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이후 중국 일반 소비자 해외 여행 형태 설문조사 결과 |
||
---|---|---|
□ 설문조사 개요
○ (설문참여자 기본정보) "20~30대", "여성", "직장인", "1선 도시(北·上·广)" □ 설문조사 분석 요약 ○ (해외 여행 목적지 선택시 고려사항) 비자수속, 현지 방역 상황 등 안전 부분과 이동 및 항공 스케쥴 등 이동 소요시간, 여행 경비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며, 환율은 보통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남 ○ (여행 관련 지출 비중 변화) 중국 일반 소비자는 수입 중에서 향후 여행 관련 지출 변화에 대한 응답으로 증가(31.6%), 변화없음(20.76%), 감소(18.07%) 순으로 나타남 ○ (해외 여행시 지출 증액 대상) 해외 여행 지출 증액시 주로 식음료(27.67%), 숙박(22.99%), 관광지 입장료 등(19.85%) 순으로 나타남 ○ (해외 여행시 지출 감액 대상) 해외 여행 지출 감액시 주로 쇼핑(39.33%), 숙박(21%), 현지교통(17.92%) 순으로 소비 지출을 줄이겠다는 응답을 보임 ○ (선호하는 해외 여행 상품 형태) 자유여행상품(56.08%), 반자유여행상품(21.61%), 에어텔(9.25%) 순으로 나타남. ○ (해외 여행 재개시, 국내 여행 빈도) 중국 일반 소비자들은 해외 여행 재개시 국내 여행은 증가(37.45%), 변화없음(23.13%), 대폭증가(18.80%) 등 순으로 나타남. ○ (코로나 19 이전 대비, 해외 여행 빈도) 중국 일반 소비자들은 코로나 19 이전 대비, 해외 여행은 증가(35.34%), 변화없음(15.02%), 대폭 증가(18.04%) 등 순으로 나타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