 미래의 삶을 표현하는 ‘디지털전환 라이프(DX LIFE)’
출처 : 조선일보,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2/07/13/5H5HOBP2ORDG5A55YJ6BVO5BHU/
♣ 경기도, 관광·환경 봉사 결합한 '착한가치 비치코밍' 선봬
○ 경기도, 7월 18~19일 관광과 환경 봉사활동을 결합한 '착한가치 비치코밍' 프로그램을 화성과 안산에서 선보였으며.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는 '경기바다 여행주간'(6월 14~20일)을 맞아 가족 단위 관광객들의 비치코밍을 지원
* 비치코밍은 해변(beach)을 빗질하듯이(combing) 바다 표류물이나 쓰레기를 주워 모으는 봉사활동
○ 모두 47명이 참여한 이번 프로그램은 7월 18일 첫날 시흥 배곧한울공원에서 코로나19 발열 점검과 프로그램 등록 후 미션북을 받아 이틀간 순서에 상관없이 스스로 동선을 짜고 자차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진행
○ 경기도는 바다를 배경으로 한 이번 서부권 프로그램 운영 외에도 수려한 산수를 살린 동부권, 반려견 동반 역사문화 콘텐츠를 다루는 남부권, 평화를 중심으로 접경지역 문화를 담은 북부권 등 권역별 주제를 잡아 관광 프로그램을 올 하반기에도 이어갈 계획
출처 : 아주경제, https://www.ajunews.com/view/20210620064209858
♣ 인천문화재단 기능·역할 재정비 나선다
○ 민선8기 인천시 시정혁신준비단, 인천문화재단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검토 작업에 착수할 예정
* 문화예술지원·육성 기관인 인천문화재단이 문화콘텐츠산업과 관광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재단의 기능과 역할이 조정될 것으로 전망
○ 시정혁신준비단은 순수문화예술 외에도 K-Pop 등 문화콘텐츠산업과 관광산업 등의 기능을 재단에 추가하는 방향을 점검할 계획이며, 대표이사 선임 절차와 진보예술단체에 대한 지원사업도 조정 대상으로 거론되는 등 구체적인 조정 대상과 범위를 결정할 예정
출처 : 인천일보,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3162
■ 강원
♣ 삼척시, 도계 ‘뷰티 체험’ 성지로
○ 다양한 뷰티체험을 토대로 도계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조성된 뷰티체험시설인 ‘뷰티스마켓(Beauty’s Market)이 8월부터 시범운영하며, 시설 내 헤어&네일숍, 조향 체험실, 화장품 만들기 체험실, 아이 브로우 체험실, 퍼스널 컬러&피부진단 체험실, 왁싱체험 공간 등 여러 시설을 운영할 예정
* 뷰티스마켓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한 폐광지역 관광자원화 사업에 선정돼 국·도비 50억원
등 100억원을 들여 지난해 말 준공
출처 : 강원일보, http://n.news.naver.com/article/087/0000912571?sid=102
♣ 동해시, 목호항 일원 ‘동해바란 도째비 페스타’ 22일 개막
○ ‘2022 동해바란 도째비 페스타’가 7.22~7.24일까지 3일간 발한·목호권역 일원에서 개최 예정
○ 코스프레 및 가면 만들기, 도깨비 타투 등 체험활동이 진행되고 막걸리와 먹태&맥주를 즐길 수 있는 ‘막먹어보자’, ‘먹맥페스타’등 먹거리 포차와 플리마켓이 운영될 예정
출처 : 강원일보, http://www.n.news.naver.com/article/087/0000913216?sid=102
■ 대전/충북
♣ 대전시, 신축야구장 설치 확정
○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한 신축야구장을 기존 ‘개방형’에서 ‘돔형’으로 건립 가능하도록 설계 보강할 예정
* 신축야구장은 추후 국제 이벤트나 대형 공연 등으로 사용 가능할 예정
출처 : 뉴스원, https://www.news1.kr/articles/?4747198
♣ 충주시, 관광활성화 위한 철도-대중교통 연계 서비스
