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로그인 해주세요.

국가개요 태국

일반개요 탭컨텐츠

정보수정일 : 2020년 8월 30일
태국 일반개요 표 | 구분, 내용/수치로 구성
구분 내용/수치
일반 국명 태국 (The Kingdom of Thailand)
면적 513,000㎢ (한반도의 2.3배)
접경국가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기후 고온다습한 아열대성
수도 방콕 (Bangkok)
언어 태국어 (공용어)
민족 (%) 태국인 98, 미얀마인 1
종교 (%) 불교 95, 이슬람교 4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수교일 1958.10.1
교민 수 (명) 20,200
관광 태국인 출국자 수 (천 명) 9,966
태국인 출국율 (전체인구/출국자수, %) 14.4
방한 태국인 수 (천 명) 559
태국인 출국자 수 대비
방한 태국인 비중 (%)
5.6
인구/사회 인구 수 (천 명) 68,977
남성인구를 여성인구로 나눈 비율 1.0
인구 성장률 (%) 0.3 (세계 177위)
연령대별 비중 (%) 0 - 14세 16.5
15 - 24세 13.0
25 - 54세 45.7
55 - 64세 13.0
65세 이상 11.8
중위 연령 (세) 39 (세계 59위)
기대 수명 (세) 75.6 (세계 113위)
합계출산율 (명) 1.5 (세계 196위)
경제 명목 GDP (십억US$) 529
1인당 명목 GDP (US$) 7,792
경제성장률 (%) 2.4
소비자 물가상승률 (%) 0.7
실업률 (%) 1.1
환율 (1바트당 원, 연중) 37.6

경제/정치/사회 동향 탭컨텐츠

정보수정일 : 2020년 8월 30일

1-1. 경제 동향

아세안 10개국 중 인도네시아에 이어 제2위 경제대국인 태국은 1차(쌀․새우․고무 등 농수산물 생산 및 수출), 2차(아세안 최대 자동차․전자 생산 및 수출허브),3차 산업(2018년 기준 3,800만 명 규모의 외국인 관광객 수용)이 고르게 발달된 국가이나, 무역의존도가 100을 상회(2018년 기준 123.3%)하면서 수출입이 곧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출처: KOTRA, 2020권역별 진출전략_태국).
최근 고속 성장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에 밀리고 있긴 하나, 주변국인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에 미치는 문화적, 경제적 영향력은 상당하다. 태국의 경제성장률은 2018년에 전년 대비 1.0% 증가한 4.1%를 기록하였으나, 2019년에 들어 바트화 강세가 관광업 및 수출에 악영향을 끼치면서 전년 대비 1.7%p 감소한 2.4%를 기록하였다.

2020년은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GDP의 약 11%를 차지(2019년 기준 1조 9,300억 바트)하는 관광수입 감소, 민간 및 공공투자 저조 등이 예상되면서 태국의 경제성장률은 –7.1%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출처 : IMF, 2020년 10월 정기 세계경제성장 전망, 2020.10.13).

1-2. 정치·사회 동향

태국은 1932년부터 입헌군주제(왕실) 하에 의원내각제(태국정부)를 실시하고 있다. 2019년 3월, 총선실시를 통해 신정부 정권이 출범하였는데, 중진국 함정에서 탈출하기 위해 기존 군사정부의 제12차 경제사회개발계획(2017~2021년)의 핵심전략인 ‘태국 4.0’ 정책 및 ‘동부경제회랑(EEC)’ 개발 등의 주요 국가 의제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출처: KOTRA, 2020권역별 진출전략_태국).

  • 중진국의 함정 : 세계은행이 2006년 ‘아시아 경제발전 보고서’에서 처음으로 언급한 용어,
    개발도상국이 경제발전 초기에는 순조롭게 성장하다가 중진국 (1인당 GDP US$ 4,000 ∼
    12,000) 에 도달한 뒤 어느 순간 성장이 장기간 정체되는 현상
  • 태국 4.0 : 태국판 제4차 산업혁명 정책으로, 디지털, 바이오, 나노, 첨단소재 등 4개 기술 기반
    하에 12대 미래 산업 (차세대 자동차, 스마트전자, 고급 의료·웰빙 관광, 농업 및 바이오 기술, 미래식품, 디지털, 로봇, 바이오 연료 및 화학, 의료 허브, 항공·물류, 방산, 교육)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
  • 동부경제회랑 (EEC : Eastern Economic Corridor) : 고부가가치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방콕의 동남부에 위치한 촌부리, 라용, 차층사오 3개 지역을 경제특구로 지정

