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개요 베트남
일반개요 탭컨텐츠
구분 | 내용/수치 | ||
---|---|---|---|
일반 | 국명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 |
면적 | 331,000㎢ (한반도의 1.5배) | ||
접경국가 | 중국, 라오스, 캄보디아 | ||
기후 | 아열대성 (북부), 열대성 (남부) | ||
수도 | 하노이 (Hanoi) | ||
언어 | 베트남어 (공용어), 영어, 프랑스어, 중국어, 크메르어 | ||
민족 (%) | 베트남인 또는 킨족 86 | ||
종교 (%) | 무교 81, 불교 8, 가톨릭 7 | ||
정치 체제 | 공산당 1당제 | ||
수교일 | 1992.12.22 / 2022년 수교 30주년 | ||
교민 수 (명) | 172,684 | ||
관광 | 방한 베트남인 수 (천 명) | 554 | |
인구/사회 | 인구 수 (천 명) | 98,721 | |
남성인구를 여성인구로 나눈 비율 | 1.1 | ||
인구 성장률 (%) | 0.8 (세계 125위) | ||
연령대별 비중 (%) | 0 - 14세 | 22.6 | |
15 - 24세 | 15.2 | ||
25 - 54세 | 45.7 | ||
55 - 64세 | 9.6 | ||
65세 이상 | 6.9 | ||
중위 연령 (세) | 31.9 (세계 112위) | ||
기대 수명 (세) | 74.4 (세계 132위) | ||
합계출산율 (명) | 1.8 (세계 157위) | ||
경제 | 명목 GDP (십억US$) | 261.6 | |
1인당 명목 GDP (US$) | 2,739.8 | ||
경제성장률 (%) | 7.0 | ||
소비자 물가상승률 (%) | 3.6 | ||
실업률 (%) | 2.2 | ||
환율 (100동당 원, 연중) | 5.0 |
경제/정치/사회 동향 탭컨텐츠
1-1. 경제 동향
1986년 ‘도이머이’ 경제 개방, 1995년 미국과의 수교 등 적극적인 대외 개방정책 이후 연평균 7% 대의 높은 경제 성장률과 2% 대의 낮은 물가 상승률이 베트남 경제성장에 우호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무상 배급제 폐지, 가격 자유화, 국유기업 민영화,
시장 개방과 외국인 투자 유치, 농업개혁 등이 주 내용
미․중 무역 전쟁이 장기화 되면서 중국을 대체할 공급시장으로서 베트남이 최대 수혜국으로 부상하였으나, 중국기업들의 베트남 진출 확대 및 우회 수출이 증가하면서 미국으로부터 압력 또한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으론, 2019년 6월 30일 베트남-EU 양국이 FTA 및 투자보호협정에 정식 서명하면서 베트남은 1억 인구 시장인 EU 수출을 기반으로 한 경제 급성장이 예상되었다. 이외 베트남은 기존의 제조기반의 경제성장 동력을 다원화 하고자 전자정부 구축, 혁신 기술 스타트업 육성, 스마트 시티 건설, 디지털 전문 인력 육성 등을 목표로 4차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출처 : KOTRA, 2020권역별 진출전략_베트남).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전 세계 경제성장률이 –4.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와중에 베트남은 1.6%로 플러스 성장이 예상 되었다.
(출처 : IMF, 2020년 10월 정기 세계경제전망, 2020.10.13).
1-2. 정치·사회 동향
베트남은 공산당의 강력한 집권 하에 단일 지도체재를 유지하면서 높은 정치적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현 지도부인 응웬푸쫑이 최고직책인 국가주석과 서기장을 겸직하면서 권력 쏠림 현상을 띠고 있다.
베트남 경제성장 동력은 양질의 노동력이라 할 수 있으며 베트남은 한반도의 약 1.5배에 달하는 국토로 인구수는 9,872만 명(2020년 7월 기준)으로 이 중 38% 가량이 24세 미만이며, 중위연령이 31.9세로 젊은 편이다. 베트남 실업률은 2019년 기준 2.2%로, 사실상 완전 고용상태로 볼 수 있으나 근로자의 평균 월 급여는 239US$로 주변국(중국 744US$, 태국 367US$) 대비 낮은 편이다.
본래 베트남은 농업사회였으나 오랜 전쟁으로 남성 부재 및 모계중심의 가정이 운영되면서 여성 중심의 사회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치, 경제, 사회 각 분야에서 여성들이 활약 중이며, 베트남 근로자 중 여성이 50% 이상으로 일반 기업에서 여성이 실질 경영을 하는 경우도 많은 편이다.
휴일 및 휴가 현황 탭컨텐츠
베트남의 노동법전에 따라 사용자는 1년 동안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 대해 연간 최소 12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함. 계속근로연수 매 5년마다 1일씩 가산됨
베트남 정부는 매년 7월 경에 차년도 연휴를 발표하고, 베트남의 공휴일은 노동보훈사회국(MOLISA)에서 관리함
베트남의 최대 연휴는 구정 연휴로, 전/후 한달 간은 대부분의 비즈니스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연휴 시기에는 지역 상점들이 모두 문을 닫음.
(출처:Vietnam briefing, 2019)
베트남의 공휴일은 토/일요일이 포함될 경우, 차주 월요일은 대체휴일이 됨
기업 휴가 기간은 정해져 있지는 않으나, 자녀가 있는 계층들은 주로 학교 방학 기간인 6-8월 중에 사용함
초·중·고의 여름방학은 5월 말∼8월 말, 겨울방학 없음
대학교의 여름방학은 5월 말∼8월 말, 겨울방학 없음
2021년 베트남 공휴일 현황
기간 | 공휴일명 | 비고 |
---|---|---|
1.1 | 신정 | |
2.10 ~ 16 | 뗏 (구정) | 통상 평일 중 5일을 휴일로 지정하나 정확한 일자는 미확정 |
4.21 | 흥 국왕 기념일 | |
4.30 | 베트남 통일날 (1975년) | |
5.1 | 노동절 | 5.1이 토요일로 5.3(월)를 대체 휴일로 지정 |
9.2 | 독립기념일 (1945년) | 2020년까지 9월 2일 하루만 휴일이었으나, 2021년부터 휴일을 이틀로 확대. 단, 9.1과 9.2을 휴일로 지정할지, 9.2과 9.3을 휴일로 지정할지는 미확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