○ 충주시는 철도를 거점으로 지역 명소를 하나로 연결하는 교통망 출시, 철도이용객의 편의 향상과 관광 활성화를 위해 충주역ㆍ앙성온천역 등 중부내륙선과 중앙탑, 활옥동굴, 종댕이길 등 주요관광지를 연계하1는 15인승 ‘충주여행 마을버스’ 운영
출처 : 충북일보, https://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723770
♣ 충주시, 최초 고갯길 ‘하늘재’ 관광 활성화 속도
○ 충주시가 문경시와 공동 추진 중인 ‘하늘재 이음 사업’은 행정안전부의 지자체간 협력 뉴딜사업에 최종 선정
○ 시는 지난 3월, 문경시와 함께 공모에 신청해 1차 서류심사, 전문가 컨설팅, 2차 대면 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되며 하늘재 관광 활성화에 박차 계획
○ 시는 하늘재의 숨은 이야기를 디지털화하는 관광 인프라 구축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최초의 문헌상 교통로인 하늘재의 가치 재조명 예정
출처 : 대전일보, http://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3737
♣ 단양군, 도담삼봉 충북 최고의 경승지 ‘도담 정원’ 탈바꿈 시동
○ 단양군은 지난 18일, 충북 최고의 경승지 도담삼봉 일원을 꽃이 가득한 정원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도담리 저수 구역 명소화 사업’ 주민설명회 개최
○ 군은 도담삼봉이 위치한 도담마을 일원을 경관체험형 관광자원으로 개발해 더 많은 관광객 유치 목표로, 1만300m2 규모 갈대 숲과 계절별 양귀비, 코스모스 등이 피어나는 초화원 조성 및 방문객 대상 체험 프로그램 도입 예정
출처 : 충북일보, https://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723791
■ 전북/전남
♣ 전북도,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지원’ 공모 선정
○ 전북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파진흥협회 주관 ‘2022년도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지원’ 공모사업에 선정 2년간 국비 15억3000만원 지원
○ 올해 전주한옥마을, 팔복예술공장을 기반으로 주요 건물과 유적지를 가상세계 내 현실과 동일한 크기의 3차원 디지털 공간에 구축 예정
출처 :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4745511
♣ 전주시, ‘관광웹툰’으로 중국 MZ세대 관광객 유치한다
○ 전주시, 중국 유명 웹툰 플랫폼 ‘콰이칸’에 웹툰 ‘전주 이씨네 게스트하우스’ 7.6일부터 10회에 걸쳐 연재(게시 하루만에 중국 전역에서 약 85만명 누적 조회)
○ ‘전주 이씨네 게스트하우스’는 전주를 배경으로 한중남녀의 삼각로맨스를 그리는 로맨틱코미디 장르 웹툰으로 전주의 관광명소와 음식, 다양한 관광자원을 선보이고 전주만의 매력을 전달할 계획
* 콰이칸 : 중국 유명웹툰 플랫폼(전체 사용자 3억4000만명, 하루 5000만명 이상 이용)
출처 :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4735412
♣ 군산시, ‘2022 군산 K-맥주 페스티벌’ 개최
○ 군산시, 제1회 수제맥주 축제 ’2022 군산 K-맥주 페스티벌’ 오는 9월16~18일 근대역사박물관 인근 주차장 일원에서 개최, 지역 맥주 생산업체 4곳이 맥주를 공급하며, 음식부스와 플리마켓 등 운영 예정
* 군산은 전국 최초로 국산맥아를 사용한 지역 특산 수제맥주 생산(옥구읍, 옥서면, 미성동. 회현면 일대 32ha 규모)
출처 : 노컷뉴스, https://www.nocutnews.co.kr/news/5785541
♣ 전남도, 마이스 행사 유치 온힘
○ 전남도는 마이스 행사 유치 활성화를 위해 전남의 우수한 관광자원과 음식을 연계한 ‘전남도 휴양형 마이스 시설’ 67곳을 지정, ‘휴양형 마이스 시설’은 마이스 행사와 함께 지역의 특색있는 휴양·힐링 관광 및 체험 등을 즐길 수 있는 시설로, 전남도가 주력으로 육성하고 있음
