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및 GCC) 2024년 9월 관광시장 동향 |
|
---|---|
□ GCC 공통 ○ (비자제도) 2025년부터 바레인, 오만, 사우디 대상 러시아 비자 면제 - 오만,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3개국 국적자는 2025년부터 러시아에 비자 없이 입국이 가능할 전망 - 러시아 경제개발부 주도로 여행 규정을 간소화를 통해 관광객을 유치하는 전략의 일환임 * 주요 GCC국가들과 우호적인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
□ 아랍에미레이트(UAE) ○ (경제환경) 2024년 1분기 GDP 3.4% 성장 - UAE 실질 GDP는 2024년 1분기 4,300억 디르함으로 2023년 1분기 대비 3.4% 성장했으며, 비석유 GDP는 4% 성장 - 금융 및 보험은 7.9%, 관광은 호텔 및 식음료는 4.6% 각 증가하여 'We are the UAE 2031' 비전 목표를 지원
○ (시장동향) 거주자 아웃바운드 및 관광지출 증가 추세 - UAE 거주자 아웃바운드 여행지출은 2023년 315억 1,000만 달러에서 2024년 21.6% 증가로 383억 달러 예상 * UAE 거주자는 대만, 스위스와 같은 국가를 제치고 중동에서 가장 많은 소비 지출이 예상 - UAE에서 해외 방문객의 지출은 그보다 높은 9.4% 증가가 전망되어 두바이 인바운드 관광 촉진에 기여 전망
○ (MICE산업) 2024년 중동 MICE 관광 급증 예상 - UAE, 카타르, 사우디는 MICE 관광이 급증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56억 2,000만 달러에 달하는 시장을 차지할 전망 - 주요 GCC 국가들은 MICE 산업 육성에 힘쓰고 있어 중동이 이 산업의 글로벌 리더라는 입지를 공고히 하려는 움직임
○ (항공동향) 에티하드 항공 이용량 2024년 8월까지 36% 증가 - 에티하드 항공은 승객 교통량이 36% 증가해 2024년 8월까지 1,200만 명 탑승, 평균 탑승율은 89% 수준을 기록 - 최근 12개월 누적수는 2022년보다 거의 70% 증가한 1,700만 명 돌파하여 높은 성장을 기록 * 항공기를 95대로 확대하여 항공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글로벌 항공 허브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음
○ (경제정책) 호주 수출 및 투자 확대를 위한 무역 협정 체결 - UAE는 호주와 무역협정 체결로 호주제품의 99%에 대한 관세를 철폐. 녹색에너지 투자와 광물의 접근성을 높일 예정 - 2024년 상반기 양국 간 비석유 무역 23억 달러. 경제적 유대관계 강화 및 포괄적 파트너십으로 UAE 경제 다변화 추진
□ 사우디아라비아 ○ (관광정책) ‘비전 2030 관광 목표’ 1억 명 돌파 - 사우디의 관광 부문이 경제 다각화*의 핵심 원동력으로 2023년 비전 2030 목표를 넘어 1억 명 방문객 유치했다고 밝힘 * Red Sea Global과 같은 주요 프로젝트와 함께 국내 및 국제 관광이 증가하면서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 의존도가 낮아짐 - 관광 수입은 360억 달러로 GDP에 11.5% 기여했으며, 2034년까지 16%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관광제도) 관광세 환급제도 도입 및 관광호텔 허가수수료 취소 - 사우디 세관, 세무당국은 많은 외래객 유치 및 걸프 국가와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관광세 환급제도 도입 * 2024년 9월 발표되어 특정 VAT 납부자에게 감면을 제공하는 동시에 VAT 법률 준수를 개선하도록 설계 - 2024년 9월 4일부터 호텔 및 리조트의 상업 활동 허가 수수료를 취소한다고 발표 * 관광 투자지원 프로그램의 일부로 관광산업을 촉진하고 석유 의존도를 줄여 호텔산업의 경제 기여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됨
○ (항공동향) 신규 항공사 및 새로운 노선 발표 - 2024년 9월 ‘Wizz Air’, ‘Virgin Atlantic’, ‘Air India’ 등 새로운 항공노선을 론칭하여 글로벌 목적지로의 접근성 개선중 - 향후 사우디는 세계에서 가장 연결성이 높은 국가 중 하나로 2030년까지 매년 750만 명의 인도인 유치 전략 실행
○ (관광전략) 인도 여행객 타깃 첫 소비자 캠페인 시작 - 신규 캠페인인 'Spectacular Saudi'는 사막에 숨겨진 유네스코 유적지와 자연의 경이로움을 선보이며 인도시장 홍보 - 짧은 항공편을 통한 편리한 접근성과 간소화된 비자로 2030년까지 인도인객에게 최고의 목적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함
○ (항공동향) 리야드-히드로 간 신규 항공편 개설 - 버진 애틀랜틱은 2025년 3월부터 리야드의 킹칼리드 공항과 런던 히드로 공항 항공편을 개설*할 것이라고 발표함 * 영국-사우디 간 항공편 증가로 2035년까지 24% 성장 전망 - A330 Neo 항공기 운항으로 영국, 미국 등으로 원활한 이동으로 향후 사우디의 영국행 아웃바운드 수요가 증가 전망
□ 카타르 ○ (관광시장) 2024년 7월 인바운드 전년 대비 10.2% 증가 - 카타르는 2024년 7월 317,000명의 인바운드 방문객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 GCC 여행객이 주도함 - 월별 방문객 증가율은 0.4%로 항공 여행이 주요 입국 수단임
□ 쿠웨이트 ○ (시장동향) 2024년 상반기 1억 5,080만 디나르 티켓 판매 - 쿠웨이트의 관광 및 여행사에서 2024년 7월 2,387만 쿠웨이트 디나르의 티켓을 판매하여 전월 대비 3.7% 증가 - 2024년 1월부터 7월까지 누계 매출은 1억 5,078만 8,000만 KD로 작년 대비 1.7% 감소 * 저가 항공사 이용이 증가하고 소규모 및 온라인 여행사들이 시장을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됨
○ (비자제도) ETA를 통해 태국 입국 편의성 제고 - 2024년 12월 1일부터 태국여행 쿠웨이트인은 입국 절차가 간소화되어 전자여행 허가(ETA)를 신청으로 입국 가능 - 디지털 ETA는 무료이며 최대 60일 입국 가능, 추가로 30일 연장할 수 있는 옵션이 있어 편리한 절차를 마련 * 2024년 12월 시범 프로그램 시작, 2025년 6월까지 완전 운영 예정
※ 출처: 현지언론 종합 (www.arabnews.com, www.khaleejtimes.com, www.gulfnews.com, www.thenationalnews.com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