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국내시장동향 상세 내용 - 구분 제목 권역 등록일자,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

코로나 19 이후 중국 일반 소비자 해외 여행 형태 설문조사 결과

베이징지사|2022.12.06 16:11

□ 설문조사 개요

 ㅇ 설문목적 : 코로나 19 이후 중국 일반 소비자 해외 여행 형태 조사
 ㅇ 설문기간 : 2022. 11. 7(월) ~ 11. 30(수) / 24일간
 ㅇ 주요내용 : 해외 여행 목적지 선택시 고려사항(비자, 방역안전, 거리 및 시간, 여행경비, 환율), 해외 여행시
    현지에서 지출 증액 및 감액 고려 사항, 선호하는 해외 여행상품 형태, 해외 여행 가능시 국내 여행 변화 빈도,
    코로나 19 이후 해외 여행 빈도 변화 등 온라인 설문 조사 (7문항)

  ○ (설문참여자 기본정보) "20~30대", "여성", "직장인", "1선 도시(北·上·广)"
    가) 인 원 : 총 3,415명
    나) 성 별 : 여성이 75.31%(2,572명)로 참여율이 높음
    다) 연 령 : 31~40세 36.87%(1,259명), 26~30세 27.12%(926명) 순임
    라) 직 업 : 회사원 55.34%(1,890명), 학생(13.06%) 순
    마) 지 역 : 베이징(27.85%), 광동성(17.54%), 상하이 (8.96%) 등 대도시 지역 참여 높음

□ 설문조사 분석 요약 

 ○ (해외 여행 목적지 선택시 고려사항) 비자수속, 현지 방역 상황 등 안전 부분과 이동 및 항공 스케쥴 등 이동 소요시간, 여행 경비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며, 환율은 보통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남
   가) 비자수속 : '매우 중요 및 중요' 응답 높음 (78.59%)
   나) 현지방역 등 안전문제 : '매우 중요 및 중요' 높게 나타남 (88.84%)
   다) 거리 및 항공편 스케쥴 등 이동 소요시간 : '매우 중요 및 중요' 응답 높음 (59.21%)
   라) 여행경비 : '매우 중요 및 중요' 높게 나타남 (70.45%)
   마) 환율 : 보통(36.02%), 중요(31.36%) 순으로 나타남

 ○ (여행 관련 지출 비중 변화) 중국 일반 소비자는 수입 중에서 향후 여행 관련 지출 변화에 대한 응답으로 증가(31.6%), 변화없음(20.76%), 감소(18.07%) 순으로 나타남

 ○ (해외 여행시 지출 증액 대상) 해외 여행 지출 증액시 주로 식음료(27.67%), 숙박(22.99%), 관광지 입장료 등(19.85%) 순으로 나타남

 ○ (해외 여행시 지출 감액 대상) 해외 여행 지출 감액시 주로 쇼핑(39.33%), 숙박(21%), 현지교통(17.92%) 순으로 소비 지출을 줄이겠다는 응답을 보임

 ○ (선호하는 해외 여행 상품 형태) 자유여행상품(56.08%), 반자유여행상품(21.61%), 에어텔(9.25%) 순으로 나타남.

 ○ (해외 여행 재개시, 국내 여행 빈도) 중국 일반 소비자들은 해외 여행 재개시 국내 여행은 증가(37.45%), 변화없음(23.13%), 대폭증가(18.80%) 등 순으로 나타남.

 ○ (코로나 19 이전 대비, 해외 여행 빈도) 중국 일반 소비자들은 코로나 19 이전 대비, 해외 여행은 증가(35.34%), 변화없음(15.02%), 대폭 증가(18.04%) 등 순으로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