○ 전남도는 각 시·군의 ‘휴양형 마이스 시설’에 대한 설명과 함께 회의장 면적 및 수용인원, 숙박시설 현황 등을 안내해 행사 규모에 따라 회의시설 선택이 가능하도록 홍보책자 구성, 인근 관광지·음식·체험 시설 등을 사진과 함께 수록해 마이스 개최지로서의 매력도를 알리며 전남지역 마이스 행사 개최 단체·기관 등에 지급하는 인센티브 지원제도와 ‘휴양형 마이스 시설’의 인센티브 가산 지원 내용을 안내해 홍보효과를 더함
○ 박용학 전남도 관광과장은 “전남은 우수한 자연·생태 관광자원을 보유한 마이스 행사 개최의 최적지”라며 “휴양형 마이스 시설의 적극적 호보를 통해 국내 중·소규모 마이스 명소로 자리매김토록 하겠다.”고 전함
출처 :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207191417016081
♣ 전남도, ‘남도고택’ 체류형 관광 활성화
○ 전남도와 전남관광재단은 남도고택을 활용한 체류형 관광 활성화를 위해 ‘남도고택 여행상품’을 전담할 5개 여행사를 공모로 선정
○ 해당 여행상품은 지난해 영암 구림마을, 영광 매간당 고택 등 종가, 고택을 대상으로 시범 추진했던 사업이며 올해는 여행사 공모를 통해 전담 여행사를 지정해 추진하며, 남도고택과 여행사 간 1대1 매칭을 통해 고택·종가의 가치와 매력을 높이는 여행 콘텐츠를 개발해 상품을 출시할 예정
○ 특히 고택의 역사와 문화가 연계된 이색 체험 행사를 개발하고 운영함으로써 ‘남도고택’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특색있는 상품을 통해 모객 차별화 전략을 내세울 계획
○ 올해는 전남종가회의 추천을 받아 선정된 영암 구림마을, 영광 매간당고택, 보성 이진래 고택, 강진 백운동원림, 담양 학봉종가를 대상으로 추진, 정창모 전남도 문화예술과장은 “지난해 고택체험 시범사업을 통해 체류형 관광상품으로서 남도고택 가치를 재발견했다.”며 “우수한 전남종가와 고택을 활용해 종가문화 확산은 무론 전남 관광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함
출처 : 전남일보, https://www.jnilbo.com/view/media/view?code=2022071317351679257
■ 대구/경북
♣ 대구시, ‘대구관광 라이브커머스’ 확대 운영...지역관광 활성화 노린다
○ 대구시와 대구관광재단 ‘클릭 한 번으로 떠나는 대구여행’ 2022 대구관광 라이브커머스를 확대 운영. 지난해 13개 사업체를 지원해 지역관광업계와 대구여행 관광객으로부터 호응이 높아 올해 확대 추진
○ 올해 외부전문가 심사를 통해 35곳 이상 선정. 선정 사업체 △상품할인 지원금 △사업체별 맞춤형 현장 상담 △라이브커머스 콘텐츠 기획, 쇼호스트 등 방송지원 등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형 라이브커머스 관련 일체 지원.
출처 :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20715514697?OutUrl=naver
♣ 안동시, KTX 연계 관광택시 운영...“관광가이드 역할‘
○ 경북 안동시와 (사)안동시관광협의회, KTX와 연계한 관광택시 운영. 안동관광택시는 KTX 이용 관광객 대상으로 관광가이드, 사진촬영서비스는 물론 MZ세대의 감성과 공감을 이끌어내 새로운 힐링 여행 제공. 관광택시 운전자는 지난 3월부터 7주간 62시간 교육을 받은 베스트 드라이버로 구성.
○ KTX-관광택시 여행상품은 올 하반기 관광택시 이용고객 1,000명을 목표로 코레일관광개발과 홍익여행사가 맡아 관광객 모객 진행. 이와 동시에, 안동시, 관광접점을 중심으로 친절운동을 지속적으로 확산해나갈 계획.
출처 :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718_0001946157&cID=10810&pID=10800
♣ 수성못에 세계적 수준 수상공연장 들어서
○ 2020년 한국관광공사 야간관광100선, 2021~22년 한국관광 100선 선정지이자 대구 대표 관광지인 수성못에 세계적 수준의 수상 상설 공연장 건설 추진. 대구시와 수성구는 2024년까지 수성못에 1천700석 규모의 수상 상설 공연장 건축 계획중.
