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세요
- 빅데이터 방문자수는 추세 분석으로 활용해 주시고, 총량으로 활용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 방문자수는 일자별 순방문자 수 기준입니다.
(예시) A씨가 1.1~1.2 B지역을 방문할 경우, 총 2명(1.1 1명, 1.2 1명)이 B지역에 방문한 것으로 산출됩니다. - 현재 지역별 관광현황의 데이터는 2020년 1월부터의 자료를 제공 중입니다.
- 데이터 조회 기간은 조회 시작일로부터 월간 조회 시 최대 18개월까지 조회 가능합니다.(연간 조회 시에는 별도 제한 없음)
지역별 현황
지역관광진단
지역의 주요 지표 별 데이터 추이와 주요 변화 정보입니다.
주요 5개 지표를 통해 해당 지역을 진단합니다.
왼쪽 방사형(Radar) 차트는 각 지표 순위(광역/기초별)의 높고 낮음을 기준으로 생성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데이터 설명의 '지역관광진단' 항목을 참고해주세요.
※ 전년동기 대비
방문자
방문자 수(연인원) 추이
이동통신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의 방문자 수(연인원) 추이를 제공합니다.
방문자 수는 외부방문자(외지인방문자) 기준입니다.
내비게이션 목적지 유형별 검색량
내비게이션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 목적지 유형별 검색량을 나타냅니다.
차량이동을 기준으로 하므로 실제 방문자 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방문자 거주지 분포
이동통신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 방문자(외지인)의 거주지 분포를 나타냅니다.
(기초지자체 비율로만 제공, 광역은 단순 합산값이며 참고용으로만 활용)
거리별 방문자 분포
이동통신 데이터 기반 방문자의 거주 시군구에서 해당 시군구로 방문한 거리를 나타냅니다.
거주 시군구와
해당 시군구의 거리는 각 시·군·구청간의 도로기준으로 제공되며, 광역시도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방문자 성/연령 분포
이동통신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 방문자의 성·연령별 분포를 나타냅니다.
성·연령이 파악 가능한
외지인방문자 기준으로 제공됩니다.
내비게이션 검색 유형 분포
내비게이션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 유형별 목적지 검색량 분포를 나타냅니다.
차량이동을 기준으로 하므로
실제 방문자 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각 유형을 클릭하면 하위 유형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비게이션 검색 현지인/외지인 관심지점 비교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지인과 외지인별 인기 검색 목적지 유형의 분포를 보여줍니다.
숙박/체류시간
숙박 방문자 비율
이동통신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 방문자 수와 숙박 방문자 비율을 제공합니다.
숙박여부 추정이 가능한 방문자 수만 집계되므로, 일반 방문자 수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숙박 유형별 방문자 비율
이동통신 데이터 기반 숙박 유형별 방문자 비율을 보여줍니다.
숙박방문자 비율/평균 숙박일
이동통신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 숙박방문자 비율과 평균 숙박일 수 추이를 제공합니다.
숙박방문자 비율 추이
이동통신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 숙박 방문자 비율 추이를 나타냅니다.
평균 체류시간 추이
이동통신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 평균 체류시간 추이를 나타냅니다.
방문자 체류특성
이동통신 데이터 기반의 지역별 평균 체류시간과 평균 숙박일수의 분포를 나타냅니다.
각 사분면의 유형은
해석을 돕기 위한 설명으로, 각 특성의 우·열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숙박 목적지 검색건수
내비게이션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 숙박 목적지 검색량 분포를 나타냅니다.
차량이동을 기준으로 하므로
실제 방문자 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각 유형을 클릭하면 하위 유형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숙박 목적지 유입 지역 분포
내비게이션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의 숙박 목적지를 검색한 방문자의 출발지 분포를 보여줍니다.
차량이동을 기준으로 하므로 실제 방문자 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관광소비
성/연령별 내국인 관광소비 분포
신용카드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 내국인 방문자의 성·연령별 관광소비 분포를 나타냅니다.
외국인 관광소비 현황
신용카드 데이터 기반 해당 지역의 외국인 관광소비 현황을 나타냅니다.
순위 | 국가 | 소비 비율 |
---|
소셜미디어
SNS 언급량
주요 국내 소셜미디어, 커뮤니티의 해당 지역에 대한 관광 관련 언급량을 나타냅니다.
모든 언급량이
파악되는 것이 아니므로 추세 파악 용도로만 활용을 권장합니다.
동반유형 언급량
주요 국내 소셜미디어, 커뮤니티의 해당지역에 대한 관광관련 언급 중 동반유형별 언급량을 나타냅니다.
모든 언급량이 파악되는 것이 아니므로 추세 파악 용도로만 활용을 권장합니다.
여행유형/트렌드 언급량
주요 국내 소셜미디어, 커뮤니티의 해당지역에 대한 관광관련 언급 중 여행유형/트렌드별 언급량을 나타냅니다.