출처 : KOTRA, 2020권역별 진출전략_태국

태국은 계급이 존재하는 계층사회로, 왕과 귀족들이 사실상 부를 독점하고 있어 신분상승이 어려운 현실이다. 계급차가 큼에도 불구하고 계급간의 갈등이 크게 발생하지 않는 이유는 종교 때문인데, 태국 인구의 94.6%가 불교를 믿기 때문에 종교적으로 전생의 업에 따라 현재 자신의 삶이 정해지는 것이라 받아들인다. 한편, 태국은 국토 면적 대비 인구수가 적으면서 20세기 초에 화교의 이민을 대대적으로 받아들이며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해왔다. 20세기 중반부터 의료기술 발달로 인해 인구가 급증하게 되면서 1970년대부터 산아제한정책을 실시하였는데, 이에 따라 1990년대 중반부터 출산율이 2명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2020년 기준 인구 성장률이 0.3%로 낮은 편이나, 25~54세 인구비중이 45.7%를 차지하면서 주요 중진국과 비교해 젊은 인구 비율은 높은 편이다.

왕실국가인 태국에서 군주제 개혁은 금기 사항으로, 태국 헌법 상 ‘군주는 존경받아야 하고 (권위가) 훼손돼서는 안 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무엇보다 오랜 시간 동안 왕실에 대한 존경심을 바탕으로 전 국민이 통합되면서 사회 전반이 안정적으로 굴러갔었었다. 그러나 2020년 7월부터 왕의 권력과 부를 제한해야한다는 군주제 및 정치제도 개혁을 요구하는 시위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태국의 정치제재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태국의 화교

태국은 건국 때부터 화교가 왕이 된 나라로, 전통 태국계와 중국계의 혼혈을 일컫는 <시노 타이>와 화교를 포함한
인구가 전체인구의 10%에 달함. 이들은 필리핀과 비슷하게 상류층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음

휴일 및 휴가 현황 탭컨텐츠

정보수정일 : 2020년 8월 30일

태국은 근로보호법에 따라 사용자는 1년 동안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 대해 연간 최소 6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함

송크란 연휴 기간(태국전통설날)인 4월이 최대 성수기이며, 연말휴가(12월 31일) 및 신년휴가(1월 1일)가 있는 연말, 연초에 수요가 집중됨

기업 휴가는 주로 4월 송크란 연휴와 연계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많고, 그 외에는 연중 균등한 편임

학교 방학기간은 초·중·고의 경우 4월 초∼5월 초, 10월이며, 대학교의 여름방학은 6월 초∼8월 초, 겨울방학은 12월 말∼1월 초 임

2021년 태국 공휴일 현황

태국 공휴일 현황 표 | 기간, 공휴일명, 비고로 구성
기간 공휴일명 비고
1.1 신정 (New Year’s Day) 공휴일이 토·일요일이 될 경우,
월요일날 대체 공휴일 실시
2.26 만불절 (Makha Bucha Day)
4.6 왕조창건일 (Chakri Memorial Day)
4.13∼15 송크란 (태국전통설날 / Songkran Festival Day)
4.25 권농일 (Ploughing Day)
5.1 노동절 (National Labour Day)
5.4 현 국왕 (라마 10세) 대관식 기념일 (Coronation Day)
5.10 권농일 (Royal Ploughing Day)
5.26 석가탄신일 (Visakha Bucha Day)
6.3 현 왕비 탄신일 (Her Majesty Queen Suthida’s Birthday)
7.24 석가모니 최초 설법기념일 (Asalha Bucha Day)
7.25 입안거일 (Buddhist Lent Day
7.28 현 국왕(라마 10세) 탄신일
(His Majesty King Maha Vajiralongkorn Phra Vajiraklaochaoyuhua’s Birthday)
8.12 전 국왕 (라마 9세) 왕비 탄신일 및 어머니의 날
(Her Majesty the Queen Sirikit’s Birthday and Mother Day)
10.13 전 국왕 (라마 9세) 서거 기념일
(His Majesty the late King Bbhumibol adulyadej Memorial Day)
10.23 라마5세 서거일 (Chulalongkorn Day /태국 현충일)
12.5 전 국왕 (라마 9세) 탄신일 및 아버지의 날
(Tha Birthday of His Majesty the late King Bhumibol Adulwadej and Father Day)
12.10 제헌일 (Constitution Day)
12.31 연말 (New Year's E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