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관광도시 시범조성사업
- 관광객 편의제공 및 지역관광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한국관광공사는 2020년 약 40억 규모의 "스마트관광도시 시범조성 사업" 추진을 통해 내·외국인 관광객 방문이 많은 특정구역"거리(면적 약 4제곱킬로미터 이하 지역)를 대상으로 스마트관광거리를 조성할 예정이다.
- 이번 시범사업으로 조성되는 스마트관광거리 에서는 관광 전 과정(전·중·후)에서 스마트관광 5대 요소를 각각 1가지 이상 포함하여, 기존관광지를 여행하는 관광객이 보다 편리하고 즐겁게 관광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차별화된 스마트관광전략 수립을 통하여 기존의 관광지를 보다 매력적으로 조성하고 미래관광 기술 구현 및 혁신 기업의 참여를 지원하고, 스마트관광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지역연계 스마트관광 생태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 ※ (2019 스마트관광을 통한 수도권 관광객 이동성향 조사) 한국관광공사와 경희대 스마트관광연구소는 스마트관광 서비스가 구현되는 지역으로 얼마나 관광객을 이동시킬 수 있는가에 관한 조사를 실시, 그 결과 스마트관광 서비스가 구현되는 관광지의 경우 일반 관광지에 비해 관광객 수가 약 1.9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스마트관광도시란?
- 관광요소와 첨단 기술요소의 융·복합을 통해 관광객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경험,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로 인해 누적된 정보를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관광콘텐츠와 인프라를 개설·발전시키는 도시
스마트관광 5대 요소에 대한 내용 및 연계 기술요소 안내
- 스마트 경험 : 최신기술 (AR/VR/MR/홀로그램)을 활용, 자연문화 역사 등 관광매력 극대화(VR, AR, MR, 홀로그램 등)
- 스마트 편의 : 편리한 체류를 위하여 식당, 체험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예약 및 결제 지원 (O2O, 디지털 사이니지 등)
- 스마트 서비스 : 다국어, 불편신고, 짐배송 등 관광지 현장의 불편에 대한 신속 대응 (챗봇, 로보틱스 등)
- 스마트 모빌리티 : 공유자동차, 수요대응형 자동차 등 도시간 이동 및 퍼스널 모빌리티 등 도시내 이용가능한 2차 교통수단(공유플랫폼, 자율주행, MaaS 등)
- 스마트 플랫폼 : 스마트관광도시 내 다양한 서비스를 등록, 이용하며 그 기록을 수집 분석하여 관광정책에 활용(AI, Data Analytics 등)

- SNS 간편로그인, 여행예보, 여행플래너, 여행체크리스트 맛집 추천
- 원스톱 예약&결제, 디지털 환대, 관광와이파이
- 퍼스널 모빌리티, 무인셔틀버스, 스마트 짐배송, 실시간 주차장 확인
- 1330관광안내전화, 디지털 컨택센터, AR 네비게이션
- 스마트관광오디오, AR피팅체험, AR 메뉴번역
- 미디어파사드, AR/VR 체험, 홀로그램 전시, 트래블캐싱
- 간편결제, 자동할인, 관광마일리지, 디지털 스탬핑
- 셀프 체크인, 로봇 룸서비스, IoT 원격제어
- 트래블 아카이브, 관광후기 작성, 정기 메일링 서비스
스마트관광도시 시범사업은 현재 공모 진행 중으로, 사업계획서는 6.5(금)까지 접수하며 응모대상은 광역지방자치단체를 대표로 하는 ‘지자체와 민간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다. 공사는 관광벤처 기업 등 민간의 적극적이고 선도적인 참여와 투자유치를 위하여 자율성을 최대한 부여하고,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수익창출에 중점을 두어 사업을 추진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관련 링크 : http://kto.visitkorea.or.kr/kor/notice/news/noti/board/view.kto?id=441060&isNotice=false&instanceId=124&rnum=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