모든 언급량이 파악되는 것이 아니므로 추세 파악 용도로만 활용을 권장합니다.
동반유형 키워드
주요 국내 소셜미디어, 커뮤니티의 '동반유형' 관련 주요 키워드 순위를 제공합니다.
모든 언급량이
파악되는 것이 아니므로 대략적인 트렌드 파악 용도로만 활용을 권장합니다.
순위 | 분류 | 관련 키워드 | 언급량 |
---|
여행유형/트렌드 키워드
주요 국내 소셜미디어, 커뮤니티의 '여행유형/트렌드' 관련 주요 키워드 순위를 제공합니다.
모든
언급량이 파악되는 것이 아니므로 대략적인 트렌드 파악 용도로만 활용을 권장합니다.
순위 | 분류 | 관련 키워드 | 언급량 |
---|
인기관광지
주요 유료관광지점 입장객 수
문화관광연구원에서 공표하는 주요 유료관광지점에 대한 입장객 수를 제공합니다.
기초지자체가 해당
관광지의 방문객 수를 문화체육관광부(문화관광연구원)로 행정 보고하는 보고통계에 해당합니다.
(주의1) 입장객 수는 익년도 5월 확정치 공표 전까지는 모두 잠정치로 표출되며, 잠정치는 수시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의2) 지자체에서 월별로 입력을 하지 않은 경우 “0”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주의3) 한국관광 데이터랩에서는 2주에 1회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있어 데이터 누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최신
데이터는 Tour.go.kr에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순위 | 관광지명 | 시도 | 시군구 | 입장객 총계 |
---|
인기 관광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지역의 식음료 분야를 제외한 인기 검색 목적지 순위를 현지인/외지인/전체
기준으로 제공합니다.
차량이동을 기준으로 하므로 실제 방문자 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전체
순위 | 이름 | 구분 |
---|
내국인 관심 관광지
대한민국 구석구석(Korean.visitkorea.or.kr) 사이트 로그를 기반으로 하여 조회가 많은 관광지 순으로 관심관광지를 보여줍니다.
관광지명 클릭시 대한민국 구석구석 페이지로 링크됩니다.
- (주의) 2018.11월부터 데이터 제공
내국인 관심 관광지
순위 | 이름 | 구분 |
---|
중심 관광지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관광지 중 타 관광지와 가장 많이 연결되는 중심 관광지를 도출, 제공합니다.
타 관광지와 연계 방문하는 빈도가 높은 중심(Hub)관광지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차량이동을 기준으로 하므로 실제 연계 방문 정도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순위 | 이름 | 구분 |
---|
연관 관광지
선택한 중심 관광지와 높은 연결성을 가지는 연관 관광지를 도출, 제공합니다.
순위 | 이름 | 지역 | 구분 |
---|
유입·유출 지역
유입 출발지 - 유출 목적지 분포
내비게이션 데이터의 출발·도착지 정보를 기반으로 지역별 유입 유출 현황을 나타냅니다.
각 지역명을 클릭하면 유입·유출 목적지 유형 분포 및 관광소비 분포를 아래 차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차량이동을 기준으로 하므로 실제 방문자 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유입 목적지 유형 분포
내비게이션 데이터 기반 선택한 유입지역의 유입 목적지 유형 분포를 나타냅니다.
각 유형을 클릭하면 하위 유형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출 목적지 유형 분포
내비게이션 데이터 기반 선택한 유출지역의 유출 목적지 유형 분포를 나타냅니다.
각 유형을 클릭하면 하위 유형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출 목적지 유형 분포
내비게이션 데이터 기반 선택한 유입지역의 유입 목적지 유형별 조회건수를 보여줍니다.
내비게이션 데이터 기반 선택한 유출지역의 유출 목적지 유형별 조회건수를 보여줍니다.
유사 지역
지역관광진단 유사지역 비교
해당 지역과 5개 관광진단지표가 유사한 3개 지역을 도출하여 제공합니다.
각 지표별 자세한 설명은
데이터 설명의 '지역관광진단' 항목을 참고해주세요.
주 방문 성/연령 유사지역 방문자 구성 비교
이동통신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의 성/연령 방문자 비율과 유사한 방문자 특성을 가진 3개 지역을 도출하여 제공합니다.
관광소비 업종별 비중 유사지역 비교
신용카드 데이터 기반 해당지역의 업종별 관광소비 비율과 유사한 관광소비 특성을 가지는 3개 지역을 도출하여 제공합니다.
내비게이션 검색 유형 유사지역 구성 비교
해당지역의 내비게이션 목적지 검색 업종별 비율과 유사한 검색 특성을 가진 3개 지역을 도출하여 제공합니다.
지역 집중률
- 본 내용은 2018년부터 전체 방문자 패턴을 기반으로 예측한 결과로서, 각종 환경변화에 따라 실제 결과는 예측값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향후 30일간 지역 집중률
※ 부천시 하위구(원미구, 소사구, 오정구)는 부천시 집중률로 표출됨.