○ 시와 구는 수성못 수상 공연장 건설을 대구권 관광개발계획에도 반영했으며, 내년 중으로 실시설계 용역을 시행하고 착공할 방침
출처 : 경북매일, 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934166
■ 부산/울산/경남
♣ 부산관광 브랜드 디자인/슬로건 직접 뽑아주세요
○ 부산시, 7.29(금)까지 국제관광도시 부산의 정체성과 상징적 이미지를 담은 ‘부산관광 브랜드 디자인(슬로건 포함)’ 시민 선호도 조사 실시, 8월 중 최종 관광 브랜드 (BI) 최종 선정 예정
○ 동 선호도 조사는 ‘21년 10월부터 진행된 부산시 관광 브랜드 개발 과정에서 국내외 관광트렌드 및 지역 환경 분석, 사회 계층별 의견 수렴, 시민 아이디어 공모 등을 통해 도출된 3개 최종안 대상으로 진행됨* 선호도 조사 대상자 : 부산시민, 국내외 브랜딩 전문가, 관광업계 종사자, 해외 거주 외국인
출처 :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720_0001949361&cID=10811&pID=10800#
♣ 울산 대왕암공원 출렁다리 방문객 170만 명 돌파(7.19)
○ 울산 동구청, ‘21년 7월 개통한 대왕암 공원 출렁다리 누적 방문객 173만 명 기록 발표. 출렁다리는 평일 하루 평균 3,000명 / 주말 하루 평균 10,000명 이용하였으며 울산 외 타지역 방문객은 약 60%로 구성
○ 대왕암공원 출렁다리는 길이 303m, 폭 1.5m의 현수교로 국내 출렁다리 중 주탑 간 거리가 가장 긴 다리임. 동구청은 출렁다리 안전도 A등급 유지 중이며 향후 주변 산책로 포장, 화장실 증축 등 통한 방문객 편의 도모 예정
출처 : MK뉴스,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2/07/634597/
♣ 남해관광문화재단, 관광분야 국제기구(TPO) 국내 지자체출연 관광기관 중 첫 가입
○ 경남의 남해관광문화재단이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출연 관광기관 최초 아시아태평양도시관광진흥기구(TPO)에 가입, TPO는 2002년 8월 ‘제 5회 아시아‧태평양 도시 서밋’에서 창설된 국제기구로, 아‧태 지역 주요도시와의 공동마케팅사업, 네트워크 구축 등을 지원하는 관광산업 발전 목적의 국제협의체로, 2022년 4월 기준으로 190개 회원*이 가입되어 있음.
* 190개 회원 중 국내 41개 도시가 가입, 국내 민간회원은 서울관광재단, 부산관광공사, 부산관광협회, 대구관광협회, 통영관광개발공사 등이 가입하였으며, DMO는 남해가 처음으로 가입함.
○ 국내 기초지자체 관광재단이 TPO에 가입한 것은 남해관광문화재단이 첫 사례로, 향후 TPO를 통해 ▲국내‧외 회원도시협력 관광마케팅 ▲해외관광객 유치를 위한 공동마케팅 ▲유니크베뉴, MICE산업 육성 등을 추진할 계획
출처 : 부산일보,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072009232270817
♣ 경남관광재단, ‘미식여행' 예약·결제시스템 구축에 참가 음식점 모집
○ 경남 미식여행 예약·결제시스템은 도내 18개 시·군 음식점의 위치, 메뉴, 가격 등 주요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예약과 결제가 한번에 이뤄져 경남을 방문객이 여유롭게 여행 일정을 만들고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임, 특히 중개수수료 '0%' 혜택 지원과 동시에 음식점과 메뉴 정보를 담은 다국어 페이지 제작 예정
○ 도내에 사업장을 두고 운영 중인 음식점 신청 가능하며, 지자체와 유관기관 등으로부터 우수 음식점 선정 이력에 가점 부여하여 선발하여 시스템 내 수록 예정
출처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20718076000052?input=1195m
■ 제주
♣ 제주도, 13억 풀어 관광분야 양질의 일자리 만든다
○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고용노동부의 지역혁신프로젝트 공모사업에 ‘제주 관광 비상 프로젝트’ 사업을 신청해 국비 11억1500만원을 확보, 여기에 지방비 2억6500만원을 추가 투입하여 관광산업 분야 일자리 95개 창출, 인재 양성 100명, 기업성장 지원 38개사를 지원한다는 계획
출처 : 제주매일, http://www.jejumaeil.net/news/articleView.html?idxno=317575
♣ 제주 렌터카 요금 체계 개선되나
○ 제주지역 렌터카 업체 대표들이 적정 요금 준수, 예약 취소 시 신속한 예약금 환불처리 등을 약속하는 등 자정 결의에 나서면서 고질적인 ‘바가지 요금’ 및 ‘불친절’ 민원이 사라질지 귀추가 주목됨
○ 도내 114개 렌터가 업체 중 89개 업체가 참여한 제주특별자치도렌터카조합(이사장강동훈)은 19일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에서 ‘렌터카 고객 만족 서비스를 위한 자정 결의대회’를 가짐
출처 : 제주일보,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46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