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각 국, 해외크루즈 운항 재개
ㅇ 구주 : 2020년 6월 이후 국내크루즈부터 해외크루즈까지 순차적으로 운항 재개
ㅇ 미주 : 2021년 5월부터 조건부 운항 재개 후, 2022년 3월 조건 폐지
ㅇ 아시아 : 2022년 6월 싱가포르 운항 재개
□ 일본, 국내외 크루즈 상품 현황
ㅇ 국내크루즈 : 일본선사(일본기업 여객회사) 운항 재개
ㅇ 해외크루즈 : 일본선사, 외국선사 모두 운항 중지 상태 지속
- 올해 운항 예정인 일본선사 해외크루즈 상품은 2개
- MSC베리시마 : 2021년 12월에 제주도편 크루즈를 판매 시작하였으나 운항 중지함
- MOPAS : 2022년 7월 출발 예정 제주도편 크루즈 운항 중지
- 프린세스크루즈, 코스타크루즈, MSC크루즈 등 외국선사에서 일본 발착 해외크루즈를 판매하였으나 전부 운항 중지
ㅇ 상품 판매 후 운항 연기·중지가 반복되면서 잠재 수요자들에게 ‘배는 방역에 취약하다’는 인식을 부여할 위험성이 커지고 있음
ㅇ 일본 해외크루즈 시장의 불안정성에 따른 외국선사의 일본 도항 기피 우려가 커지고 있음
□ 일본선사의 해외크루즈 운항 대비 태세
ㅇ 크루즈여객선, 항구의 감염예방대책에 관한 가이드라인 보유
ㅇ 가이드라인보다 높은 수준으로 감염예방대책 실시 중
(‘쇼우센미츠이’ 여객선사의 방역 조치)
- 승선 전, 승선 당일 PCR 검사 진행
- 승선 중 매일 체온 측정(승객 1일 1회, 선원 1일 2회) 실시
- 레스토랑 등 마스크 착용 필수 공간에서의 승객 위치정보 수집
- 운항 중 양성자 발생 시 크루즈 중지 및 감염자 격리(음압실 구비)
- 해당 선사가 보유한 ‘닛뽄마루’ 여객선은 국내 크루즈 재개 후 코로나 발생 사례 ‘0(zero)’
□ 일본선사의 해외크루즈 상품 운영 중지 원인
ㅇ 상품 예약 판매는 순조롭지만, 정부의 코로나 방역 조치에 의한 운항중지, 연기가 가장 큰 원인
- 일본 각 항만의 미즈기와대책(일본의 철저한 코로나 방역 대책)을 준수한 방역 대책을 제대로 갖추기 어려운 상황
* 대규모 인원이 장기간 다수의 국가를 방문하는 해외크루즈 특성 상 선상에서의 코로나 PCR검사에는 현실적 한계가 존재
- 국토교통성 해사(海事)국에 따르면, 감염 예방대책 방안을 살펴보고 있으나 ‘아직 어떠한 수용태세를 갖출 것인지 결론이 나지 않은 상황’
□ 해외크루즈의 높은 경제적 효과로 커져 가는 운항 재개 요구
ㅇ 크루즈 정박 시 관광객의 정박지 내 관광, 소비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고용창출 유발
- 기항지의 지방도시 유도를 통한 수도권·지방 도시 간 경제 불균형 해소 역할 기대
ㅇ 수백, 수천명 단위 관광객 유입으로 인해 크루즈항 보유 지방도시는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적 이득을 볼 수 있음
출처 : 트래블보이스(7.22), 미국 CDC(질병통제예방센터) 크루즈 관련 통계 및 일본 현지 언론 기사.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